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288&local_id=10086205
고령자의 운전 경험을 고려한 헤드업 디스플레이스(HUD)인터페이스 연구 : 사용자 컴퓨터 상호작용(HCI) 관점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령자의 운전 경험을 고려한 헤드업 디스플레이스& #40;HUD& #41;인터페이스 연구 : 사용자 컴퓨터 상호작용& #40;HCI& #41; 관점을 중심으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수이(서울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0902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사회전반에 걸쳐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동시에 이들이 운전자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운전 경험 전반에 관한 모형과 이를 측정하는 기준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년운전자의 운전경험 모형을 비교적으로 제시하였다.

    ● 1차년도 연구: 1차년도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조사와 함께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상황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상향식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하향식 방식을 통해 재구조화 하였다. 운전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공학적 접근’, ‘심리학적 접근’, ‘융합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운전 경험을 ‘출발부터 목적지 도착까지의 운전의 전 과정에서, 운전자가 운전 상황을 예상하며 갖게 되는, 개인적 특징 기반에서의 모든 감정과 지각, 인지적 결과를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운전 경험을 이루는 요소들을 ‘자동차 내부 UI 요인’, ‘환경적 요인’, ‘사용자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자동차 내부 UI 요인’에는 시각 정보 요소, 청각 정보 요소, 운행 정보 요소, ‘환경적 요인’에는 외부방해 요소, 인적 환경 요소, ‘사용자 관련 요인’에는 습관 요소, 각성 요소, 안전성, 감성이 세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관찰 과정에 관한 분석 결과, 1)차선변경, 2)방향전환, 3)정차, 4)주행의 5가지 모듈을 기반으로 청년운전자 집단과 고령운전자 집단을 비교하여 운전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 2차년도 연구: 2차년도 연구는 기술적 연구와 확증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기술적 연구를 통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모형 제시하였다. 또한 고령 운전자와 청년 운전자 간의 운전 모형 비교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운전자와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탐색적, 확증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결과의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정보, 청각정보, 운행정보, 인적 환경, 외부 환경 요인이 습관, 각성의 요인에, 습관, 각성 요인은 운전의 안전성과 감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행정보, 인적 환경, 청각 정보가 고령운전자와 청년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확증적 연구에서는 앞서 기술적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에 대하여 인과 관계를 확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운전 시 소리의 종류에 따른 각성반응이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운전 경험’을 HCI적 의미에서의 인지과학적, 디자인적 측면에서 총체적인 개념을 제시하였고, 중요 요소를 포함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적 측면에서는 도출한 운전 경험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UI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 영문
  • Recently, with the attention of future vehicle technology, automobiles that are influenced by user experience (UX) are regarded as living space. However, the concept of term, definition, and constituent factors of driving experience have not been established so far. In addition, as the aging of society progresses throughout society, the age of driver’s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ortion of drivers in drivers becomes higher.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no model for the overall driving experience and the criteria for measuring it.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experience of elderly drivers are derived and based on this, a driving experience model of Korean elderly drivers is presented. To this end, the model of driving experience of young drivers is presented comparatively.
    The first year was an exploratory study, and it was derived as an exploratory factor influencing the driving experience of older drivers. Based on this, we presented a driving experience model for older Korean drivers.
    To do this, we surveyed 18 drivers and observe driving situation and interview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bottom - up method.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experience derived through this study were restructured through a top - down approach focusing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the existing studies on driving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engineering approach', 'psychological approach' and 'convergent approach'. And ‘driving experiencing’ was defined as the whole driving process from start to arrival, the concept of all emotions, perceptions, and cognitive outcomes on the basi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start to the destination.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driving experience are divided into 'internal UI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user related factors'. In the UI factor, the habit component, the arousal factor, the safety factor, and the sensitivity are detailed in the visual information element, the auditory information element, the driving information element, the external disturbance element, the human environment element.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observation process shows the model of the driving process by comparing the youth driver group with the aged driver group based on five modules: 1) lane change, 2) change of direction, 3) stoppage, and 4) travel.

    ● Second Year Study: The second year study was conducted sequentially in technical and confirmatory studies. Through a technical study, we presented a model of factors affecting driver’s driving experience.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modeling models between elderly and non - elderly drivers is presented. To do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young drivers and elderly drivers.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onduc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el was presen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visual information, auditory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human environment,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abit, arousal factor, humiliation, and arousal factor influenced driving safety and emotional factors. Also, driving information, human environment, and hearing information were analyzed as factors affecting driving experience of elderly and young drivers.
    In the confirmatory study, the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the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technical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young drivers and elderly driver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arous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driving experience' as a holistic concept in terms of functional, cognitive, scientific and design in HCI meaning, and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including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personalized UI by utilizing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experience derived from the industrial asp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사회전반에 걸쳐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동시에 이들이 운전자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운전 경험 전반에 관한 모형과 이를 측정하는 기준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년운전자의 운전경험 모형을 비교적으로 제시하였다.

    ● 1차년도 연구: 1차년도는 탐색적 연구로서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델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조사와 함께 18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상황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상향식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하향식 방식을 통해 재구조화 하였다. 운전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공학적 접근’, ‘심리학적 접근’, ‘융합적 접근’측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운전 경험을 ‘출발부터 목적지 도착까지의 운전의 전 과정에서, 운전자가 운전 상황을 예상하며 갖게 되는, 개인적 특징 기반에서의 모든 감정과 지각, 인지적 결과를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운전 경험을 이루는 요소들을 ‘자동차 내부 UI 요인’, ‘환경적 요인’, ‘사용자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자동차 내부 UI 요인’에는 시각 정보 요소, 청각 정보 요소, 운행 정보 요소, ‘환경적 요인’에는 외부방해 요소, 인적 환경 요소, ‘사용자 관련 요인’에는 습관 요소, 각성 요소, 안전성, 감성이 세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관찰 과정에 관한 분석 결과, 1)차선변경, 2)방향전환, 3)정차, 4)주행의 5가지 모듈을 기반으로 청년운전자 집단과 고령운전자 집단을 비교하여 운전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 2차년도 연구: 2차년도 연구는 기술적 연구와 확증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기술적 연구를 통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모형 제시하였다. 또한 고령 운전자와 청년 운전자 간의 운전 모형 비교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운전자와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탐색적, 확증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결과의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정보, 청각정보, 운행정보, 인적 환경, 외부 환경 요인이 습관, 각성의 요인에, 습관, 각성 요인은 운전의 안전성과 감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행정보, 인적 환경, 청각 정보가 고령운전자와 청년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확증적 연구에서는 앞서 기술적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에 대하여 인과 관계를 확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운전 시 소리의 종류에 따른 각성반응이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운전 경험’을 HCI적 의미에서의 인지과학적, 디자인적 측면에서 총체적인 개념을 제시하였고, 중요 요소를 포함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적 측면에서는 도출한 운전 경험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UI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
    1 차년도 연구 결과
    * 연구 결과는 1)차선변경, 2)방향전환, 3)정차, 4)주행의 5가지 모듈을 기반으로 청년운전자 집단과 고령운전자 집단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 모형은 보고서 내 그림 3~6 모형 참조)
    * 청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의 운전 과정의 비교
    - 운전자 방향전환 모듈
    ① 고령 운전자는 직접 보고 확신한 후, 행동으로 이어나가는 비율이 높게 관측되었다.
    ② 청년 운전자는 운전 과정 중 동시에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차모듈
    ① 고령 운전자는 정차 시에도 운전에 집중하며, 운전의 과정을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청년 운전자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즐거움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 주행 모듈
    ① 고령 운전자는 운전 중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소를 미리 차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② 청년 운전자는 주행 중에도 자신 만의 방법으로 즐거움을 추구하는 보였다.

    코딩 과정을 통해서 고령운전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15개의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도출함. (구체적 결과는 보고서 내 표 5 참고)

    2 차년도 연구 결과
    * 운전 경험 요인의 연구 모형을 설문조사와 실험을 통해 도출하였다.
    - 시각정보, 청각정보, 운행정보, 인적 환경, 외부 환경 요인이 습관, 각성의 요인에, 습관, 각성 요인은 운전의 안전성과 감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행정보, 인적 환경, 청각 정보가 고령운전자와 청년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앞서 제시된 모형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인과 관계를 확증
    - 청년운전자와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운전 시 소리의 종류에 따른 각성반응이 두 집단간에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활용 방안
    - ‘운전 경험’을 HCI적 의미에서의 인지과학적, 디자인적 측면에서 총체적인 개념을 제시 및 중요 요소를 포함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 이를 향후 자율주행자동차의 활성화의 변화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 경험과 관련한 연구의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 특히 고령 운전자의 운전 경험 모형을 제시를 통해 고령 운전자의 효과적인(과학적으로 타당성을 갖춘) 운전 인터페이스의 제시를 위한 바탕을 제시하여 준다.
    - 차량의 새로운 설치환경에서 운전 인터페이스의 통합적 측정모형(Measurement)의 활용
    - 고령 운전자층을 타겟으로 한 차량 제품의 UI 적용으로 운전 안전성 확보한다.
    - 최적 고령 운전자를 위한 운전 경험 가이드라인 도출한다.
    - 산업적 측면에서는 도출한 운전 경험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UI를 제시하는 과정에서의 바탕이 되는 데이터 제시하여 준다.
  • 색인어
  • 운전 경험, 운전 경험 요인, 고령운전자, 노인운전자, 운전경험모형, 운전자 인터페이스, 경험 분석, 사용자 컴퓨터 상호작용, 운전 과정 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