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248&local_id=10086415
한국형 암 생존자 행동-심리-사회적 건강관리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형 암 생존자 행동-심리-사회적 건강관리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정원(강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2134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암 생존자들이 암 치료를 받은 이후 지역사회로 나가기 전에 스스로 건강관리를 얼마나 잘 하고 있는 지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도구가 실제 암 생존자들의 건강관리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암 생존자, 가족, 치료진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해서 8개의 요소로 구성된 암 생존자 건강관리 척도를 개발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에서 개발된 척도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정확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암 생존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개발된 척도가 실제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준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점수를 산출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암 생존자 건강관리 척도를 활용해 암 생존자 중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대상자를 선별했으며, 선별된 생존자를 각각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가 3회기에 걸쳐 건강관리와 관련된 상담을 제공했으며, 통제집단에서는 어떤 개입도 제공하지 않았다. 집단에 무작위 할당하였다. 이 후, 실험집단은 3회기에 걸쳐 의료사회복지사와의 개별 면담을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상담을 제공받았다. 이 후, 실험연구가 실제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조사, 사후조사, 3개월 사후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암 생존자가 치료 이후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건강관리를 잘 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영문
  • The current research is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how cancer survivors manage their health in the community after cancer treatment, and to evaluate if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can be utilized to assess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First, the current research conducted the individual interviews for cancer survivors, famili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n, qualitative data based on interviews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cancer survivorship assessment tool which was comprised of eight components. In the second year, the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ncer survivorship assessment tool. Additionally, the cut-off scores for screening, which is used to identify the degree of cancer survivorship care in the community, were calculated. In the third year, cancer survivors were screened to conduct the experimental research, in which cancer survivo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Cancer survivor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o the three-session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conducted by the medical social worker. Survivors who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standard of care. The effectiveness of the cancer survivorship care experiment was evaluated using the pre-test, 1-month post test, and 3-month post test. The current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we suggest strategies to manage cancer survivorship care in the commun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암 생존자들을 위한 행동적, 심리·사회적 문제 사정에 필요한 건강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평가도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형 암 생존자 행동-심리-사회적 건강관리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둘째, 암 생존자, 가족, 의료진의 의사소통 방식과 건강관리 준수 정도에 따라 한국형 암 생존자 행동-심리-사회적 건강관리 평가 도구를 유형화, 점수화시킴으로써, 행동, 심리, 사회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위험 집단 (high-risk group)을 발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며, 셋째, 통제집단 전후비교 조사를 통해 한국형 암 생존자 행동-심리-사회적 건강관리 평가 도구가 high-risk group의 발굴에 적합하고, 평가도구에 근거한 개입이 효과적인지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차년도에서는 암 생존자, 가족, 치료진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해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척도를 개발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에서 개발한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암 생존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개발된 척도가 실제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준수 여부를 파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단점수 등을 산정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암 생존자 건강관리 척도를 활용해 암 생존자 중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대상자를 선별했으며, 선별된 생존자를 실험 및 통제집단에 무작위 할당하였다. 이 후, 실험집단은 3회기에 걸쳐 의료사회복지사와의 개별 면담을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상담을 제공받았다. 실험연구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조사, 사후조사, 3개월 사후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암 생존자가 치료 이후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건강관리를 잘 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암 생존자를 위한 건강관리’ 척도를 개발했으며, 개발된 건강관리 척도는 상당히 높은 신뢰성(Cronbach’s alpha = 0.858)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척도는 8가지 측면, 즉 사회적, 심리적, 인지적, 건강관리적, 신체적, 관계적, 환경적, 교육적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년도에서는 개발된 건강관리 척도를 활용해서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준수 여부를 선별하였고, 그 결과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정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써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를 극대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 및 프로그램은 향후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복귀하는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를 확인하고, 지지하며, 병원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암생존, 건강관리, 평가도구, 건강관리 프로그램, 삶의 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