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782&local_id=10086963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년 비만여성의 사이즈체계 및 패턴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년 비만여성의 사이즈체계 및 패턴 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성옥진(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2015110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차 년도 연구는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의 일환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60~79세의 노년 여성 중 Rohrer지수 1.6 이상, 체질량지수(BMI) 25이상, 복부지방율(WHR) 0.85이상을 만족시키는 비만여성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비만집단의 체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간부의 두께항목이 연령이 높을수록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나 노년 비만여성은 성별과 관계없이 노인화 되어가는 특성, 즉 허리,배 부위는 증가하고 키는 작아지고, 하체는 가늘어지고, 체간부의 두께는 두꺼워지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비만유형은 세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유형1은 상체에 비해 배가 발달한 복부비만형이고 유형2는 허리가 비만해서 가슴부터 배까지 일자형태를 이루는 상체비만형으로 하체에 비해 상체가 발달한 체형이다. 유형3은 전체가 비만하지만 균형 잡힌 비만체형으로 전신비만형이다. 연령대별 비만유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60대는 상체비만형과 전신비만형이 주로 분포하다 70대에서는 전신비만형은 줄고 복부비만형과 상체비만형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복부의 지방침착에 의한 복부비만 체형과 상체비만 체형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차 년도 연구는 노년 비만여성을 위한 세분화된 사이즈체계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년 비만여성은 정상체형보다 하체가 짧고 둘레, 너비, 두께항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른 부위보다 가슴과 허리를 기준으로 하는 체간부에서 비만이 심화되는 특징을 나타냈다.
    의류치수체계는 KS호칭규격에 따라 키5cm, 가슴둘레5cm, 3cm, 허리둘레3cm, 엉덩이둘레 3cm의 치수 간격을 설정하였고 각 구간의 이원분포를 통해 분포가 높은 구간의 호칭을 제시하였다.
    정장 상의류는 키 145~155cm구간과 가슴둘레 91~103cm구간에 분포한 11개 사이즈를 선택하였고, 캐주얼 상의류는 키 145~155cm구간과 가슴둘레 90~105cm구간에 분포한 9개 사이즈를 선택하였다. 하의류의 경우 허리둘레 82~97cm 구간과 엉덩이둘레 91~97cm 구간에서 분포가 높은 11개 사이즈를 선택하였고, KS호칭 규격에 따라 기본부위와 참고부위로 나누어 상세사이즈를 제시하였다

    3차 년도 연구는 노년비만 여성의 3가지 체형에 적합한 토르소 원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패턴제작 시 필요한 시간, 비용, 시행착오 과정을 줄이기 위해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노년 비만여성의 3가지 가상모델을 제작하고 P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토르소 패턴을 제작하였다. 또한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착의 및 보정을 실시하여 최적의 토르소 원형을 제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CLO 3D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된 비만 인체모형은 3가지로 유형1은 하체비만 체형이고, 유형2는 복부비만 체형이다. 유형3은 균형 잡힌 비만형 체형이다.
    둘째, 연구원형의 설계를 위해 등길이와 엉덩이길이는 실측치를 사용하였고 진동깊이(B/4-1.5),앞품(B/6+2.3),앞목너비(B/12-0.5),앞목깊이(B/12+0.5),앞허리둘레(W/4+1.5+D),앞엉덩이둘레(H/4+2+0.5), 뒤엉덩이둘레(H/4+3-0.5)는 계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연구원형의 가상착의 결과 앞목너비와 앞목깊이의 축소로 목둘레의 들뜸 현상이 개선되었고 진동깊이의 축소로 진동둘레의 들뜸이나 파임이 개선되고 젖가슴둘레의 처짐이 완화되었다. 또 허리와 배 돌출로 인한 측면의 당김 현상은 뒤허리둘레와 앞뒤엉덩이둘레의 여유량 증가로 개선되었고 앞뒤 다아트의 위치이동으로 인해 여유량이 적당이 배분되어 외관이 향상되었다. 외관평가 결과도 세 체형 모두에서 비교적 고르게 평가되어 비교원형에 비해 연구원형이 노년 비만체형에 적합한 원형임을 알 수 있다.
  • 영문
  • The first year study analyzed the body-type characteristics of 340 old-aged obese women that had been on the rise as a part of efforts to activate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subjects were in the age range of 60-79 and met some obesity requirements, including a Rohrer Index of 1.6 or higher, a BMI of 25 or higher, and a WHR of 0.85 or higher. The results are written below: First, old-aged obese women showed increased thickness of the torso with age, which suggests that the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regardless of gender. In other words, they became bigger in the waist and abdomen, shorter in height, slimmer in the lower body, and thicker in the torso. Second, there are three types of obesity: Type 1 is lower-body obesity with a higher degree of obesity in the abdomen than the upper body. Type 2 is abdominal obesity with a higher degree of obesity in the upper body than in the lower body. Type 3 is whole-body obesity with balanced obesity of the whole body. As for changes to the types of obesity according to age, those who are in their sixties usually fall into the categories of upper-body and whole-body obesity, and those who are in their seventies are much more concentrated in the categories of abdominal obesity and upper-body obesity with a decreased percentage of whole-body obesity. It is apparent that the percentage of
    abdominal and upper-body obesity rises with age due to fat accumulation in the abdomen.

    The second year study is to propose a specialized clothes-sizing system. The lower bodies of elderly obese women tends to be shorter and wider than average. Particularly, their torsos from the chest to the waist tend to be more obese than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e clothes-sizing system sets up its size intervals as follows: 5cm in stature, 5cm and 3cm in bust, 3cm in waist, and 3cm in hip. Based on the dualistic distribution of each section, the names of the sections indicating high distribution are suggested. For suit top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1-103cm bust section. For casual tops, nine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0-105cm bust section. For bottom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82-97cm waist section and 91-97cm hip section.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detailed sizes are suggested in the division of basic and reference areas.

    The purpose of The third year study is to suggest torso patterns fitting aged obese women’s three body shapes. To reduce time, costs, and also trial and error needed to make patterns, a program for 3D test wear was employed. Three virtual models for aged obese women were designed, and the PAD system was used to produce torso patterns. Also, to make optimal torso patterns, 3D simulation was done for test wear and corrections. The results are written below: First, regarding obese women’s three body models realized by CLO 3D, Type 1 is Lower-body obesity shapes. Type 2 is Abdominal obesity shapes. Type 3 is whole-body obesity shapes. Second, to design the study patterns, actual measurement values, Waist back length and Waist to Hip Length, were used. The armhole depth (B/4-1.5), Interscye, front (B/6+2.3), front neck width (B/12-0.5), front neck depth (B/12+0.5), front waist C. (W/4+1.5+D), front hip C. (H/4+2+0.5), and back hip C. (H/4+3-0.5) were calculated by formula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wearing the study patterns, reduced front neck width and depth improved the unfitting neck girth and reduced armhole depth bettered loose or plunging armhole girth. It reduced the sagging of bust C., too. Also, the tight side for protruded waist and abdomen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surpluses in the back waist and also back and front hip C. The exterior was enhanced as the displacement of back and front darts distributed the surpluses bet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ppearance, all of the three body forms were evaluated similarly, and, developed patterns have been found to fit aged obese women better than the comparative patter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의료기술의 발달 및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로 인간의 평균 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노인 비만인구도 증가하게 되어 성인 비만율(BMI 25 이상)이 2005년 기준 남자 35.2%, 여자 28.3%로 꾸준히 증가추세이며, 2025년에는 46.4%가 비만환자가 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노년 비만여성에 대한 체형, 치수체계, 패턴 및 그레이딩 연구를 통해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도모해야할 시점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령별로 비만 유병율을 살펴보면 남자는 40대와 50대가, 여자는 50대와 60대의 비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히 여성의 경우 노년기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비만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노년 비만여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시점에도 불구하고 의류업계는 여전히 실버 세대를 위한 매장이나 특성화된 마케팅이 거의 없는 실정이며 특히 증가하는 노령인구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만체형을 위한 연구나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의 일환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60~79세의 노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비만체형의 특징을 분석하고 타겟층에 맞는 세분화된 사이즈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체형 특징을 고려한 패턴을 제작하여 착용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토르소 패턴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년 비만여성의 체형에 대한 정보와 치수체계는 타겟층의 신체특징을 패턴에 적용하여 신체적합성이 높은 의복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되고, 신체적 변화와 활동성을 고려하여 착용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성복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 비만여성의 체형적 특징을 고찰하고 체형을 분류한다.
    둘째, 타겟층(60-79)에 맞도록 KS규격에 따라 활용도 높은 사이즈 체계를 제시한다.
    셋째, 노년 비만여성의 기성복 착용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비만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보완한 토르소원형을 개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활용방안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가. 실버 마켓의 활성화
    특이 체형에 속하는 노년 비만체형연구는 새로운 마켓으로 더욱 세분화, 전문화하여 다양한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맞음새 향상을 통해 소비심리를 진작하여 노인 비만체형을 타겟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활성화 및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미 포화 상태인 우리나라 의류산업에서 새로운 고용창출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 및 의복의 설계는 더욱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패션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 합리적인 생산량 결정 지원
    국내 브랜드는 타겟으로 하는 연령대를 중심으로 기획을 하기 때문에 브랜드는 연령대의 치수와 치수범위를 알고 싶어도 제공 되어지는 자료도 없고, 연구능력도 갖추고 있지 않아서 예전부터 내려오는 사이즈 스펙과 잘 판매된 사이즈의 기록에 의해 생산 기획을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난 사이즈를 갖고 있는 노년 비만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브랜드에게 KS 치수 규격에 부합하는 치수체계를 제공하여 기존의 경험적 데이터를 과학적 분석에 의해 활용함으로써 좀 더 합리적인 생산이 가능해지리라 여겨진다.
    또한 브랜드의 생산기획 시, 신체 주요부위의 구간 설정 및 의복종류에 따른 치수분포는 KS호칭 규격에서 노년 비만여성의 신체 사이즈가 어느 구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각 브랜드의 사이즈별 생산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구의 타겟층 별 치수체계에 대한 연구는 좀 더 실용적으로 학문의 연구방향을 확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 의복생산의 지침서 활용
    체형의 특성이 반영된 패턴 연구는 소비자의 의복착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이라 생각되며 더불어 비만체형에 적합한 패턴 제시는 대량생산 시 생산의 효율성과 신체적합성이 높은 의복생산의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체형, 치수체계, 패턴 연구를 통해 산·학의 지속적인 연계 활동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노년 비만여성, 실버의류산업, 비만체형, 요인분석, 체질량지수, 사이즈체계, 토르소 원형, 가상착의 프로그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