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335&local_id=10086077
웹 기반 수용전념치료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만성통증 관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웹 기반 수용전념치료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만성통증 관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성근(충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7708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만성통증의 높은 유병률과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으로 인한 만성통증 치료 제공의 중요성 증가
    ● 만성통증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하며 고령화 사회 진입과 가속화된 산업화로 노년층뿐 아니라 청장년층의 유병률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
    ● 만성통증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다학제적인 접근이 보편화되었으나, 국내에는 의학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이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가 떨어짐
    ● 만성통증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나 국내에는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이 부족하고 관련 전문가가 거의 전무함
    ● 통증과 신체기능 저하로 외부활동이 어려워 통증관리 서비스가 제한됨
    ● 따라서 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접근방식이 필요

    본 연구의 목적
    ● 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웹 기반 협력적 상호작용 수용전념치료(WACIC; Web-based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us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for chronic pain management) 프로그램 구축
    ● WACIC 프로그램의 최적 조건을 탐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
    ● WACIC 프로그램을 상용화하여 임상현장에서 활용 기반 마련

    ● 1차년도
    1. 통증관리 프로그램 구성 및 인터넷 구현
    - 웹 기본 플랫폼 90% 완성

    2. 인지융합 질문지 타당화 연구(적절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보임)
    -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해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구성요소인 인지융합을 측정하는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 했음

    3. 전념행동 질문지 타당화 연구
    - 치료 프로그램 효과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해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구성요소인 전념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 했음

    ● 2차년도
    1. 웹 기본 플랫폼 100% 완성

    2. 환자 워크북 제작
    - 전문가의 피드백에 따라 동영상 대본에 근거해 환자용 워크북 제작

    3. 치료연구(환자용 워크북을 사용한 집단치료의 효과성 검증 연구)
    - 프로그램을 위해 제작한 환자용 워크북을 실제 집단치료에서 우선 적용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검증하고 환자들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는 작업을 거쳐 대본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했음
    - 집단치료 집단이 통상치료 집단에 비해 사후 및 추적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더 나은 기능을 나타냈음
    - 집단치료의 효과는 통증수용과 통증파국화에 의해 매개되었음
    - 집단치료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후 환자용 워크북 수정 및 보완

    4. 치료연구(환자용 워크북을 사용한 전화상담치료의 효과성 검증 연구)
    - 프로그램을 위해 제작한 환자용 워크북을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전화상담 도구로 적용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했음
    - 전화상담 집단이 사회적지지 집단에 비해 사후 및 추적 검사에서 미비하기는 하나 다소 높은 정도의 더 나은 기능을 나타냈음.
    - 전화상담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후 환자용 워크북 수정 및 보완

    ● 3차년도
    환자용 워크북을 적용하여 집단치료와 전화상담을 진행함으로써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출판함으로써 임상적용 기반 마련 및 보급하고자 했음

    1. 2차년도의 집단치료 및 전화상담 계속 운영

    2. 환자 워크북 수정, 보완 및 출판(2017년 6월)

    3. 환자 워크북을 활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 대상 무료 전화상담 시행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우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심리적 지원이 필요한 환자에게 무료 전화상담을, 환자 가족에게는 할인된 가격으로 심리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음

    4. 환자 워크북을 활용한 만성통증관리 워크숍 개최(2017년 10월)
    - 만성통증관리를 위한 수용전념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배우고 임상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만성통증관리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워크숍>을 개최

    ● 학문적 측면
    - 만성통증 환자의 신체 및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촉진
    - 만성통증뿐만 아니라 다른 만성질환(당뇨병, 심장병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플랫폼 제공

    ● 임상적 측면
    - 만성통증 환자들의 통증대처기술 증진 및 일상생활 적응을 촉진
    - 의학적 치료와 병행하여 통증치료의 효과성을 증진시킴
    - 치료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많은 환자들에게 표준화된 전문적 통증관리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연구인력양성 측면
    -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인력 양성
    - 프로그램을 교육도구로 사용하여 (심리학적) 통증관리 전문인력 양성
  • 영문
  • ● High prevalence of chronic pain and significant socio-economic costs increas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hronic pain relief
    ● Chronic pain leads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The prevalence of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the young and old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aging society and the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common in developed countries to solve the difficulties caused by chronic pain, but medical treatment is dominant in Korea, and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m is low
    ● A psychological approach is needed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caused by chronic pain, but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the patients in Korea and almost no specialists are involved.
    ● Pain and physical function deterioration, external activities are difficult, pain management services are limited
    ● Therefore, a new concept approach is nee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urpose of this study
    ● Web-based collaborative interaction for chronic pain management WACIC (Web-based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us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for chronic pain management) program
    ● Explore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WACIC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 Commercialization of WACIC program to provide a basis for clinical use

    ● First year
    1. Pain management program configuration and Internet implementation
    - Completion of web basic platform 90%

    2. Cognitive Fusion Questionnaire validation study (showing appropriate psychometric properties)
    -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mechanism of the treatment program, a tool to measure the cognitive fusion,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acceptance and committment therapy, was verified in Korean.

    3. Research on validation of Committed Action Questionnaire
    - In order to validate the mechanism of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gram, a tool for measurement of committed action, which is a core component of the acceptance and committment therapy,

    ● Year 2
    1. Web basic platform 100% completion

    2. Patient workbook production
    - Produce patient workbooks based on video transcripts based on expert feedback

    3. Therapeutic Study (Verification of Group Therapy using Patient Workbook)
    - The patient's workbook prepared for the program was first applied to actual group therap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the patient's feedback was received to correct the script.
    - The group treatment group showed better overall function in the postmortem and follow-up tests than the normal treatment group
    - The effects of group therapy were mediated by pain receptors and pain parasites.
    - After receiving feedback on the program for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therapy, revise and supplement the patient workbook

    4. Therapeutic Study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elephone counseling using patient workbook)
    - The patient's workbook prepared for the program was used as a telephone counseling tool for patients with mobility problems
    - The telephone counseling group showed a somewhat higher function than the social support group, though it was not as good as the post - test and follow - up test.
    - After receiving feedback on the program for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elephone counseling, revise and supplement the patient workbook

    ● Third year
    By applying the patient workbook, group therapy and telephone counseling were conducted, and the validity of the study was verified and published.

    1. Continuation of group therapy and telephone counseling in the second year

    2. Patient workbook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publication (June, 2017)

    3. Free telephone consultation for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using patient workbook
    - Concluded a contract with a complex area pain syndrome phobia to provide free telephone counseling to patients who need psychologic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ervices at a discounted price to patients' families

    4. Holding a chronic pain management workshop using patient workbook (October, 2017)
    - To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acceptance-oriented therapy for chronic pain management and to hold i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 Academic aspects
    - Empirical confirmation of the effects of chronic pain on phys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promotion of related research
    - Provides a basic platform for chronic pain as well as other chronic diseases (diabetes, heart disease, etc.)

    ● Clinical aspects
    - Promoting pain coping skills and adapting to daily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ain treatment in conjunction with medical treatment.
    - Provide many patients with standardized professional pain management regardless of proficiency of the therapist.

    ● Research Staff Training
    - Training of researchers in program development
    - Train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pain management professiona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만성통증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다학제적인 접근이 보편화되었으나, 국내에는 의학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이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실정이다. 만성통증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나 국내에는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이 부족하고 관련 전문가가 거의 전무하다. 또한 만성통증환자들은 통증과 신체기능 저하로 외부활동이 어려워 통증관리 서비스가 제한됨에 따라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웹 기반 협력적 상호작용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구축하여, 2) 프로그램의 최적 조건을 탐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 그리고 3) 프로그램을 상용화하여 임상현장에서 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총 3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 및 활용방안은 아래와 같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
    1. 통증관리 프로그램 구성 및 인터넷 구현
    - 웹 기본 플랫폼 90% 완성

    2. 인지융합 질문지 타당화 연구(적절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보임)
    -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해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구성요소인 인지융합을 측정하는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 했음

    3. 전념행동 질문지 타당화 연구
    - 치료 프로그램 효과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해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구성요소인 전념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 했음

    2차년도
    1. 웹 기본 플랫폼 100% 완성

    2. 환자 워크북 제작
    - 전문가의 피드백에 따라 동영상 대본에 근거해 환자용 워크북 제작

    3. 치료연구(환자용 워크북을 사용한 집단치료의 효과성 검증 연구)
    - 프로그램을 위해 제작한 환자용 워크북을 실제 집단치료에서 우선 적용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검증하고 환자들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는 작업을 거쳐 대본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했음
    - 집단치료 집단이 통상치료 집단에 비해 사후 및 추적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더 나은 기능을 나타냈음
    - 집단치료의 효과는 통증수용과 통증파국화에 의해 매개되었음
    - 집단치료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후 환자용 워크북 수정 및 보완

    4. 치료연구(환자용 워크북을 사용한 전화상담치료의 효과성 검증 연구)
    - 프로그램을 위해 제작한 환자용 워크북을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전화상담 도구로 적용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했음
    - 전화상담 집단이 사회적지지 집단에 비해 사후 및 추적 검사에서 미비하기는 하나 다소 높은 정도의 더 나은 기능을 나타냈음.
    - 전화상담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후 환자용 워크북 수정 및 보완

    3차년도
    환자용 워크북을 적용하여 집단치료와 전화상담을 진행함으로써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출판함으로써 임상적용 기반 마련 및 보급하고자 했음

    1. 2차년도의 집단치료 및 전화상담 계속 운영

    2. 환자 워크북 수정, 보완 및 출판(2017년 6월)

    3. 환자 워크북을 활용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 대상 무료 전화상담 시행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우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심리적 지원이 필요한 환자에게 무료 전화상담을, 환자 가족에게는 할인된 가격으로 심리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음

    4. 환자 워크북을 활용한 만성통증관리 워크숍 개최(2017년 10월)
    - 만성통증관리를 위한 수용전념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배우고 임상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만성통증관리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워크숍>을 개최

    학문적 측면
    - 만성통증 환자의 신체 및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촉진
    - 만성통증뿐만 아니라 다른 만성질환(당뇨병, 심장병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플랫폼 제공

    임상적 측면
    - 만성통증 환자들의 통증대처기술 증진 및 일상생활 적응을 촉진
    - 의학적 치료와 병행하여 통증치료의 효과성을 증진시킴
    - 치료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많은 환자들에게 표준화된 전문적 통증관리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연구인력양성 측면
    -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인력 양성
    - 프로그램을 교육도구로 사용하여 (심리학적) 통증관리 전문인력 양성
  • 색인어
  • 만성통증, 웹 기반 치료, 수용전념치료, 통증관리, 치료연구, 협력적 상호작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