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6624&local_id=10086343
스마트 미러 기반의 서비스 디자인 적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스마트 미러 기반의 서비스 디자인 적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문석(광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5989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스마트 미러(Smart Mirror) 장치에 대한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고 공공장소 및 전시회와 플래그 쉽 스토어에 시제품을 선보이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러에 대한 개발을 위해 스마트 미러의 근본적인 성격인 인간중심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서비스 개념에 대한 연구 및 디스플레이 2.0 시대에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융합된 공간에 대한 프로세스를 연구, 기존의 공간을 재창조함으로서 기존의 서비스 형태가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 미러만이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창조하는 요소 기술과 사용자 중심적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미러 개발에 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next-generation displays, such as presenting prototypes in public places, exhibitions and flagship stores, and recently, Smart Mirror devices are being commercia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Mirror, this research studied the concept of human-centered and interactive service, which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Smart Mirror, and studied the process of space converged on next generation displays in the era of Display 2.0. Moreover, it studied the service type that can create new value that the existing service type could not provide by creating the existing space.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the element technology that creates a new type of content that only the Smart Mirror can provide using a Smart Mirror system and about user experience in the user-oriented user interface, it proposed a research direction for the user-oriented Smart Mirror development in future smart media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스마트 미러(Smart Mirror) 장치에 대한 개발이 공공장소와 전시회와 플래그 쉽 스토어에서 시제품을 선보이는 곳에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스마트 미러의 근본적인 성격인 인간중심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서비스 개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스마트 미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위해 IoT 시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미러 UX 평가, 홈 스마트 미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사용자 행태 및 니즈 분석 연구, 공공장소의 UX 기반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 활용 체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1차년도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IoT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스마트미러의 활용가치를 사용자 경험 기반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스마트미러가 활용될 장소에 따른 UX 평가를 위하여 Peter Morville의 Honeycomb 모델과 Jac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 원칙을 바탕으로 활용 편의성, 소통 효율성, 매체 흥미성, 공간 적합성의 주요 4개 요소가 가정, 공공장소 그리고 사업장에서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을 통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결과 스마트미러는 모든 장소에서 사용자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정에서는 활용 편의성과 공간 적합성이 높게 나와 홈오토메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수요가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공공장소에는 소통 효율성과 공간 적합성이 높게 나와 스마트미러의 활용은 공간 정보에 대한 제공이 용이한 매체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업장에서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매체 적합성이 높게 나타나 사업장 특성에 맞는 서비스 콘텐츠 제공이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간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스마트미러는 IoT 시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으로 적합한 매체이며,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고 할 수 있겠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주거 공간의 사용자들의 행태 및 니즈를 분석하여 홈 스마트 미러의 서비스 체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족 구성원의 행태 및 니즈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퍼소나의 다이어리 스터디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주거 공간의 양적 공간 활용 빈도와 공간 중요 가치 척도 2가지의 사용자 경험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홈 스마트 미러의 적용 공간(거실, 화장실, 파우더룸, 드레스룸, 현관, 주방, 방)과 사용자 니즈 유형(정보제공형, 오락형, 제어형, 서비스형)을 도출하였으며, 주거 공간과 사용자 니즈 유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조사를 위하여 설문을 기초로 통계적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석결과 공간에 따른 사용자 니즈 유형 선호도가 도출되었으며, 연령과 성별에 따른 홈 스마트 미러 서비스 체계가 도출되었다. 향후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에 있어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이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공공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를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UX 평가를 위하여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Honeycomb) 모델과 제이콥 니슬(Jac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 원칙을 바탕으로 사용성, 목적성, 매력성, 공간성의 주요 4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장소를 공익시설, 교통시설, 상품판매시설, 서비스이용시설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사용자 경험 기반 분석을 위하여 설문을 통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고 연령 및 성별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공시설의 이용도가 높고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욕구가 높은 10대, 20대의 경우 공익, 교통, 상품판매, 서비스 시설에서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도가 가장 높았다. 30대 이상의 층은 사용성과 목적성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공공장소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본 1, 2, 3차년도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스마트 미러 개발에 관해 사용자 경험과 설치 공간과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제공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 스마트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미디어 활용을 위한 사용자 가치연구 및 사용자 행태에 기반을 둔 스마트 미러 활성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설치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공간의 활용과 확장
    기존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휴대와 소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콘텐츠도 이에 따라 자이로 센서나 GPS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등 스마트 디바이스 자체가 모바일의 하위분류로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스마트 디바이스 핵심 부품의 처리 성능 향상과 하드웨어 가격 하락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메인보드를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장비의 범위 또한 매우 넓어졌으며 이제는 본격적으로 TV나 스마트 미러와 같이 대형 스크린을 탑재한 장치의 소스에도 Android OS와 같은 스마트 운영체제가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형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존의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와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조건만이 같을 뿐, 실제로 이용자가 장치를 접하게 되는 태도와 장치에 기대하는 Needs는 크게 달라진다. 또한 설치되는 공간의 용도와 이용 방법에 따라 장치를 통한 공간의 인식이 달라지며 이용자에게 최대한의 경험을 주기 위해서는 공간에 합당한 콘텐츠가 재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설치형 스마트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공간 디자인을 고려하여 물리적 공간에 귀속된 개념을 재탄생시키며 이에 따라 기존 정보서비스의 확장은 물론 문화콘텐츠 서비스를 확대시킬 수 있다.
    (2) 거울을 매개로 한 디스플레이의 연구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스마트 미러는 거울을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이므로 거울이라는 특성을 활용하게 된다. 거울에 비친 사물, 인체, 공간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자적 영상을 겹쳐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증강현실을 구현하며 이로 인한 거울의 이용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거울이 설치되는 위치와 사용하는 습관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이용자에게 쉽고 친숙한 사용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거울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멀티 유저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존까지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철저히 개인을 위한 미디어였으며 동기화나 클라우드와 같은 개인 계정 연계형 네트워크 의존도가 높은 사용 환경에 의해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근래에는 특정 이용자를 인식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숨겨진 화면이 표시되는 단말기나, 잠금 해제에 지문 인식을 활용하는 단말기 등 더욱 개인적인 장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비해 큰 화면을 사용하며 전화 기능이 없는 스마트 패드의 경우 이미 하나의 디바이스를 한 가족 또는 한 팀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때 기존에 개인화된 UX, UI와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생활 침해 문제, 다자간의 경험을 공유할 수 없는 문제, 다자가 모두 활용할 콘텐츠가 없는 문제 등이 대두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용도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되는 현재의 추세에서 공유 기반의 디바이스나 설치형 디바이스에 스마트 운영체제가 탑재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비책과 이용자의 경험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활용처 및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심도 있는 개발이 필요하다.
    (4) UI 중심적 연구에서 UX 중심적 연구로의 전환
    현재까지 개발 및 시제품화 된 가장 유명한 설치형/대형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TV와 지하철 플랫폼에 설치된 '디지털 뷰' 솔루션이 있다. 그러나 두 사례 모두 UI에 관한 연구에만 집중한 결과 이용자에게 목적에 맞지 않는 경험을 느끼게 한다. 이용자가 TV에 기대하는 Needs와 그간 TV를 이용해오던 습관에 해당하는 UX를 연구하지 않아 발생하는 이용의 난해함과 불필요함은 스마트TV 콘텐츠를 TV의 화질 시험용 번들 영상으로 전락하게 했으며,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경험 가능한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디지털뷰'는 오히려 사람들이 쳐다보는 가운데 멀뚱히 서서 활용하는 것이 낯부끄러워 꺼리게 되며 현재는 평범한 광고 전광판이 되었다. 따라서 신규 매체가 사장되지 않고 보급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생김새나 질을 결정하기 이전에 이용자의 행태를 충분히 연구하였으며, 어떠한 콘텐츠를 제공할 때 매체 특유의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UX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러와 관련된 아날로그 미디어ㆍ올드 미디어ㆍ디지털 사이니지ㆍ스마트 디바이스 전반의 이용자 행태 분석과 이용 전반의 경험 분석, 성공/실패사례 분석을 통해 첨단신기술ㆍ신규 미디어를 익숙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본 미디어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고유한 UX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스마트 미러, 공간 디자인, 설치형 스마트 디바이스, 멀티 유저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 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