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339&local_id=10086301
일-가족 양립 개념의 재검토: 남성친화적 접근과 그 정책방향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가족 양립 개념의 재검토: 남성친화적 접근과 그 정책방향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진욱(서강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5443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3년 과제로서 남성친화적 관점에서 일-가족 양립의 개념을 재구조화하고, 한국 남성(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일-가족 양립의 실태를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총 3개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년도에 수행된 주요 연구내용은 국내외 문헌연구, 다국가시간조사(MTUS) 자료를 활용한 양적연구, 남성 육아휴직자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 진행 및 이에 기초한 질적연구, 연구교류 및 성과확산 등이다. 2차년도에 수행된 주요 연구내용은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양적연구, 육아휴직자 대한 추적조사와 신규조사를 병행한 질적자료분석, 연구성과의 확산 및 연구논문 발표 등이다. 3차년도에서는 남성의 일-가족 양립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인터넷 기반 설문조사의 시행(약 1500명), 조사된 양적자료를 기반으로한 통계분석, 연구교류 및 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한 논문발표 등이다. 이러한 3년간의 연구를 통해 수집된 질적, 양적 자료를 바탕으로 학술논문의 발표와 게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한국 남성의 일-가족 양립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 영문
  •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reorganizing the concept of 'work-family balance' in terms of men-friendly perspective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work-family balance of Korean fathers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ree years. In the first year, the research covered literature review, quantitative analyses based on MTUS data, qualitative analyses on fathers using parental leaves, and paper presentations in academic conferences. In the second year, the research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es utilizing KTUS data, qualitative analyses through interviews, and paper presentation in academic conferences. In the final year, the research focused on internet-based survey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research have widened the theoretical and policy discussion about men's work-life balance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3년 과제로서 남성친화적 관점에서 일-가족 양립의 개념을 재구조화하고, 한국 남성(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일-가족 양립의 실태를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총 3개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년도에 수행된 주요 연구내용은 국내외 문헌연구, 다국가시간조사(MTUS) 자료를 활용한 양적연구, 남성 육아휴직자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 진행 및 이에 기초한 질적연구, 연구교류 및 성과확산 등이다. 2차년도에 수행된 주요 연구내용은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양적연구, 육아휴직자 대한 추적조사와 신규조사를 병행한 질적자료분석, 연구성과의 확산 및 연구논문 발표 등이다. 3차년도에서는 남성의 일-가족 양립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인터넷 기반 설문조사의 시행(약 1500명), 조사된 양적자료를 기반으로한 통계분석, 연구교류 및 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한 논문발표 등이다. 이러한 3년간의 연구를 통해 수집된 질적, 양적 자료를 바탕으로 학술논문의 발표와 게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한국 남성의 일-가족 양립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1차년도 연구결과
    첫째, 문헌연구. 1990년대 이후 유럽 복지국가에서 부모휴가 부할당제를 필두로 남성의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는 정책흐름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론적, 실증적 측면에서 가족 및 복지국가에서 아버지의 역할을 탐구하는 다양한 해외 연구를 검토. 국내 연구는 많지 않지만 남성의 일-가족 양립인식, 부성역할 수행, 육아휴직 경험 등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함.
    둘째, 양적연구. 다국가시간조사(MTUS)를 활용하여 남성의 일-가족 양립에 관한 비교국가분석을 수행하였음. 또, 당초 연구계획서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국내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함. 그 결과 남성 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용은 매우 저조하고, 업종별, 직종별, 기업규모별 활용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반면, 육아휴직자가 경험한 일-가족 양립의 효과는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됨.
    셋째, 질적연구. 당초 집단심층면접으로 계획되었으나, 남성의 실제 행위, 인식, 경험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육아휴직 경험이 있는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시행함. 눈덩이표집법에 의하여 2014년 11월 말 부터 2015년 1월 초 사이에 총 10명에 대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였음. 인터뷰 내용은 결혼 및 가족형성, 가족관계 및 육아 네트워크 등), 배우자출산휴가 및 육아휴직과정, 육아휴직과 직장환경, 육아휴직으로 인한 삶의 변화와 육아휴직의 경험, 부성과 남성성에 대한 인식, 일-가족 양립에 대한 태도,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평가 등이었음.
    넷째, 연구교류 및 성과확산. 해외 문헌을 탐색, 수집하고 연구 네트워킹을 위하여 2014년 7월 영국사회정책학회 연례학술대회에 연구보조원(박사과정)과 참여. 또, 고용보험포럼 적극적노동시장분과에 참여하여 ‘남성의 일-가족양립 현황과 제도개선방안’을 발제하였음.

    2. 2차년도 연구결과
    첫째, 양적연구. 2014년 조사된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여 한국 중년 남성의 일-가족 양립 현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음. 분석결과 평일은 물론 주말에도 중년 남성들이 육아와 가사를 분담하는 정도는 여전히 매우 낮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맞벌이 여부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음.
    둘째, 질적연구. 남성근로자들의 일-가족 양립이 육아휴직이 끝나 직장에 복귀한 이후에도 지속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1차년에 면접을 진행한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하여 추적조사를 시행하였음. 이와 함께 남성 육아휴직자의 일-가족 양립에 대한 근거이론을 구축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신규사례를 수집하여 2016년 1월 말까지 신규로 3명의 연구참여자를 확보하여 면접을 완료하였음. 수집된 심층면접자료는 녹취가 완료되어 육아퇴직자에 대한 생애사
    분석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됨.
    셋째, 연구교류 및 성과확산. 1차년도에 수행된 질적연구 결과와 2014년 생활시간조사 분석결과를 정리하여 다수의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음. 2015년 싱가폴에서 개최된 동아시아사회정책학회 연례학술대회와 2015년 9월 가족사회복지학회의 가족정책 포럼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였음. 또한, 본 연구에서 수행된 질적연구 결과는 2015년 9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한국사회정책에 게재완료 되었음.

    3. 3차년도 연구결과
    첫째, 남성의 일-가족 양립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1,2차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남성의 일-가족 양립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와 척도를 포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조사도구를 확정함.
    둘째, 인터넷 기반의 대규모 설문조사 시행.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남성직장인 표집하여 총 2차례에 걸쳐
    1507케이스에 대한 조사를 완료함.
    셋째, 양적통계분석. 온라인 설문조사가 완료된 후 표본자료에 대한 클리닝 및 가공과정을 거치고 양적통계분석을 진행함. 복합척도들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논문을 산출하고 있음.
    넷째, 연구성과의 확산. 2016년 7월 동아시아 사회정책학회, 2016년 7월 38차 국제시간학회 학술대회, 2016년 8월 한-영 사회정책교류포럼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였고, 2018년 2월 영국 켄트대학을 방문하여 현지학자와의 연구교류를 진행함.

    4. 연구활용방안
    1) 논문발표: 질적연구 2편 학술지 게재 완료, 양적연구 4편 진행중
    2) 대학원 교육 활용: 축적된 연구결과와 자료의 교육 활용
    3) 한국의 일-가족 양립정책 방향을 제시에 기초자료로 활용
    본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추가 3년의 후속연구에 선정되어 분석의 초점을 비교정책연구로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기혼남성의 일-가족 양립에 대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게 되었고, 선진 복지국가와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남성 일-가족 양립, 일-가정 양립, 남성 육아, 남성 육아휴직, 가족친화, 가족정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