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5694&local_id=10086693
중국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자원발굴과 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 조선족학교 & #39;학교문화& #39;자원발굴과 그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안병삼(초당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232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①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중 구성원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족학교는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서 많은 변화적 요인을 맞이하였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조선족학생이 줄어드는 현상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배경하에 조선족학교의 전략은 한족학생의 수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동북3성 전체의 조선족학교가 어떻게 한족학생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고찰하였다. ②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학교가 생산해 낸 학교문화유산자원 중 학교 교표에 대해 원문자료의 발굴과 수집을 통하여 그 학교문화에 담긴 여러 가지 교육, 문화적 특징을 조선족사회의 역사적, 사회적, 현재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족학교 교표에는 한민족 특성과 학교가 자리잡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잘 나타내려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많은 학교문화유산자원으로써의 교표가 소실되어 연구 자료도 부족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인 사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③ 현재 조선족학교 학교문화는 예전과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이러한 변화 특징과 그 변화원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변화 원인으로는 학생 부족, 조선족학교의 정체성 혼란, 민족교육의 약화, 교원의 수급불균형과 노령화의 심각성, 조선족공동체 역할의 축소 및 붕괴, 학부모가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것 등이었다.
  • 영문
  • ① This paper started as an endeavor to preserve Korean culture property through the discovery and analysis about acceptance Han Chinese(漢族) students of Chinese-Korean School in the Chinese-Korean residence, of which population is quickly disappearing.
    Acceptance of the Han Chinese(漢族) students was begun in the 2000s after. Has the characteristic can be seen in this phenomenon. First, reinforce kindergarten education in Chinese-Korean School. Second, Acceptance Han Chinese(漢族) students of Chinese-Korean School is the fact that absolutely totally turns on opinions of the Principal. Third, Considering the Han Chinese(漢族) students brought a change of school operations. Fourth, One of Han Chinese(漢族) students’ parents is a Korean-Chinese in the early.
    Han Chinese(漢族) students, what i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hinese-Korean School? First,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can look for a job after graduation. Second, They selected the Chinese-Korean Schools for university. Third, Because they want to receive training in a variety of other learning. Fourth,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emphasized by the Chinese government.
    ②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symbol of Chinese-Korean school about the design, features and content. To begin with, Learn about the features of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First, There is no record of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Second, Using a variety of methods for symbol of Chinese-Korean school are not taken. More and more emphasis is also disappearing. Third,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design has often used the iconography. Fourth,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design was used for the school initials in English, and It has revealed the identity of Chinese-Korean School. Fifth, Each color has a meaning at symbol of Chinese-Korean school. The next thing is that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has let out what it contains. First,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has emphasiz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Second,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contains both educ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Chinese-Korean school’s symbol has a lot of challenges to overcome Message.
    ③ The school culture of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school has been rapidly changing due to various cau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ason why the school culture of the Chinese Korean school is suddenly transformed into various causes.
    The cau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ause is the lack of students. Second,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Chinese Korean schools has transformed the school culture. Third, the weakening of national education brought about a transformation of school culture. Fourth,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 severity of aging caused school culture change. Fifth, the reduction and collapse of the role of Chinese Korean community is the cause of school culture change. Sixth, the fact that parents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is the reason for transforming school culture.
    The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Chinese Korean school has suffered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abolition of students and the collapse of the Korean house. This paper is a study that investigates the cause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이 1906년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인 서전서숙을 시작으로 민족교육을 위해 중국 동북3성에 세운 朝鮮族學校의 학교문화 유산자원에 대한 발굴 및 수집과 정리를 통해 자료의 영구보존과 학술적 활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朝鮮族學校의 학교문화에 집중하는 것은 조선족학교가 중국에서 단순한 배움의 장소로써의 학교문화뿐만 아니라 조선족 민족공동체 구심점으로써의 학교문화, 학생 민족의식 고취의 학교문화, 한족과 조선족간 문화교류의 학교문화 등 다양한 학교문화를 창조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해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의 연구 결과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도 현지조사 지역은 연변조선족자치주를 비롯하여 장춘시, 길림시, 영길현, 매하구시, 장백조선족자치현, 통화시, 교하시, 류하현, 집안시 등의 중국 길림성 지역이다. 직접적인 조사대상은 조선족 유치원을 비롯하여 조선족 소학교, 조선족 중학교, 조선족 고등학교, 조선족 대학교 등이며, 이외에도 폐교된 조선족학교의 졸업생, 연변대학조선족교육연구소, 민간소장가, 퇴직교원 등이다. 동시에 연구기간 동안 현존하는 길림성 조선족학교(연변조선족자치주 50여 곳, 기타 길림성 지역 30여곳)를 방문하여 조선족학교의 여러 가지 학교문화를 발굴 및 수집하였다. 이러한 연구활동을 통하여 중국 길림성의 朝鮮族學校가 생산해 낸 학교문화유산자원이 가지는 과계 한민족학교의 독특한 학교문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중국 길림성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에 대한 발굴 및 수집은 현존하는 조선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미 폐교된 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 역시 집중적으로 발굴하였다. 그 결과, 당초 연구계획서에서 목표성과로 제시했던 폐교된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200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200건을 훨씬 뛰어넘는 1,000여건이 넘는 자료(폐교된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400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600건)를 수집하여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수집된 학교문화유산자원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학교 문건, 도서, 상장, 성적표, 학교 건물 및 학생활동사진, 졸업사진, 앨범, 졸업장, 교지, 학교인장, 학교배지 등이 있다. 둘째, 2차년도 현지조사 지역은 하얼빈지구(하얼빈시, 상지시, 오상시 등)를 비롯하여 목단강지구(목단강시, 해림시, 녕안시 등), 계서지구(계서시, 계동시, 계림향조선족자치향 등), 칠대하지구(벌리현 등), 가목사시지구(가목사시, 화천현 등), 학강지구(라북현 등) 등의 중국 흑룡강성 지역이다.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에 대한 발굴 및 수집은 현존하는 조선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미 폐교된 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 역시 집중적으로 발굴하였다. 그 결과, 당초 연구계획서에서 목표성과로 제시했던 폐교된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150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150건을 훨씬 뛰어넘는 500여건이 넘는 자료(폐교된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200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300건)를 수집하여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연구책임자는 2차년도 기간동안 중국 朝鮮族學校의 학교문화와 관련한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2 편을 발표하였다. 특히 학교문화 중 교가와 관련한 서적(『중국 길림성 조선족학교 교가와 그 연구』, 북코리아, 2015년)을 출판하였다. 셋째, 3차년도 현지조사 지역은 심양지구(심양시 등)를 비롯하여 철령지구(철령시, 개원시 등), 무순지구(무순시, 청원만족자치현, 신빈만족자치현 등), 단동지구(단동시, 봉성시, 동항시 등), 본계지구(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등), 안산지구(안산시 등) 등의 중국 요녕성 지역이다. 현존하는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은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 당안관을 비롯하여 학교 선생님을 통하여 수집하였고, 동시에 조선족학교 현황을 이해하기위해 선생님들과의 면담은 특히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폐교된 학교의 학교문화유산자원은 그 자료를 가지고 있는 신문사나 출판사 교육자료실, 퇴직교원 혹은 개인소장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당초 연구계획서에서 목표성과로 제시했던 폐교된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100건,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유산자원 100건을 무난하게 초과 수집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 기간동안에 논문 1펀을 한국연구재단 (후보)등재지에 게재하는 성과가 있었고, 교가를 정리한 『(가칭)중국 흑룡강성 조선족학교 교가와 그 연구』 와 『(가칭)중국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와 그 연구』에 대한 저서가 곧 출판될 예정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연구목표 하에 본 연구가 그동안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중 구성원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족학교는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서 많은 변화적 요인을 맞이하였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조선족학생이 줄어드는 현상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배경하에 조선족학교의 전략은 한족학생의 수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동북3성 전체의 조선족학교가 어떻게 한족학생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고찰하였다. ②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학교가 생산해 낸 학교문화유산자원 중 학교 교표에 대해 원문자료의 발굴과 수집을 통하여 그 학교문화에 담긴 여러 가지 교육, 문화적 특징을 조선족사회의 역사적, 사회적, 현재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족학교 교표에는 한민족 특성과 학교가 자리잡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잘 나타내려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많은 학교문화유산자원으로써의 교표가 소실되어 연구 자료도 부족하여 현재까지 구체적인 사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③ 현재 조선족학교 학교문화는 예전과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이러한 변화 특징과 그 변화원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변화 원인으로는 학생 부족, 조선족학교의 정체성 혼란, 민족교육의 약화, 교원의 수급불균형과 노령화의 심각성, 조선족공동체 역할의 축소 및 붕괴, 학부모가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것 등이었다.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및 콘텐츠 개발이다. 대학 내 한국학, 교육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원자료를 접근하는 소스로 활용될 수 있고, 민족 정보자료네트워크를 각 초, 중, 고, 대학교에 연계하여 한민족의 정체성, 우수성 등의 민족교육과 국가관을 고취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한국학 관련기관과 연계활동을 할 수 있다. 해외 학교문화유산자원 등의 핵심정보를 바탕으로 한국 내 학교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쉽게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민족의 한국학 범위도 넓힐 수 있다.
  • 색인어
  • 중국, 조선족,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발굴, 보존, 변화, 교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