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8960&local_id=10086724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 구안 및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 구안 및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2014 년 | 박현진(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2788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교육발전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수원국으로부터 공여국으로의 전환 과정을 되돌아보고, 한국형 ODA 모형으로서 개발도상국에게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여 유아교육에 적합한 ODA 모형을 구안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의 목적인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된 이론적 탐색을 실시하였으며, KOICA, 교육부, EDCF의 자료분석을 통해 현황과 실태조사를 하였으며, 교육분야 ODA 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를 하였다. 세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수립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Korean ODA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n economic growth and educ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looked back on the process of converting from recipient countries to donor countries, anchoring the ODA model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conducted related theoretical exploration to construct Korean ODA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s the object of research.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and actual situation through KOICA, Ministry of Education, and EDCF data analysis. Finally this study surveyed awareness and needs for education field OD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rom three aspects, Korea ODA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establish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 의해 원조를 받았던 한국은 우수한 인적 자원과 교육열이 한국의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기에 전후 사회 극복과 국가의 재건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기초교육에 대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교육원조에 있어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으며, 수원국인 개발도상국의 여건과 국제규범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교육 ODA를 확대해 나가도록 도울 때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이 시점에서 한국의 경제성장과 교육발전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수원국으로부터 공여국으로의 전환 과정을 되돌아보고, 한국형 ODA 모형으로서 개발도상국에게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여 유아교육에 적합한 ODA 모형을 구안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있다. 이에 교육분야 ODA 관련 연구 및 현황 분석을 통해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의 목적인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과제를 추출하고자 먼저, 유아교육 ODA에 대한 개념 및 중요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탐색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육분야 ODA를 시행하고 있는 KOICA, 교육부, EDCF의 정책 및 보고서, 그리고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현황과 실태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 ODA 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결과를 통해 실제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조사를 하였다. 모형구성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세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수립하고, 사후관리와 후속지원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주제인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 구안 및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방안을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측면, 인력양성 방안 측면,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측면이다.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 구안을 위한 이론적 탐색과 현황조사를 통해 기초교육 ODA는 단순히 교육시설을 신축하거나 개선하는 것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기에 대한 교육적 투자가 다른 연령에 비해 월등히 경제적 이익이 있다는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교육 ODA 사업은 유아교육에서 시작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이다. 한국형 유아교육 ODA 모형을 구안하고 그 효율적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 수혜자가 될 유아와 그 부모 및 가정에서 활용하게 되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므로 유아교육 분야와 긴밀한 연계를 지니고 있는 부모교육과 초등교육에서의 활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인력양성 방안이다. 한국의 유아교육 ODA 사업의 활성화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것이다. 그러하자면 본 연구의 결과물들은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차세대 양성을 위한 실천적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인력양성의 한 방안이 될 것이다. 특히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교육전문가 양성과정이 도입될 것이며, 전문성 함양을 위한 고등교육에서의 실라버스 개발이나 대학교육 과정에서의 변화를 이끄는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우수 교원의 해외 진출로 인해 국격의 상승과 교육문화에서의 새로운 한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공적개발원조(ODA), 유아교육 ODA, 유아교육 ODA 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