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169&local_id=10086644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Learning Assistant Program 기반 실천적 교과교육과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Learning Assistant Program 기반 실천적 교과교육과정 개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중복(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017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교사들은 처음 교육현장에 나가게 되면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느끼며 가르치는 것을 어려워한다. 예비교사 때부터 실천적 지식을 함양해야하지만, 짧은 기간의 교육실습만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교사들의 교수 능력 향상 및 교과내용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Learning Assistant(LA) Program 기반 실천적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LA 프로그램은 LA 양성과목과 LA 참여과목으로 구성된다. LA 양성과목은 예비교사들이 LA 역할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교수이론에 대해 학습. (2)교수전략에 대한 구체적 계획 세우기. (3)계획을 바탕으로 LA 활동 실행. (4)교수 전략 및 경험 되돌아보기. LA 참여과목은 교과내용과목의 성격을 띠며 강의자와 함께 LA들이 수업에 참여한다. 학습자 3~4명으로 구성된 그룹에 LA 한명이 배정되어 학습자들에게 개별화되고 맞춤식 학습지원을 제공한다.
    LA와 학습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배워나갔다. 먼저 LA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실천적 지식 자기 평가지를 통해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대응 표본 t검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는 LA들이 LA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들의 실천적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A들의 기하광학에 대한 개념검사를 실시한 결과 LA 프로그램 이후 기하광학 개념이 정교해지고 세련되었다. 이는 LA들이 조력활동을 하면서 교수내용지식이 정교해지고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LA의 도움을 받는 학습자들의 개념변화와 토론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의 개념변화는 2015년에는 개념문제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LA 참여 그룹이 LA가 비참여 그룹보다 평균점수가 높고 표준편차는 낮았다. 2016년에는 Gain((사후 정답률-사전 정답률)/(100-사전 정답율))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사전-사후 Gain은 LA 참여 그룹이 LA 비참여 그룹보다 높았고, 사전-지연 Gain은 LA 참여 그룹이 LA 비참여 그룹보다 낮았다. 이것으로 보아 LA들의 도움이 학습자들의 개념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의 토론 상호작용 양상은 녹음자료 분석을 통해 동의, 응답, 정교화, 상호작용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LA 참여 그룹에서는 응답 상호작용이 LA 비참여 그룹에서는 정교화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LA들이 참여하면 토론이 LA 중심으로 진행되고 학습자들이 LA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LA와 LA경험이 없는 Non LA의 교육실습을 TDOP이라는 분석 도구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TDOP 분석 결과 LA가 Non LA에 비해 전체 빈도수가 높았고 다양한 코드에 해당하는 교수활동을 하였다. Potential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카테고리에서도 LA가 Non LA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LA들이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교실활동을 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TDOP의 코드들을 소셜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LA들이 Non LA에 비해 교사와 학생들과의 연결코드가 다양하며 두꺼웠다. 특히 교사와 학생들의 대화 차원에서 인지적 참여 유도 관련 코드들의 연결이 LA가 더 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실천적 지식을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사 향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예비교사의 변화를 초임교사가 될 때까지 장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LA들은 가르침을 통한 배움의 기회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LA의 지원을 받은 학습자들은 교과내용지식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LA들을 활용하면 한 명의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면서 겪었던 어려움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When pre-service teachers become in-service teachers for the first time, they feel very difficulties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during the pre-service teacher, but it is not enough time to make up practical knowledge because of too short practicum.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ed 'Learning Assistant (LA) Program Based Practical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can enhance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facilitate the learning of curriculum contents.
    The LA program consists of LA-cultivation course and LA-activity course. Subjects for LA-cultivation consist of four stages: (1)Learning about teaching theory; (2) Establishing concrete plans for teaching strategies. (3) Execute LA activities based on the plan. (4) Looking back at teaching strategies and experiences. LA-activity course is called "light and sound" as cultural course in KNUE. LA participates in the class together with the lecturer. A group of three or four learners is assigned to one LA to provid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learning support to learners.
    LA and the learners learn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First, we examined the change of practical knowledge of LA through practical knowledge self-evaluation pap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 and post- response sample t-test significantly improved (p <.05). This means that LA thinks their practical knowledge has improved through LA programs. Also, after conducting a conceptual examination of the geometrical optics of LA, the concept of geometric optics became sophisticated and refined after the LA program. This can be seen as the elaboration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ext, we examined the conceptual change and discussion interaction patterns of learners who are assisted by LA. The conceptual change of learners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 problem in 2015. As a result, LA participant group had higher average score and lower standard deviation than non-participation group in LA. In 2016, it was confirmed through Hake Gain ((post test score - pre test score)/(100 - pre test score)) that gain was higher in LA participating group than in LA non-participating group, however, and delay gain was interestingly lower in LA participating group than LA non-participating group.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help of the LA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cept change of learners. The learner's discussion interaction patterns were categorized as consent, response, elaboration, and no interaction. As a result, responding interaction in LA participating group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elaboration interaction in LA non - participation group.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s LA participates, discussions progress toward LA and learners tend to rely on LA.
    Lastly, we compared between LA practicum and non-LA practicum using TDOP analysis tool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DOP analysis, LA had a higher frequency than non-LA and performed teaching activities corresponding to various codes. In the potential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category, the ratio of LA was higher than that of non-LA, which means that LA had various class activities to induce students' cogni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des of TDOP by social network, the codes of conne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larger and thicker than those of non-LA. In particular, LA was stronger in connecting the codes related to inducing cognitive participation in the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at teaches practical knowledge, and long-term grasp of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until they become first-time teachers. In addition, LA can expect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teaching, and learners who are supported by LA can expect to cultivat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Also, by help of LA, one teacher can solve the difficulti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in cla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교사들은 처음 교육현장에 나가게 되면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느끼며 가르치는 것을 어려워한다. 예비교사 때부터 실천적 지식을 함양해야하지만, 짧은 기간의 교육실습만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교사들의 교수 능력 향상 및 교과내용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Learning Assistant(LA) Program 기반 실천적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LA 프로그램은 LA 양성과목과 LA 참여과목으로 구성된다. LA 양성과목은 예비교사들이 LA 역할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교수이론에 대해 학습. (2)교수전략에 대한 구체적 계획 세우기. (3)계획을 바탕으로 LA 활동 실행. (4)교수 전략 및 경험 되돌아보기. LA 참여과목은 교과내용과목의 성격을 띠며 강의자와 함께 LA들이 수업에 참여한다. 학습자 3~4명으로 구성된 그룹에 LA 한명이 배정되어 학습자들에게 개별화되고 맞춤식 학습지원을 제공한다.
    LA와 학습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배워나갔다. 먼저 LA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실천적 지식 자기 평가지를 통해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대응 표본 t검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는 LA들이 LA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들의 실천적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A들의 기하광학에 대한 개념검사를 실시한 결과 LA 프로그램 이후 기하광학 개념이 정교해지고 세련되었다. 이는 LA들이 조력활동을 하면서 교수내용지식이 정교해지고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LA의 도움을 받는 학습자들의 개념변화와 토론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의 개념변화는 2015년에는 개념문제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LA 참여 그룹이 LA가 비참여 그룹보다 평균점수가 높고 표준편차는 낮았다. 2016년에는 Gain((사후 정답률-사전 정답률)/(100-사전 정답률))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사전-사후 Gain은 LA 참여 그룹이 LA 비참여 그룹보다 높았고, 사전-지연 Gain은 LA 참여 그룹이 LA 비참여 그룹보다 낮았다. 이것으로 보아 LA들의 도움이 학습자들의 개념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의 토론 상호작용 양상은 녹음자료 분석을 통해 동의, 응답, 정교화, 상호작용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LA 참여 그룹에서는 응답 상호작용이 LA 비참여 그룹에서는 정교화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LA들이 참여하면 토론이 LA 중심으로 진행되고 학습자들이 LA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LA와 LA경험이 없는 Non LA의 교육실습을 TDOP이라는 분석 도구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TDOP 분석 결과 LA가 Non LA에 비해 전체 빈도수가 높았고 다양한 코드에 해당하는 교수활동을 하였다. Potential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카테고리에서도 LA가 Non LA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LA들이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교실활동을 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TDOP의 코드들을 소셜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LA들이 Non LA에 비해 교사와 학생들과의 연결코드가 다양하며 두꺼웠다. 특히 교사와 학생들의 대화 차원에서 인지적 참여 유도 관련 코드들의 연결이 LA가 더 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실천적 지식을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예비교사의 변화를 초임교사가 될 때까지 장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LA들은 가르침을 통한 배움의 기회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LA의 지원을 받은 학습자들은 교과내용지식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LA들을 활용하면 한 명의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면서 겪었던 어려움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예비교사들의 교수 능력 향상 및 교과내용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Learning Assistant(LA) Program 기반 실천적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LA 프로그램은 LA로 참여한 예비교사와 LA의 도움을 받은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LA들은 프로그램 이후 자신들의 실천적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인지하였으며,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경험을 통해 교수내용지식이 향상되었다. 이렇게 향상된 능력은 LA들의 교육실습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LA경험이 있는 교육실습생들은 LA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다양한 교수활동을 하였으며, 특히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이 많았다. 그리고 LA의 도움은 학습자의 개념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LA의 도움을 받은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개념문제 점수가 더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크게 3가지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문적으로 기여이다. 교과내용학 지식과 교과교육학 지식, 이를 모두 아우르는 실천적 지식을 모두 포괄하여 개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대 교육과정의 새로운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예비교사의 변화를 초임교사가 될 때까지 종단연구를 통해 장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둘째, 교육적 기여이다. LA로 활동한 예비교사의 경우, 학습한 교육학적 지식을 실제로 실천해보는 ‘가르침을 통한 배움’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LA의 지원을 받은 학습자의 경우 교과내용지식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기여이다. 대규모로 열리는 강좌는 교수자 한명이 수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이 때 LA을 활용하면 교수자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LA를 활용함으로써 한 명의 교수자에 의해 독점적으로 정보가 전달되는 현재의 수업 형태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 동료 간 협업이 중심이 되는 수업 형태로의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학습 조력자(LA), 교사 교육, 교사 양성 프로그램, 실천적 교육과정, 사범대 교육, 동료교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