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370&local_id=10086957
미국 언어시 --비지시성의 책략과 삶의 개방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국 언어시 --비지시성의 책략과 삶의 개방성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양균원(대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3143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아방가르드 시학의 견인차 역할을 해오고 있는 “언어시”(Language poetry)에 대해 1) 발생 과정을 살피고 선언적 텍스트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면서 이에 대한 학계 및 비평계의 담론을 추적하며 2) 동일한 방향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고 여겨지는 네 명의 주창자들을 선별하여 그들 각자의 이론과 실천 양상을 분석적으로 논한 후 3) 언어시가 당대 미국시 전체 속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을 삶에 대한 인식 변혁의 관점에서 살피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의사소통의 언어에 대한 증오: 미국 언어시의 생존력」은 학술지 <<현대영미시연구>> 20권 2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언어시의 오늘>, <Ⅱ. 비지시성의 전략, 주체성의 몰락, 정치> <Ⅲ. 실천의 양상> <Ⅳ. 미국시에 던지는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공적 시 문화”에 대한 난해시의 공격: 찰스 번스틴」은 <<영미문학교육>> 제18집 3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표준 영어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시 교육>, <II. 세상의 회복을 위한 읽기/쓰기 전략>, <III. 물화(物化), 분쇄, 콜라주 그리고 그 후>, <IV. 난해시, 정상적 불친절>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의 장으로서의 역사와 현실: 수전 하우」는 <<현대영미시연구>> 21권 1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분산의 시학>, <Ⅱ. 「소로」의 도입부: “비서사의 서사”> <Ⅲ. 「소로」의 1, 2부: “미전유의 땅”에 대한 접근> <Ⅳ. 「소로」의 3부: “도둑질”의 역사>, <V. 개방의 장으로서의 역사와 현실>로 구성되어 있다. 「“종결에 대한 거부”와 시인의 삶: 린 헤지니언」은 <<영어영문학21>> 제28권 4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개방의 형식을 위한 언어의 조건>, <II. 열린 형식의 기교들>, <III. 실험시의 서정성과 삶의 전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장과 문장 사이: 론 실리먼의 <<찬팅>>」은 <<현대영미시연구>> 22권 2호(2016)에 게재되었다. 「미국 언어시: 비지시성의 책략과 삶의 개방성」은 <I. 난해성의 새 쓸모와 역할>, <II. 장르의 혼종 그리고 산문화>, <III. 반(反)환원주의적 충동과 특이지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완성 단계에 있다.
  • 영문
  • This project is an effort to elucidate som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anguage poetry.

    “American Language Poetry in Hatred of Communicative Speech: Its Viability” examine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Language movement which started in the early 1970’s by the most experimental avant-garde poets of their day, to subvert so-called “official verse culture.” The Language movement is so diverse in its arguments and practices that we have difficulty in defining its construction and scope, but in a loosely collective way, over thirty years, its practitioners have developed various theories and poetries which could be summarized in four distinct features. First, Language poets fundamentally question the referential function of language; second, they consciously avoid exerting the lyrical subjectivity in their poetries; third, they show a Marxist critique of capitalistic culture; and fourth, they often ignor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genre, and combine theory and poetry.

    “The Attack of Difficult Poems on ‘Official Verse Culture’: Charles Bernstein” is an effort to understand why Charles Bernstein, a leading Language poet, has chosen to write difficult poems of his own to the extent of no intelligibility. To do this, first, it examines his critique of the “official verse culture” and the education of standard English for their degrading influence on poetry, by investigating his proses and conversations; second, it analyzes how his experimental language makes sense depending on its nonreferential materiality such as visual design and sound; and third, it traces how his difficult poems develop new strategies of reading and writing with readers sustained in difficulty.

    “History and Reality as an Open Field: Susan Howe” tries to examine how Susan Howe develops a radical critique of history in her experimental language by analyzing “Thorow,” one of her longer poems. Technically, she often seems to be more focused on sound and form than on meaning, and, for the visual effect, deliberately pastes scissored phrases and lines on the page, which makes her stand high in estimation among contemporary avant-garde poets. She crosses genres and disciplines, and sometimes scatters, overlaps, even inverts, the words, phrases, or sentences from different sources. Her work is multi-layered and allusive owing to its heavy dependence on various texts from early American history and primary documents. In addition, her poetry gets much harder to read when its fragmented language ignores the standard of orthography and typography.

    “’The Rejection of Closure’ and the Poet’s Life: Lyn Hejinian” Hejinian’s “The Rejection of Closure”(1983) to look into her view of language, and considers her My Life as an open text where memory, growing to a realm of metaphor or metonymy, provides an implicit vision of life.

    “The Space between Sentence and Sentence: Ron Silliman’s Tjanting” is an effort to find a better way of reading Ron Silliman’s experimental language by analyzing what he considers as characteristic of “the new sentence” in The New Sentence and by examining how they are true of his prose poem Tjanting.

    “American Language Poetry: Its Strategy of Referential Opaqueness and Openness of Life” tries to look over som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anguage poetry. It will first examine how language poets write difficult poems for political purposes in other ways than modernist poets. Secondly, it will look into some causes for which they deliberately ignore traditional genres to compose a hybrid of poetry and prose. And thirdly, it will clarify that their poetry pursues singularities rather than a structural core, realizing their anti-reductionist impulse. The strategy of non-referentiality, on which language poets heavily rely, will be considered as effective in breaking the capitalistic logic of mainstream culture and extending the openness of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아방가르드 시학의 견인차 역할을 해오고 있는 “언어시”(Language poetry)에 대해 1) 발생 과정을 살피고 선언적 텍스트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면서 이에 대한 학계 및 비평계의 담론을 추적하며 2) 동일한 방향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고 여겨지는 네 명의 주창자들을 선별하여 그들 각자의 이론과 실천 양상을 분석적으로 논한 후 3) 언어시가 당대 미국시 전체 속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을 삶에 대한 인식 변혁의 관점에서 살피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의사소통의 언어에 대한 증오: 미국 언어시의 생존력」은 학술지 <<현대영미시연구>> 20권 2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언어시의 오늘>, <Ⅱ. 비지시성의 전략, 주체성의 몰락, 정치> <Ⅲ. 실천의 양상> <Ⅳ. 미국시에 던지는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공적 시 문화”에 대한 난해시의 공격: 찰스 번스틴」은 <<영미문학교육>> 제18집 3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표준 영어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시 교육>, <II. 세상의 회복을 위한 읽기/쓰기 전략>, <III. 물화(物化), 분쇄, 콜라주 그리고 그 후>, <IV. 난해시, 정상적 불친절>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의 장으로서의 역사와 현실: 수전 하우」는 <<현대영미시연구>> 21권 1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분산의 시학>, <Ⅱ. 「소로」의 도입부: “비서사의 서사”> <Ⅲ. 「소로」의 1, 2부: “미전유의 땅”에 대한 접근> <Ⅳ. 「소로」의 3부: “도둑질”의 역사>, <V. 개방의 장으로서의 역사와 현실>로 구성되어 있다. 「“종결에 대한 거부”와 시인의 삶: 린 헤지니언」은 <<영어영문학21>> 제28권 4호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I. 개방의 형식을 위한 언어의 조건>, <II. 열린 형식의 기교들>, <III. 실험시의 서정성과 삶의 전망>으로 구성되어 있다.「문장과 문장 사이: 론 실리먼의 <<찬팅>>」은 <<현대영미시연구>> 22권 2호(2016)에 게재되었다. 「미국 언어시: 비지시성의 책략과 삶의 개방성」은 <I. 난해성의 새 쓸모와 역할>, <II. 장르의 혼종 그리고 산문화>, <III. 반(反)환원주의적 충동과 특이지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완성 단계에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계획에 따라 총5편의 글이 독창성과 시의성을 인정받아 학술논문의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마지막 논문「미국 언어시: 비지시성의 책략과 삶의 개방성」은 전체를 조망하는 논문으로서 현재 완성 단계에 있고 금년 중에 등재 학술지에 제출 예정이다.

    (1) 의사소통의 언어에 대한 증오: 미국 언어시의 생존력(『현대영미시연구』 20권 2호, 2014)
    (2) “공적 시 문화”에 대한 난해시의 공격: 찰스 번스틴(『영미문학교육』 18권 3호, 2014)
    (3) 개방의 장으로서의 역사와 현실: 수전 하우(『현대영미시연구』 21권 1호, 2015)
    (4) “종결에 대한 거부”와 시인의 삶: 린 헤지니언(『영어영문학21』 28권 4호, 2015)
    (5) 문장과 문장 사이: 론 실리먼의 『찬팅』(『현대영미시연구』 22권 2호, 2016)

    미국 언어시는 변방의 일회성 외침으로 그치지 않고 21세기 오늘에 이르기까지 생명력을 누리고 있고 언어시인들이 북미 및 유럽 여러 나라의 시인들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면서 특히 캐나다와 영국 등지에서 유사한 아방가르드 흐름을 조성시키고 있기도 하다. 언어시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으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당대 문화의 변화를 가장 앞서 수용하고 또한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독창적이고 또한 시의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1) 미국 언어시의 난해성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최신 아방가르드 시학에 대한 독법을 제공함으로써 21세기 시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고
    (2) 죽은 시인들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는 대학 및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새로운 자극과 활력을 부여하고
    (3) 정체되어 있는 국내 시문학의 새 방향성 재고에 시사점을 주고
    (4)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을 수용하고 선도하는 지적 감수성의 조정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미국시, 언어시, 비지시성, 찰스 번스틴, 수전 하우, 린 헤지니언, 론 실리먼, 난해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