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6606&local_id=10086033
대만해협양안과 남북한의 상호관계관리기제의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만해협양안과 남북한의 상호관계관리기제의 비교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규태(가톨릭관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3536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문요약
    대만해협양안과 남북한의 상호관계 관리기제의 비교연구
    - "양안관계모델"의 남북한관계에 대한 적용 가능성 분석

    본 연구는 중국과 대만의 양안분단관계의 역사와 현황 및 상호관계관리기제를 분석하고, 양안 사이의 분단관계를 관리하는 기제를 하나의 '양안관계모델'로 설정하고, 그러한 모델이 남북한과 같은 분단국가의 상호 관계관리를 위한 기제로서 이론적으로 혹은 정책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4가지로 정리할 수가 있다. 첫째는 대만해협양안모델이 분단국가통합 연구이론개발의 실증사례로 가치가 있기 때문이며; 둘째는 남북한 관계의 비교연구사례로 연구가 필요한 것이며; 셋째는 한국의 대외전략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중국문제의 하나로서 연구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양안 관계의 국내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커니즘(기제)의 관점을 도입하여, 대만해협양안의 분단관계 관리기제와 협상소통기제 발전과정을 역사분석과 문헌분석과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남북한 관계와 비교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하나의 모델화하는 연구방법과 분석체계를 취하고 있다. 즉, '양안 관계모델'과 '양안협상소통기제모델’이 가능한지 분석 평가하고, 이를 남북한 관계와 비교함으로서, 그것이 분단국가의 분단관계를 관리하는 기제로서 이론적으로 정책적으로 유효한 것인가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양안 관계의 가장 큰 특징은 양안 사이 여전히 매우 심각한 정치적 쟁점에도 불구하고, 상호교류협력하면서 협상소통하는 기제를 단계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중국의 '一國兩制'(일국양제), 정치쟁점을 피하고자 합의한 '九二共識')92공식)이라는 정치적 공감대, 민간단체 사이의 '兩岸兩會'(양안양회, 海基會 와 海協會) 및 兩岸事務首長會議(양안사무수장회의), 각종 정당간 협상소통기제와 같은 협상조직기제의 제도화가 그러한 기제들이다. (2) 양안은 '先(선)교류협력 後(후)제도절차합의'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이고 내외환경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상호 관계 접근법과 분단관계 관리기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남북한의 '선제도절차합의 후교류협력'이 접근법과 분명하게 비교되는 기제로서 남북한과 양안 사이의 교류협력성과를 비교하면 실증적으로 양안 분단관계 관리기제의 성공적 운영을 확인할 수가 있다. (3) 분단관계에서 교류협력과 통합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치지도자의 정치적 결단과 정치경제체제 개방 및 다원화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양안 관계발전의 또 다른 성공적 요인이다. 중국의 鄧小平(등소평)과 대만의 蔣經國(장경국)총통이 내적 외적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양안 관계를 평화적 안정적으로 발전시키는 양안 관계의 패러다임 전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4) 현재 양안 관계에서 교류협력관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통합추세에 반하는 '현상유지' 추구와 '대만독립'에 대한 선호도가 대만민중들 사이에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이 가장 중시하는 '확산효과'와 배치되는 현상이다. 이는 통합이론의 한계를 보여주는 현상으로 더 심도 있는 이론적 탐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양안 관계는 남북한 관계와 비교할 때, 협상소통기제를 포함한 분단관계 관리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평화적으로 상호교류협력하면서 점진적 통합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성과가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메커니즘(기제)의 관점에서 보면, 양안의 분단관계 관리기제와 그 중에서도 협상소통기제는 성공적으로 제도화한 것이기에, 그것을 하나의 모델로 이론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양안 관계 관리기제의 제도화과정에서 대만에서 독립운동과 중국의 '一國兩制'로 인한 정치적 쟁점은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가 있다는 것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양안 관계모델의 한계이자 이념체제로 분단된 국가의 통합과정의 핵심 문제점이기도 하다. 남북한 분단관계 관계관리와 협상소통기제의 발전을 위해서, 그러한 양안 관계 관리기제와 협상소통기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교 연구할 가치가 있다.

    주제어:
    대만해협양안관계(양안관계), 남북한관계, 분단국가, 분단관계 관리기제, 중국, 대만, 북한, 남한, 통일, 통합, 협상소통기제
  • 영문

  •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management mechanisms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and Taiwan Strait
    -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Model of Relations of Cross Taiwan Strait" to the North-South Korean Relations


    LEE, Kyu Tae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n exchange and cooperation framework from relations of both sides, which had been completely cut off during the Cold War, China and Taiwan have developed quite successfully the system of organization, the legal norm, and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mech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in the Taiwan Strait. It is defined as 'Cross-Taiwan Strait bilateral relation model', as one of the models to manage the divided national relations, focusing on mutual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mechanism to manage mutual division relation.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Cross-Taiwan Strait bilateral relation model' is valuable as an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research theory for integration of divided nation ;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inter-Korean relations because relations between both sides have developed mechanisms to manage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successfully; Third, China's unification problem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because such problem closely affects Korea's foreign strategy; Finally, domestic studies of Cross-Taiwan Strait relation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analyzing how the both sides of Taiwan Straits develops an organizational system for mutu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negotiation communication. Second, the study analyzes how they developed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mechanism as a mutual relationship management mechanism in the process of change of relat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tracing its change proces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the study summarized and named it as 'Cross-Taiwan Strait bilateral relation model', which can be one of the models to manage the divided national relations with its negotia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mechanism. As an integration model of divided nation, in this paper analyzed its characteristic in comparison with the integration theory too. Finally, the paper discusses whether such Cross-Taiwan Strait bilateral relationship model' and its negotia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mechanism can be applied as a management mechanism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tual relationship management mechanism and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Taiwan Strait using historical analysi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and taking the analysis system that model the result by inductive method. This is because any theoretical methods such as functionalism, neo- functionalism, communication theory, federalism, and even Constructivism or institutionalism etc. fail to present an objective and quantified theoretical analysis methodology that solves the problems of divided nations. It is possible to make a theory of 'Cross-Taiwan Strait relationship model' and a 'Cross-Taiwan Strait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model', establish a research methodology or divisional relationship management paradigm,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 integration process appearing in the Taiwan Strait.
    Research data for this can be found through various internet networks except for theses and published research books. There is no major problem in collecting data for the preparation of the paper because Taiwan and China are fully disclosing the policy to the other or materials about Both sides relation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in feature of 'Cross-Taiwan Strait relationship model' and a 'Cross-Taiwan Strait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model', are that despite the very serious political issues between the two sides, they successfully developed the mechanism for cooperating, negotiat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or example, China's unification policy of 'one country, two systems(一國兩制)' and 'the 1992 Consensus(九二共識)' to adhere the one-China principle, and to oppose 'Taiwan independence(臺獨)', are a sort of political discourse to develop bilateral relations while avoiding the political issues of Chinese sovereignty. And negotiation mechanisms between tw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The Straits Exchange Foundation(SEF, 海峡交流基金会) and The Association for Relations Across the Taiwan Straits (ARATS, 海峡两岸关系协会)- that generally called '两岸两会'(conference of two organizations cross-the Taiwan Strait)of the institutionalized cross-strait negotiation mechanism, minimized political conflicts and barriers between two sides of the Taiwan Strait.
    (2) Like the inter-Korean relations, perfect governmental initiative and the federalist approach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e-emptive consultation' in the division relationship management have limit in mutual relational development as a reverse process of political factors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politically very weak division system.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demonstrates it.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success of 'Cross-Taiwan Strait relationship model', the two Koreas should seriously consider mutual relationship management mechanism and the transition of the paradigm that manages it.
    (3) The situation of division is very sensitive and political conflicts exist. Therefore, the political decision of political leaders and the opening and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economy system should be concurrently proceeded with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utual division management system. China's Deng Xiaoping(鄧小平) and the Taiwanese president Chiang Ching-kuo(蔣經國)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a mechanism for negotiating and developing a paradigm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Cross-Taiwan Strait relations by pursuing such political determination and reform and opening. Likewise, the pursuit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Taiwan independence claim' contrary to the trend of consolidation in current both sides relations is the problem of political system in the dictato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limit of the political power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leader in the process of competition to lead integration. The phenomenon contradicts the 'diffusion(spill over) effe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functionalist unification theory, which is increasingly arising.
    In conclusion, the 'Cross-Taiwan Strait relationship model' and its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still have various problems, and there is a limit to avoid the political issue between the two parties, which is the biggest contradiction of the divisio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the mechanism based on this study,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operating principles, the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and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performance based on it are comparatively successful cases. In particular, the relations of two(China and Taiwan) - as a 'Cross-Taiwan Strait relationship model', when compared with the inter-Korean relations, can be said to have proved successful achievement clearly and empirically as a mechanism of peaceful coexistence and integration in the division relationship. Therefore, the model of Cross-the Taiwan Strait on the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chanism is worthy of reference in various aspects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mutu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negoti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of division of the two Koreas.

    Key words:
    Relations of Cross-Taiwan Strait, Inter-Korean Relations, divided nations, China, Taiwan, North Korea, South Korea, unification, integration,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mechanis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만해협양안과 남북한의 상호관계 관리기제의 비교연구
    - "양안관계모델"의 남북한관계에 대한 적용 가능성 분석

    본 연구는 중국과 대만의 양안분단관계의 역사와 현황 및 상호관계관리기제를 분석하고, 양안 사이의 분단관계를 관리하는 기제를 하나의 '양안관계모델'로 설정하고, 그러한 모델이 남북한과 같은 분단국가의 상호 관계관리를 위한 기제로서 이론적으로 혹은 정책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4가지로 정리할 수가 있다. 첫째는 대만해협양안모델이 분단국가통합 연구이론개발의 실증사례로 가치가 있기 때문이며; 둘째는 남북한 관계의 비교연구사례로 연구가 필요한 것이며; 셋째는 한국의 대외전략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중국문제의 하나로서 연구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양안 관계의 국내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커니즘(기제)의 관점을 도입하여, 대만해협양안의 분단관계 관리기제와 협상소통기제 발전과정을 역사분석과 문헌분석과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남북한 관계와 비교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하나의 모델화하는 연구방법과 분석체계를 취하고 있다. 즉, '양안 관계모델'과 '양안협상소통기제모델’이 가능한지 분석 평가하고, 이를 남북한 관계와 비교함으로서, 그것이 분단국가의 분단관계를 관리하는 기제로서 이론적으로 정책적으로 유효한 것인가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양안 관계의 가장 큰 특징은 양안 사이 여전히 매우 심각한 정치적 쟁점에도 불구하고, 상호교류협력하면서 협상소통하는 기제를 단계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중국의 '一國兩制'(일국양제), 정치쟁점을 피하고자 합의한 '九二共識')92공식)이라는 정치적 공감대, 민간단체 사이의 '兩岸兩會'(양안양회, 海基會 와 海協會) 및 兩岸事務首長會議(양안사무수장회의), 각종 정당간 협상소통기제와 같은 협상조직기제의 제도화가 그러한 기제들이다. (2) 양안은 '先(선)교류협력 後(후)제도절차합의'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이고 내외환경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상호 관계 접근법과 분단관계 관리기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남북한의 '선제도절차합의 후교류협력'이 접근법과 분명하게 비교되는 기제로서 남북한과 양안 사이의 교류협력성과를 비교하면 실증적으로 양안 분단관계 관리기제의 성공적 운영을 확인할 수가 있다. (3) 분단관계에서 교류협력과 통합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치지도자의 정치적 결단과 정치경제체제 개방 및 다원화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양안 관계발전의 또 다른 성공적 요인이다. 중국의 鄧小平(등소평)과 대만의 蔣經國(장경국)총통이 내적 외적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양안 관계를 평화적 안정적으로 발전시키는 양안 관계의 패러다임 전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4) 현재 양안 관계에서 교류협력관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통합추세에 반하는 '현상유지' 추구와 '대만독립'에 대한 선호도가 대만민중들 사이에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신기능주의 통합이론이 가장 중시하는 '확산효과'와 배치되는 현상이다. 이는 통합이론의 한계를 보여주는 현상으로 더 심도 있는 이론적 탐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양안 관계는 남북한 관계와 비교할 때, 협상소통기제를 포함한 분단관계 관리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평화적으로 상호교류협력하면서 점진적 통합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성과가 실질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메커니즘(기제)의 관점에서 보면, 양안의 분단관계 관리기제와 그 중에서도 협상소통기제는 성공적으로 제도화한 것이기에, 그것을 하나의 모델로 이론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양안 관계 관리기제의 제도화과정에서 대만에서 독립운동과 중국의 '一國兩制'로 인한 정치적 쟁점은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가 있다는 것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양안 관계모델의 한계이자 이념체제로 분단된 국가의 통합과정의 핵심 문제점이기도 하다. 남북한 분단관계 관계관리와 협상소통기제의 발전을 위해서, 그러한 양안 관계 관리기제와 협상소통기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교 연구할 가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대만해협양안관계는 30년 동안 일반국가관계를 능가하는 교류협력관계를 발전시켰으며, 그 과정에 구축한 상호관계관리기제로서 조직체제, 법규, 협상소통기제는 남북한 관계와 비교할 때, 분단국가의 분단관계 관리기제로서 모법적 시스템으로 정착하였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정체된 남북한의 상호관계를 발전시키는 유용한 비교연구와 정책비교의 대상으로 대만해협양안관계는 하나의 의미있는 실증사례와 "모델"로 평가된다. 본연구과정에서 가능하면 국내에 심도있게 연구되지 않고 있는 그러한 대만해협양안관계를 관리하는 기제를 매우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활용방안: 분단국가 분단 상호관계관리의 기제로서 중국과 대만이 구축한 조직, 법규, 협상소통기제는 서로 큰 차이는 있지만, 양안관계를 충분히 통제하면서 교류협력관계를 원활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양안관계모델에 대한 연구는 때문에 분단국가 분단관계의 연구, 교류협력과 통합과정의 연구, 평화적 공존체제의 연구 등에 정책적으로 이론적으로 모두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여전히 상호관계관리기제를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는 남북한 관계에 비교대상, 혹은 비교연구의 대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할 수가 있다.
    1. 대만해협양안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자료로서 활용
    한국에서는 주로 동서독 관계를 많이 연구했지만, 대만해협양안관계의 연구는 주로 중국의 관점이나 "일국양제"와 같은 정치적 관점 혹은 거시적 전략적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본연구는 제도적 혹은 기제의 관점에서 양안관계의 연구를 위해 충분히 좋은 자료와 연구방향을 제공해 줄 수가 있을 것이다.
    2. 분단국가의 분단관계 관리기제에 대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
    이념체제에 의하여 분단상황에 처해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앞으로 남북한관계의 개선을 위해서 과거 통일이전 동서독 관계는 물론이고 현재 여전히 분단상황인 대만해협양안의 중국과 대만의 관계는 비교연구차원에서 지속적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그러한 비교연구를 위해서 역사적 문헌적 제도적 차원에서 충분하게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대만해협양안관계(양안관계), 남북한관계, 분단국가, 분단관계 관리기제, 중국, 대만, 북한, 남한, 통일, 통합, 협상소통기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