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252&local_id=10086349
수험자 특징이 페어, 그룹 말하기 시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수험자 특징이 페어, 그룹 말하기 시험 수행에 미치는 영향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주미진(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069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차년도 연구는 수험자 특징이 페어, 그룹 구술 시험상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74명의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한국 대학생들이었다. 1차년도 연구의 참여 학생들은 (외향, 내향) 성격, (상, 하) 영어능력, (남, 여)성별별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은 각 분류별 페어, 그룹을 형성하여 총 6번의 시험을 치르도록 하였다. 각 시험상의 수행은 점수화 되어 수험자 본인과 상대 수험자의 특징에 따라 수행에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페어 시험에서 더 높은 수행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외향적인 학생들이 두 시험 모두에서 내향적인 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셋째, 낮은 영어능력 학생들이 페어 시험에서보다는 그룹시험에서 상대적으로 더 나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여학생들은 페어 시험에서 더 좋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성격과 영어능력은 두 시험모두에서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같은 동성과 짝을 이루어 페어시험을 치렀을 때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에 그룹시험에서는 여학생들이 동성으로만 구성되었을 때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2차년도 연구는 수험자 성격이 페어, 그룹상의 담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1차년도 연구를 보완하고 그 결과의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고자 1차년도 자료의 일부를 이용하였다. 외향, 내향 성격으로 분류된 학생들은 성격별 페어, 그룹 구성에 따라 페어, 그룹 시험을 치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페어 시험에서 더 많은 화제를 도입하였고 더 많은 발화를 하였으며, 한 화제에 대한 평균 지속시간도 더 길었다. 둘째, 외향적인 학생들이 페어, 그룹 시험 모두에서 더 많은 발화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그룹 시험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에 따른 페어, 그룹 구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담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외향적인 학생이 내향적인 학생과 페어로 구성되었을 때가 외향적인 학생이 외향적인 학생과 짝이 되었을 때보다 화제인증 비율이 더 높았다. 현재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 중에 있다.

  • 영문
  • The first-year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st-taker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s in a Pair Oral Test (POT) and a Group Oral Test (GOT). The sample of test takers was 174 students who were taking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ired and grouped according to (extrovert and introvert) personality, (low and high) English proficiency, and gender. They took each of three different grouping forms of POT and GOT totaling up to six tests. The scores of POT and GOT were examin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s in POT and GOT and if their performances were affected by their own or other test-takers’ personalities, English proficiency, and gend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erformed better in POT than in GOT. Secondly, extrovert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s than introvert students in both POT and GOT. Thirdly, low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performed relatively better in GOT than in POT compared to that of high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Last, fe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in POT. While personality and English proficiency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s in both tests significant gender impact was presented when paired with the same gender of female. Female test-takers were assigned higher scores when paired with the same gender. On the contrary, the female test-takers received lower scores when grouped with the same gender than any other forms of GOT groupings.
    The second-year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est-taker personality on test discourse in POT and GOT. The part of data used for this study came from that of the first-year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st-taker personality more closely and thorough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year study. The participants were paired and grouped according to their (extroverts, introverts) personality. Every participant performed once in POT and once in GO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nitiated significantly more topics and talked more and longer about each topic in POT than in GOT. Second, more extrovert students tended to talk more in both tests, and it was more conspicuous in GOT. Lastly, students discourse was not influenced by different types of POT and GOT pairings or groupings. When the extrovert students were paired with the introvert students, they were more ratified by their partner than when the extrovert students were paired with the extrovert students. Further research is undertaking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the results employ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차년도 연구는 수험자 특징이 페어 구술시험(Pair Oral Test), 그룹 구술시험(Group Oral Test)상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74명의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한국 대학생들이었다. 1차년도 연구의 참여 학생들은 (외향, 내향) 성격, (상, 하) 영어능력, (남, 여) 성별별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은 각 분류별 페어, 그룹을 형성하여 총 여섯 번의 시험을 치르도록 하였다. 각 시험상의 수행은 점수화 되어 수험자 본인과 상대 수험자의 특징에 따라 수행에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POT에서 더 높은 수행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외향적인 학생들이 두 시험 모두에서 내향적인 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셋째, 낮은 영어능력 학생들이 POT에서 보다는 GOT에서 상대적으로 더 나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여학생들은 POT에서 더 좋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성격과 영어능력은 두 시험모두에서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같은 동성과 짝을 이루어 POT를 치렀을 때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에 GOT에서는 여학생들이 동성으로만 구성되었을 때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2차년도 연구는 수험자 성격이 POT, GOT상의 담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1차년도 연구를 보완하고 그 결과의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고자 1차년도 자료의 일부를 이용하였다. 외향, 내향 성격으로 분류된 학생들은 성격별 페어, 그룹 구성에 따라 POT, GOT를 치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POT에서 더 많은 화제를 도입하였고 더 많은 발화를 하였으며, 한 화제에 대한 평균 지속시간도 더 길었다. 둘째, 외향적인 학생들이 POT, GOT 모두에서 더 많은 발화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POT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에 따른 페어, 그룹 구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담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외향적인 학생이 내향적인 학생과 페어로 구성되었을 때가 외향적인 학생이 외향적인 학생과 짝이 되었을 때보다 화제인증 비율이 더 높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 다음의 학문적, 사회적, 교육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첫째, 일대일 면대면 인터뷰 시험의 대안시험으로서 자주 제안되는 페어, 그룹 말하기 시험의 타당성에 관한 국내 연구가 극히 부족하다. 특히, 이들 두 시험 유형의 비교를 통한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찾기 힘들었으므로 이들 평가도구에 관한 개발과 시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둘째, 말하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침해하는 잠재 변수로서의 다양한 수험자 특징을 다각적인 비교를 통하여 상세하고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서 관련 평가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아직 국내의 대화분석을 활용한 말하기 평가 도구의 타당성 검사는 매우 부족하고, 더욱이 N-vivo 프로그램을 활용한 담화연구는 국내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제안 연구를 통하여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 및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학문 분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본 제안 연구의 결과는 실제 교실의 평가 현장에서 관련 영어 교육자들에게 수험자 특징에 관련한 페어, 그룹 시험유형의 타당성을 재고해보는 계기를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이들 시험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그룹 형성(grouping)에 관한 유용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공해 줄 것이므로 영어교육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수험자 특성, 성격, 영어능력, 성별, 담화, 페어 구술시험, 그룹 구술시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