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5913&local_id=10086624
농촌관광개발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집단적 측면에서 주민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농촌관광개발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집단적 측면에서 주민지각에 미치는 영향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용순(경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372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집단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과 주민지각과의 관계를 시간적 흐름에(종단적 연구방법) 따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있으며, 10개의 농촌마을을 두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년의 연구기간 동안 지역주민 설문조사 5회와 지역리더 인터뷰 조사 3회를 년차별로 실시하였다. 확보된 설문 및 인터뷰 데이터의 분석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혼합한 다중분석방법으로 접근할 것이다. 설문 데이터 분석은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활용하고, 인터뷰 데이터 분석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집단 간에 가장 중요한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파악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실증적인 측면에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론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은 공동체라는 사회적 관계망에 기초하여 주민 간의 신뢰와 상호 호혜성 요소들이 결합하여 생성된 자본이라는 명확한 개념정립을 들 수 있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두 가지 분석방법(정량적 분석/정성적 분석)을 사용하여 각각의 분석방법이 가지고 있는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종단적 연구를 통해서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농촌마을 주민들에게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정과 변화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연구지평을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실증적 측면에서는 두 집단 간의 영향관계의 차이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지역적 특성과 지역주민들의 의식수준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influ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esidents’ perception on the temporal flow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and also explores the differences of influence between two groups in 10 rural communities according to degree of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5 questionnaires for community residents and 3 interviews for community leaders on a yearly basis during the three year study period. The analysis of secured survey and interview data will use multi-method approach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Quantitative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ill us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program, and qualitative (interviews) data analysis will identify the most important social capital factors among two group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the theoretical, the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aspects. On the theoretical aspect, social capital is a definite concept that i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of community, that is, the combination of trust and mutual reciprocity. From the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using two analytical method (Quantitative / Qualitative analysis)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ch method. From the empirical point of view,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two groups can confirm whethe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ffects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resid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0개의 농촌마을(경기도 5개, 강원도 5개)을 대상으로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종단적 연구)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가 주민지각(삶의 질,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주민지각에 대한 이론고찰과 연구방법 설계, 현장조사 등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년간에 걸쳐 총 5회의 설문조사와 3회의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연구의 수행내용과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년차 연구에서는 이론고찰과 연구방법 설계, 1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론고찰에는 집단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과 주민지각(삶의 질, 태도)에 대한 연구의 흐름과 개념정의, 구성형태와 측정문항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 설계에서는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설문 및 인터뷰 문항설계, 연구대상지 선정 등이 이루어졌는데, 선행연구를 토대로 총 31개의 설문문항(사회적 자본 16, 삶의 질 12, 태도 3)과 총 20개의 인터뷰 문항(사회적 자본 12, 삶의 질 5, 태도 3)을 추출하였다. 현장조사는 1회의 설문조사와 1회의 인터뷰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98부의 설문자료와 10개의 마을별 리더 인터뷰 자료를 확보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이론고찰의 보완과 현장조사, 연구논문 작성이 이루어졌는데, 이론고찰에서는 2010년 이후 발표된 국내ㆍ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집단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 개념을 보완하였다. 현장조사는 총 2회의 설문조사와 1회의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2차 설문에서는 10개 마을을 대상으로 372부를, 3차에서는 8개 마을을 대상으로 285부의 설문자료와 8개 마을의 리더 인터뷰 자료를 확보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 2개 마을이 제외되었는데, 이는 마을이 처한 상황에 의해 더 이상의 연구가 진행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논문 작성은 1년차 주민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관광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 주민지각과의 관계”라는 주제로 KCI 등재지(농촌계획)에 2015년 9월에 연구논문을 게재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현장조사와 연구논문 작성이 주로 이루어졌는데, 현장조사의 경우 2회의 설문조사와 1회의 인터뷰 조사가 실시되었다. 3년차 연구에서는 2년차 연구에서 배제된 2개 마을 외에 3개 마을이 제외되어 총 5개 마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장조사 결과 4차에서는 7개 마을을 대상으로 192부의 설문자료를 확보하였으며, 5차에서는 5개 마을을 대상으로 총 165부의 설문자료와 5개 마을에 대한 3차 마을리더 인터뷰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구논문 작성은 1-5차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 논문과 1-3차에 걸친 인터뷰 데이터를 가공한 정성적 연구논문으로 구분하여 작성 중에 있다. 정량적 연구논문은 현재 서론(1장)과 이론고찰(2장), 연구방법(3장)은 작성이 완료된 상태이며, 17년 12월에 KCI 등재지 투고를 목적으로 현재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에 있다. 인터뷰 데이터를 이용한 정성적 연구논문 최종적으로 3차까지 본 연구에 참여한 4개 마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비정형화된 인터뷰 데이터의 분석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작성 중에 있으며, 2018년 3월 한국연구재단(KCI) 등재학술지에 투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관련하여 최초 연구시점(1년차)에서부터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3년차)까지의 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초기-중기-후기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계별로 집단별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추적, 비교하는 종단연구이다. 이러한 종단연구에서는 지역주민들의 상황적 인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설문조사) 분석방법과 정성적(인터뷰조사) 분석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중분석방법(multi-method approach)을 사용하여 연구논문을 작성할 계획이며, 작성된 연구논문은 18년 12월까지 SSCI에 투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농촌관광개발을 시작하는 10개 마을을 대상으로 사업초기 년도(2015년)부터 3년이라는 기간을 설정하여 지역주민과 리더그룹을 대상으로 주민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시간적 흐름에 따른 종단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축적된 데이터와 연구결과는 학문적 기여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집단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데, 사회적 자본과 관련하여 연구자 혹은 집단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개념에 다소간의 차이를 내포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신뢰(trust)와 규범(norms),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기본개념으로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ㆍ외 선행연구(박용순ㆍ제상호, 2015; 박용순, 2014b; Hwang & Stewart, 2016; Liu et al., 2014; McGehee et al., 2010)를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집단적 측면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집단(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망에 기초하여 주민 간의 신뢰와 상호 호혜성 요소들이 결합하여 생성된 자본”으로 개념정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지역사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역사회 기반형 관광개발을 연구하고자 하는 잠재적 연구자에게는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단적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두 가지 분석방법(정량적 분석/정성적 분석)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분석방법이 가지고 있는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의 진행 또한 일시적 시점에서 조사가 이루어지는 횡단적 연구방법이 아닌 일정기간 시차를 두고 연속된 조사를 진행하는 종단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농촌마을 주민들에게 사회적 자본 형성과정과 이로 인한 주민지각(삶의 질, 태도)의 변화정도를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측정함으로써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연구지평을 확장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커뮤니티 구성원 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공동체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중요 요인 또한 변화과정을 보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연구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다중 분석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비정형화된 인터뷰 데이터의 경우 년차별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이 년차별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네트워크의 시각화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농촌 및 지역사회 관광개발 연구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한 실증적 기여는 지역별(경기도, 강원도)로 집단의 구분하고 있고, 영향관계 검증결과 집단 간에 사회적 자본 형성과 이로 인해 주민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즉,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에 따라서 지역주민이 느끼는 삶의 질이나 농촌관광에 대한 태도는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지역적 특성과 지역주민들의 의식수준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농촌관광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지원하는 맞춤형 농촌관광개발로의 정책적 제언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농촌관광개발, 지역사회 관광개발, 농촌마을, 사회적 관계, 구조적 사회적 자본, 인지적 사회적 자본, 신뢰, 규범, 네트워크, 삶의 질, 지역주민 태도, 주민지각, 주민인식, 횡단연구, 종단연구, 의사결정과정, 주민 권한강화, 주민참여, 공동체 연대, 커뮤니티 정체성, 사회적 영향, 주민 설문조사, 리더 인터뷰조사 내용분석방법, 언어네트워크 분석, 연합적 네트워크, 제도적 구조, 관계적 거버넌스, 사회적 신뢰, 경제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화문화적 만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