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5552&local_id=10078802
고구려 유민 남단덕(南單德) 묘지명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구려 유민 남단덕& #40;南單德& #41; 묘지명에 대한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영관(제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7976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남단덕(699~776)묘지명은 2010년 초 중국 陝西省 西安市 동쪽 白鹿原에서 출토되어 현재는 西安碑林博物館에 보관되어있다. 묘지명은 蓋石은 缺失되었고 誌石만 남아있다. 크기는 가로 44.4cm, 세로 43.5cm, 두께는 약 6.8~7.5cm이며, 가로와 세로로 선을 그어 가로 24행, 세로 25행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을 한 후, 그 안에 총 533자의 지문을 새겨 넣었다. 만든 시기는 唐 代宗 때인 776년이다.
    묘지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단덕의 선조는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安東都護府에 소속되었고, 祖父인 南狄은 磨米州 都督을 지냈고, 부친인 南于는 歸州刺史를 지내는 등 당에서 지방관으로 활동하였다. 남단덕은 南于의 맏아들로 고구려 멸망 이후인 699년 고구려 수도였던 平壤에서 태어났고, 遼東에서 성장했으며, 玄宗 開元(713~741) 초에 발탁되어 주로 변방의 무관으로 활약하였다. 그러다 현종 天寶 14년(755)에 安祿山이 일으킨 반란에 참여하였으나 곧 정부군에 투항하였다. 그 후 당의 수도인 長安에서 살다가 776년 78세에 생을 마감하였다.
    묘지명의 내용 분석 결과는 고구려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학계에 제공함으로써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게 하였다. 고구려인으로는 최초로 남씨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당의 안동도호부를 비롯한 고구려 고토 지배정책과 고구려유민의 처우나 활용 등에 대해 새로운 연구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 유민이 당에 들어가 지방관으로 활동하다가 반란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렸다가 다시 황제에 귀부하는 등 복잡다단한 삶을 살았던 기록을 마주하게 하였다.
    고구려를 멸망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薛仁貴의 증손자인 薛夔가 남단덕의 묘지명을 작성하는 등 고구려 유민들이 당에 들어가 장안의 귀족 가문과 직접 교류한 흔적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기왕의 중국 학계에서 당 장안성의 지명 비정에 오류가 있었던 것을 묘지명의 내용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었다. 남단덕 묘지명 연구는 한국사뿐만 아니라 중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남단덕묘지명에 대한 연구는 고구려와 고구려 유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고구려 유민 묘지명으로는 24번째로 학계에 소개되는 것으로 고구려인의 입당 후 활동뿐만 아니라 입당 이전 고구려의 지명과 관제 등에 대한 새로운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영문
  • A Study on the Epitaph of Namdandeok(南單德), a former Goguryo People
    The epitaph of Namdandeok(699-776), made in the year 776 during the reign of Tang Daijong, was found at Bailuyuan in the eastern suburbs of Xi’an, Shanxi province, China and now is owned by Xi’an Beilin Musuem. The epitaph’s cover stone was lost. The memorial stone measures 44.4cm by 43.5cm with 6.8~7.5cm thick. Its surface is divided into a section the 24 by 25, which refers to a compartment such as a checkerboard pattern. Total 533 characters are inscribed on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epitaph, after the fall of Goguryo(37 BCE-668CE) Namdandeok’s direct ancestors were under the command of Andong Dohobu, a type of regional government of Tang, in Pyeongyang, the capital of Goguryo. His father and grandfather were served as local governors of Tang. Namdandeok was born in Pyeongyang, grew up in Liaodong and played an active part as a military officer in border area early Kaiyuan era(713-741). He was involved in An Lushan (703-757 CE)’s riot and surrendered to Tang government forces. Afterwards he lived in Chang’an, the capital of Tang and died in the year 776 there.
    Studies on the history of Goguryo can be deepened by analyzing the inscriptions and discovering new materials such as Tang’s ruling policy at the occupied territory and usage of former Goguryo people. The surname, Nam was first found in the history of Goguryo.
    The inscriptions show that the former Goguryo people entered Tang and interacted with Tang aristocracy. For example, Xue Kui, great-grandson of Xue Rengui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all of Goguryo as a Tang general, wrote the inscriptions. The epitaph is an important material to studies of Chinese history as well by letting us know that Chang’an city of Tang was wrong place name.
    The Namdandeok’s epitaph is 24th epitaph of former Goguryo people introduced to academia. The study on it has important meaning in giving new materials to the history of Goguryo and its immigrants to Tang China, and place name and government organization of Goguryo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남단덕(699~776)묘지명은 2010년 초 중국 陝西省 西安市 동쪽 白鹿原에서 출토되어 현재는 西安碑林博物館에 보관되어있다. 묘지명은 蓋石은 缺失되었고 誌石만 남아있다. 크기는 가로 44.4cm, 세로 43.5cm, 두께는 약 6.8~7.5cm이며, 가로와 세로로 선을 그어 가로 24행, 세로 25행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을 한 후, 그 안에 총 533자의 지문을 새겨 넣었다. 만든 시기는 唐 代宗 때인 776년이다.
    묘지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단덕의 선조는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安東都護府에 소속되었고, 祖父인 南狄은 磨米州 都督을 지냈고, 부친인 南于는 歸州刺史를 지내는 등 당에서 지방관으로 활동하였다. 남단덕은 南于의 맏아들로 고구려 멸망 이후인 699년 고구려 수도였던 平壤에서 태어났고, 遼東에서 성장했으며, 玄宗 開元(713~741) 초에 발탁되어 주로 변방의 무관으로 활약하였다. 그러다 현종 天寶 14년(755)에 安祿山이 일으킨 반란에 참여하였으나 곧 정부군에 투항하였다. 그 후 당의 수도인 長安에서 살다가 776년 78세에 생을 마감하였다.
    묘지명의 내용 분석 결과는 고구려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학계에 제공함으로써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게 하였다. 고구려인으로는 최초로 남씨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당의 안동도호부를 비롯한 고구려 고토 지배정책과 고구려유민의 처우나 활용 등에 대해 새로운 연구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 유민이 당에 들어가 지방관으로 활동하다가 반란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렸다가 다시 황제에 귀부하는 등 복잡다단한 삶을 살았던 기록을 마주하게 하였다.
    고구려를 멸망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薛仁貴의 증손자인 薛夔가 남단덕의 묘지명을 작성하는 등 고구려 유민들이 당에 들어가 장안의 귀족 가문과 직접 교류한 흔적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기왕의 중국 학계에서 당 장안성의 지명 비정에 오류가 있었던 것을 묘지명의 내용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었다. 남단덕 묘지명 연구는 한국사뿐만 아니라 중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남단덕묘지명에 대한 연구는 고구려와 고구려 유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고구려 유민 묘지명으로는 24번째로 학계에 소개되는 것으로 고구려인의 입당 후 활동뿐만 아니라 입당 이전 고구려의 지명과 관제 등에 대한 새로운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남단덕묘지명에 대한 연구는 고구려와 고구려 유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고구려 유민 묘지명으로는 24번째로 학계에 소개되는 것으로 고구려인의 입당 후 활동뿐만 아니라 입당 이전 고구려의 지명과 관제 등에 대한 새로운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당의 고구려 고토 지배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케 하여 고구려 수도인 평양성과 안동도호부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발해 성립 이후의 문제에 대해서도 천착이 필요할 것이다. 기존에 알려진 지식과는 상반된 기록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좀 늦었지만, 조만간 국내 학회에서 공개 발표를 통하여 관련 연구자들에 검증을 받은 후 논문을 최종 완성하도록 할 것이다. 완성된 원고는 국내 전문학술지는 물론 중국의 전문 학술지에 투고하여 한국 내의 연구 성과를 중국 학계에도 알릴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과 중국 학계에 연구 성과를 공유하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구려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학계에 제공함으로써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게 하였다. 고구려인으로는 최초로 남씨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당의 안동도호부를 비롯한 고토지배정책과 고구려유민에 처우나 활용 등에 대해 새로운 연구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 유민이 당에 들어가 안록산의 난에 휘말렸다가 당 현종에게 다시 귀부하는 등 복잡다단한 삶을 살았던 기록을 마주하게 되었다. 고구려를 멸망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설인귀의 손자가 묘주인 남단덕의 묘지명을 작성하는 등 고구려 유민들은 당에 들어가 귀족 가문들과 교류한 흔적을 발견한 것도 주요한 성과이다. 또한 기왕의 중국 학계에서 당 장안성의 지명 비정에 오류가 있었던 것을 묘지명의 내용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국사 연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색인어
  • 묘지명, 남단덕, 고구려 유민, 평양성, 요동, 마미주, 안동도호부, 설인귀, 설기, 서안비림박물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