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5498&local_id=10086150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조기선별하기 위한 학교 수준 보편적 선별(School-Wide Universal Screening: SWUS) 검사의 신뢰도 및 예측타당도 연구: 2년간의 추적 종단자료 분석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125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주요교과 CBM을 개발한 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주된 목적을 갖고 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조기선별 및 중재를 위한 보편적 선별(universal screening)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은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380명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연구에서 분석된 신뢰도와 타당도는 Fuchs(2004)가 언급한 두 가지 수준(단일점수와 기울기)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상관계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잠재성장모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요교과 CBM의 1, 2 수준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될 수 있는 교육 및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presen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chnical adequacy of CBM,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ropriateness of CBM in universal screening which is useful for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and preven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BM were summarized in terms of two stages introduced by Fuchs(2004).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0 students enrolled in Grade 1 of four elementary schools. Correlation coefficients, logistic regression, and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 of this study supports the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BM.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의 3가지 영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목표는 학교급 수준에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위험군 학생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보편적 선별(Universal Screening)검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는 보편적 선별검사는 조기선별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들에게 적합한 검사유형으로 개발될 예정이며, 이러한 검사는 주요교과인 쓰기, 읽기, 수학 영역별로 개발하였다. 두 번째 연구의 목표는 개발된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결과를 고려하여 실제로 위험군에 속할 수 있는 학생들을 사전에 선별하는데 유용한 검사인지를 검증하였는데, 전반적으로 교과별로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는 조기에 학습장애 위험군에 속할 수 있는 학생을 선별하는 보편적 선별도구로 일선학교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거승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보편적 선별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 제공
    Ardoin 외.(2013)의 연구에서 주장한 것처럼, 보편적 선별검사가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empirical evidence)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는 보편적 선별검사를 평가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에서도 지속적으로 보편적 선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축적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서 적용된 보편적 선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 교육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보편적 선별 검사도구의 지속적인 개발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유형의 보편적 선별검사를 각 교과별로 개발하려고 한다. 하지만 보편적 선별검사가 학교현장에서의 더 많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Cook et al., 2010). 따라서 추후에 진행될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 사용상의 편리함이나 측정학적으로 더 뛰어난 보편적 선별검사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일반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 연구의 증가 기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편적 선별검사는 특수학교나 특수학급과 같이 제한된 환경에서 사용되기 보다는 일반적인 초등학교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고안된 평가 전략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일반학교 현장에서 조기선별과 조기중재를 실시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급 및 교육청 수준에 기반한 보편적 선별검사의 활용 증가 기대
    외국 연구들의 경우 학급 및 학교수준에서 개발된 보편적 선별검사의 활용은 교육청 수준으로 확대 되고 있다. 즉 특정 교육청에 소속된 모든 학교들은 동일한 보편적 선별검사를 사용하여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조기에 선별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Deno, 2003).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진행될 연구는 보편적 선별검사의 적용 범위를 지역 및 시도교육청 수준의 범위로 확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재반응모형안에서 보편적 선별검사의 활용
    중재반응모형은 현재 학습장애를 선별하는 모형 중 가장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방법 중 한가지이다(Fuchs et al., 2003). 중재반응모형은 일반적으로 3단계의 중재전략을 갖고 있으며 3단계 중 첫 번째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검사의 유형은 본 연구에서 개발될 보편적 선별 검사와 동일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우수한 측정학적 적합성이 검증이 된다면 향후 진행될 중재반응모형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를 1단계의 선별검사 도구로 활용할 빈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습장애 이외의 영역에서 보편적 선별검사에 대한 관심 증대
    학습장애 영역에서 시작된 보편적 선별검사의 연구들은 최근에 다른 장애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발표된 Gresham 외.(2010)의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조기선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편적 선별검사를 사용하였다. 국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장애영역에서도 보편적 선별검사의 활용 가능성 평가하는 연구들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검사의 예측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제안
    본 연구에서는 예측타당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분석(민감도, 특이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절편의 기준을 중간 점수로 설정한 잠재성장모형 등)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들은 향후 진행될 예측 타당도의 연구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 색인어
  • CBM, 읽기, 쓰기, 수학, 신뢰도, 타당도, 보편적 선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