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6718&local_id=10086378
일제강점기 일본어 잡지『조선공론』에 나타난 조선통치론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제강점기 일본어 잡지『조선공론』에 나타난 조선통치론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혜주(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3839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1차년도 과제: 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1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일선동화론
    『조선공론』은 일제의 식민지 경영과 대륙정책 확립, 총독정치에 공헌하기 위해 1913년에 창간되었다. 이 잡지의 총독정치 비판은 일제가 조선인들에게 무력통치를 자행한 것에 대한 비판이 아니었다. 총독부의 언론탄압과 ‘회사령’ 등의 규제로부터 조선에 있는 일본인의 자유와 이익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선통치를 위해 조선인 동화 문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인의 조선이주, 이민사업 부서 설치, 일본인과 조선인의 결혼 연구, 조선인 개명, 일본어 보급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2) 2차년도 과제: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2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1920년대는 3.1운동을 겪은 일제가 1910년대의 무단통치를 문화통치로 바꾼 시기이다. 『조선공론』의 사설에서는 데라우치의 무단통치에 대해 헌병제도 폐지, 3.1운동에 대한 대응책의 하나로 제기된 군비축소, 병비충실운동을 살펴보았다. ‘내선융화’를 내걸고 조선인을 회유하기 위해서는 조선 청년을 사상적으로 선도하고 조선인의 민족성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3) 3차년도 과제: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3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1930년대가 되면 일본 군부의 입김이 강화되는 가운데 대외침략전쟁을 본격화하면서, 조선을 전쟁동원 체제에 맞추어 갔다.『조선공론』에서는 조선이 대륙정책의 전진기지로서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미나미총독의 대륙정책 수행을 지지하며 비상시국 타개를 위한 여러 방안이 제기되었다. 이 잡지는 기본적으로 전시체제기에 당국의 지도방침을 따르면서 황실중심주의, 일본정신주의로 국방강화, 공산소멸을 외치며 국책에 순응해 나갔다.
  • 영문
  • 1) First-Year project: The Joseon Regime Theory and the Theory of Japan-Korea Ancestral Homogeneity in the 1910s shown in the magazine “Joseon Gongron”

    "Joseon Gongron" published its first issue in 1913 in a bid to contribute to the Japan’s colonial management, establishment of continental policies and the politics of Joseon Governor General. The criticism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y this magazine was not intended to condemn the rule of force against the Korean people by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to demand the freedom and interest of the Japanese residing in Joseon from the Governor-General's suppression of the pres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s Ordinance for Company Establishment". The magazine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assimilation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to ensure a smooth progress of governing Joseon. To this end, it found it imperative and urgent to implement a number of tasks, including relocation of the Japanese to Joseon, establishment of immigration office, study on marriage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Korean, change of people’s names, and the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2) Second-Year Project: The Joseon Regime Theory and the Naisen-yuwa Theory in the 1920s shown in the magazine “Joseon Gongron”

    The 1920s saw a transition from the forced ruling in the 1910s to the cultural ruling following the March 1 Movement. An editorial of "Joseon Gongron" covered the abolition of the military police system and examined the disarmament and the military safety movement as part of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March 1 Movement. It argued that cajole the people of Joseon under the slogan of 'Naisen-yuwa’, or complete integration of Korea and Japan requires the ideological leadership toward the youth of Joseon and the in-depth study on the ethnicity of the people of Joseon in general.


    3) Third-Year Project: The Joseon Regime Theory and the Naisen-yuwa Theory in the 1930s shown in the magazine “Joseon Gongron”

    The 1930s saw acceleration in aggressive wars on foreign countries in the midst of surge of the influence of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with Joseon mobilized to assist the wars. With the recognition the significance of Joseon as an advance base to put the continental policy into action, “Joseon Gongron” presented several measures to overcome the emergency situation while suppor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inental policy led by General-Governor Minami. The magazine blindly followed the directions of the national policies in compliance with the authorities on the war basis while crying for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se, extinction of communism under the imperialism and the Japanese spiritualis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1차년도 과제: 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1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일선동화론

    『朝鮮公論』은 일제의 식민지경영과 대륙정책 확립, 그리고 총독정치에 공헌하기 위해 창간되었는데 1910년대에는 무단통치를 비판하고 무관총독 폐지문제를 거론하였다. 그러나 총독정치 비판은 일제가 조선인들에게 무력통치를 자행한 것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언론탄압이나 ‘회사령’ 등의 규제로부터 재조일본인의 자유와 이익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朝鮮公論』에서는 2개 사단증설 문제에 대해 찬반양론을 소개하였다. 사단 증설을 찬성하는 측은 군비확장의 연장선상에서 국가의 존망이 걸린 문제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반대론자들은 2개 사단증설로 금후의 전쟁에 대비하기 어렵고, 증사보다는 조선인에 대한 정신교육과 철도건설이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
    조선통치를 위해 중요한 것은 조선인을 동화시키는 문제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인의 조선이주, 총독부에 이민사업 부서 설치, 내선인 결혼문제 연구, 조선인에 대한 개명, 일본어 보급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소요’의 원인규명과 대책을 위해 조선인의 사상을 연구하고, 자치권을 부여하며, 문치정책을 실시하고, 조선인이 일본인을 혐오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보았다.

    2) 2차년도 과제: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2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1920년대는 3.1운동을 겪은 일제가 1910년대의 동화정책 전략을 문화통치로 바꾼 시기이다. 동화정책을 유지하면서도 이를 점진적으로 실행하고 차별대우를 완화하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920년대에 들어 ‘동화’라는 말 대신에 ‘융화’라는 말이 채용되었다. 1920년대『조선공론』의 사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옹호, 군비축소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내선융화’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었다.
    데라우치 총독의 무단통치 평가에 대해 헌병제도 폐지, 3.1운동에 대한 대응책의 하나로 제기된 군비축소 문제, 병비충실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함께 문관 총독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견해와 총독 정년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한편 조선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문제는 총독부의 공식적 입장인 내지연장주의론과 일본정부 및 총독부에서 비판적인 자치론으로 나뉜다. 金心石, 이노우에 등은 참정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미야자키는 그것은 이상론에 불과하며 중추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시모리도 내지연장주의에서 ‘조국연장주의’로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문화정치기의 통치방식은 무단통치기와 비교하면 본질에서는 전혀 다르지 않고 교묘하게 강화된 것이다. ‘내선융화’를 내걸고 조선인을 회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선 청년을 사상적으로 선도하고 조선인의 민족성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조선인의 역사ㆍ국어ㆍ수신 교육과 공학 교육, 청년단 설립과 조선인물 양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내선융화’의 방법으로 일본인 이주를 장려하여 경제동화를 달성하고 통치기반을 조성하고, 조선인 우량인물의 양성과 초등교육의 보급을 통해 ‘내선융화’의 실적을 올릴 것을 강조한다. 조선민족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 재조선 일본인의 개조와 각성을 촉구하였다.

    3) 3차년도 과제:잡지『朝鮮公論』에 나타난 1930년대의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일제는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군부의 입김이 강화되는 가운데 대외침략전쟁을 본격화한다. 만주사변,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며 침략전쟁을 확대해 가고, 식민지 조선을 전쟁 동원체제에 맞추어 가는 정책을 전개했다.『조선공론』에서는 이러한 조선통치를 어떻게 비평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우가키총독에 대한 평가는 2대사장 이시모리 때는 비판적이었으나 3대사장 김사연과 4대사장 사토키치 재직시에는 상당히 호의적인 논조로 바뀐다.
    『조선공론』에서는 조선이 대륙정책의 전진기지로서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미나미총독의 대륙정책 수행을 적극 지지하며 비상시 난국타개를 위한 여러 방안이 제기되었다. 국사교육, 의무교육, 국어보급, 청년교육과 사상선도 문제 등을 통해 교육 보급과 중견인물 양성을 중요하게 보았다. ‘내선융화’보다 강화된 ‘내선일체’를 중시하였고 이를 위해 총독부는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전개하였다. 국민정신동원이란 이데올로기는 일본정신의 목소리가 높아지며 황도정신의 강조로 확장되어 갔다.
    『조선공론』은 기본적으로 당국의 지도방침을 따르면서 황실중심주의, 일본정신주의로 국방강화, 공산소멸을 외치며 전시동원체제기에는 국책에 순응해 나갔던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과제는 역사학 분야에서는 처음으로『朝鮮公論』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가 추진된다면 조선통치 회고, 조선 산업개발, 조선 역사왜곡, 총독부 소속 인물 분석, 친일 조선인, 여성, 교육, 지역사회의 동향, 문예 등 다양한 주제의 후속연구가 가능하다. 또한 식민지배정책사에서 누락된 재조일본인의 실태가 규명되어 이 분야의 지식을 증진시키고 재조일본인의 활동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켜 재조일본인 사회의 조직과 단체, 특성을 밝히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사정을 담고 있는『朝鮮公論』을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 학문교류를 확대하여 학제적 연구가 가능하고 인문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본 과제의 결과물은 연구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며 기 연구수행 과제의 결과 논문과 함께 최종 결과물을 단행본『근대 재조선 일본인의 언론활동』(가제)으로 간행할 예정이다.
    넷째, 본 연구결과는 식민통치의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조명은 물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우경화와 더불어 역사왜곡, 일본군위안부 부정 등에 대한 대응논리를 구축할 수 있다.
  • 색인어
  • 조선공론, 무단통치, 마키야마 고조, 군비확장, 3.1운동, 동화, 동화정책, 식민정책, 재조일본인, 사이토 총독, 이시모리 히사야, 조선이주민, 조선통치론, 내선융화, 제국주의, 식민지, 우가키총독, 미나미총독, 농촌진흥운동, 대륙정책, 총동원체제, 내선일체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