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316&local_id=10086562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과의 위상과 국어교과서의 텍스트 및 어휘에 나타난 양국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과의 위상과 국어교과서의 텍스트 및 어휘에 나타난 양국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미숙(명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104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과의 위상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체제의 차이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텍스트(texts, 본문) 및 어휘(vocabulary) 대조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특징을 연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현재 사용중인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1학년에서 배우는 국어과목 (한국은 국어1・국어Ⅱ, 일본은 國語總合)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채택율이 높은 각 3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1> 어휘에서는『분류어휘표』(1964)에 의거하여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에 나타나는 범주별 유의차(有意差)를 분석하였다. 먼저, 5개 대분류의 ‘전체어수’에서 한국은 ‘인간 활동의 주체’ 항목에서, 일본은 ‘추상적 관계’ 항목에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43개의 중분류에서 전체어수에 주목해 보면, 한국은 인간, 가족, 구성원・직위, 사회, 경제 등 14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높게 나타났고, 일본은 지시, 동맹・단체, 마음, 창작・저술, 교류, 기계, 동물 등 8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 부부・조부모・손주・형제와 관련된 넓은 범위의 친족명을 사용하고 있고, 특정인물, 인칭어, 장(長), 군주, 지배계급, 세금, 급여, 소득, 직업, 평화・전쟁 및 여러 생산물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개인 및 가족, 상하관계가 중시되면서 경제 및 안보를 포함하여 실생활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은 가족과 관련된 어휘는 부모에 집중되어 있고, 인간 전반을 가리키는 통칭어나 인종, 임시적 지위를 나타내는 어휘가 많았고, 감정, 지식/의견, 창작/저술, 단체, 집회, 기계 등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일본은 개인보다는 집단, 상대적으로 지배 및 상하관계에서 벗어나 있으며 현실적인 생활보다는 감정 및 정신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한・일 초・중・고 국어교과서의 어휘 중 ‘인간’에 대한 어휘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통하여 양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먼저, <인간> 항목에서는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고유 인물보다 인물 통칭의 비중이 높아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은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집단’에서 ‘개인’으로 변화하는 반면, 일본은 ‘개인’에서 ‘집단’으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족> 항목은 양국 모두 부모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특히 학교 급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역할을 중요시하였다. ‘딸’보다 ‘아들’이 많은 것도 공통적이었다. 한편, 한국은 일본에 비해 더 유교적 이념이 드러났는데, 고등학교에서의 ‘부’, ‘조부’에 대한 편향과 전반적인 ‘장자’, ‘형’에 대한 중시가 그러하였다.
    <인종・민족> 항목에서 한국은 외국인에 관한 어휘를 다량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왕’, ‘양반’과 같은 지배계급에 대한 동경도 드러나 혈통주의, 민족주의와 함께 사회계급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다. 일본은 ‘인물’에 대한 어휘의 사용이 많아 ‘인간 일반’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성원・직위> 항목에서는 양국 모두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다양한 직업명이 등장하였다. 한국은 ‘장(長)’에 관한 어휘가 많았는데, 특히 고위관직명에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 일본은 ‘글쓴이, 청자, 감독’ 등, ‘임시적 지위’에 관한 어휘가 많았다.
    <3>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 및 학습활동, 문학텍스트의 비중 및 소설・극・수필・시 등의 장르별 분포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대표적 문학 장르인 ‘소설’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 및 등장인물의 성차(性差), 가족 관계, 주제 및 전쟁・평화 관련 이데올로기 등을 통해 양국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를 밝혔다.
    일본은 정서(감성)적인 문학 관련 교재 및 텍스트의 비중이 높은 반면 한국은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비문학 관련 교재 및 학습활동의 비중이 높아 대조적이다. 양국 모두 초・중학교와 달리, 작가 및 등장인물의 성차가 줄고 있으나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국의 등장인물은 주로 가족관계로 이루어져 있어 가족 중심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
    사회 문화적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소설의 주제를 보면, 한국은 현대소설(14편)에서 6.25전쟁 및 일제강점기와 관련하여 피해를 고발한 전쟁・평화교재 및 여성의 사회적 지위 및 다문화 관련 텍스트가 주를 이룬다. 고전소설(6편) 역시 주로 성차・신분차별을 다루고 있다. 결국, 시대성 및 역사성이 강하고 사회문제를 다룬 텍스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목표에 도달해 가도록 하는 노력이 엿보인다.
    한편, 일본의 현대소설(17편)은 시대성, 역사성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초・중학교와는 달리, 이른바 환상소설이나 친절함(やさしさ)과 희망을 주는 성장소설이 주를 이룬다. 전쟁・평화교재는 오키나와전(戰)을 다룬 1편이 유일하며, 전쟁으로 인한 자국의 희생 및 감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전소설(28편)의 경우 역시, 중국 설화 등을 통해 역사적 일화를 다루거나 해학을 주제로 하는 등, 특정 가치관보다는 읽기 자료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서 제작의 시스템 정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앞으로 교과서 제작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 교과서의 문학 및 비문학텍스트의 비중, 텍스트 및 학습활동의 비중을 재고함과 동시에, 교과서에 여전히 나타나 있는 성차 및 유교적 가치관, 충효, 상하관계 등의 가치덕목, 문학작품의 주제의 편중, 창의적이고 상상력을 유발하는 텍스트 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ntend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the status, curriculum, and textbook format of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 for high school in Korea and Japan. Based on this,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texts (readings) and vocabulary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in both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cultural values of both countri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national language textbooks taught in 2015 for the first-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Korean Language I(국어I) and Korean Language II(국어II) of Korea, Japanese Language Comprehensive (國語總合) of Japan). To secure objectivity, 3 types of national language textbooks used in a great number of schools were selected from each country.
    <1> As for ‘vocabulary’, this study examin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t categories in the high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Korean and Japan, based on Bunrui Goihyo (1964).
    First, in ‘the overall number of words’ in 5 major categories,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he item ‘the main agent of human activities’ whil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he item ‘abstract relationship’.
    As for the overall number of words in 43 middle categories,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ed great differences in 14 items including human beings, family members・position, society, and economy. Japanese language textbooks showed great differences in 8 items including instructions, alliance・organization, mind, creative activities・writing, interaction with people, machine, and animal.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 titles of relatives of a wider range that are associated with husband and wife, grand parents, grandchildren, and brother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cific person, words indicating persons, boss, monarch, ruling class, tax, wage, income, occupation, peace・war and various product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 reflection of actual life including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as greater emphasis is laid on individual, family, and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I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words related to family were those about parents; many words were common names referring to humankind in general, and words indicating ethnicity and temporary position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ds related to feelings, knowledge/opinion, creative activities/writing, organization, assembly, and machine. This result confirms that Japanese society gives priority to group over individual, and is comparatively free from dominance-subordination or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s, and more focused on emotions and mental activities rather than on practical.

    <2> This study explored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through examination of how ‘human beings’ are dealt with in the textbooks, focusing on the vocabulary related to ‘human being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In the item ‘human beings’,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textbooks showed that as the level of school went higher, a greater number of words wer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people rather than specific persons. However,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group’ gave way to ‘individual’, whil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showed the shift from ‘individual’ to ‘group’.
    As for the item ‘family’, the proportion of vocabulary on parents was highest in both countries. Especially, as the level of school was lower, the role of mother was regarded as important.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more words related to ‘son’ than those related to ‘daughter’. On the other h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revealed Confucian ideology more than Japanese counterpart did. The Confucian tendency was especially confirmed by the preference for ‘father’ and ‘grandfather’ in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well as the great importance generally attached to ‘the eldest son’ and ‘elder brother’.
    In the item ‘race・ethnic group’,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using a greater amount of vocabulary on foreigners. On the other hand, adoration of the ruling class was also found in the words like ‘king’ and ‘yangban’, which reveals the way of thinking that values bloodline and nationalism as well as awareness of social classes. Japanese language textbooks showed a great amount of vocabulary used to express ‘person’, which indicates high interest in ‘human beings in general’.
    In the item ‘member・positio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more various names for occupations as the level of school moved higher. Korean language textbooks had many words related to ‘boss’, particularly names for high-ranking officials. On the other hand, Japanese language textbooks had many words related to ‘temporary positions’ such as ‘author, listener, and supervisor’.

    <3>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proportions of the readings, exercises, and literary reading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nres of novel, drama, essay, and poetry of the high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Based on this, this paper focused on ‘novel’, which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genre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of socio-cultural val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examining the gender gap among authors and characters, family relations, themes, ideologies related to war and peace.
    Japan has a high propor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readings related to emotional literature whereas Korea has a high proportion of non-literary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intended to convey information and persuade students.
    Unlike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countries, the gender gap among of the authors and character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countries is narrowing. Bu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Th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ainly consist of family relations and deal with issues centered around the family.
    As for the subject matters of novels in which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re most evident, modern-contemporary novels (14 in total)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ainly feature readings about war and peace reporting the damage incurred by the Koran War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as well as readings related to social status of women and multi-cultural issues. Classical novels (6 in total) also deal with gender gap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summary, the novel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how an effort to lead students to the learning goals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y making use of readings that cover issues of manifestly social and historical nature.
    On the other hand, modern-contemporary novels (17 in total) i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avoid social and historical issues. Unlik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ost of them are so-called fantasy novels or Bildungsromans intended to provide kindness and hope for students. Regarding topics related to war and peace, there is only 1 reading, which is about the Battle of Okinawa focusing on the Japanese victims intended to impress the reader. As for classical novels (28 in total), they are materials of paleographical significance rather than of specific values since most of them deal with humorous subjects or historical incidents via Chinese folk tales, etc.
    This study pointed out the need for improving the system of textbook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material for textbook produc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reconsider the proportion of literary and non-literary readings,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This study also pointed out the problems of gender gap and specific values such as Confucian ideologies,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as well as concentration of themes of literary works on specific issues in the textbooks discussed. It proposed the need for developing creative texts that would encourage imagnation of stud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과의 위상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체제의 차이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텍스트(texts, 본문) 및 어휘(vocabulary) 대조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특징을 연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같은 시기의 초・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연구한 졸고(2011-2017)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2차년에 걸쳐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고 3편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1차년도 ; ⑴ 국어과의 위상 및 교육과정・교과서 정책 연구 및 국어교과서의 어휘연구
    ・2차년도 ; ⑶ 인간활동의 주체와 관련된 어휘 심층연구 및 교과서 텍스트 연구
    ・李美淑(2016) 「한・일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에 나타난 사화 문화적 특징 연구」 『日 本言語文化』37, 韓國日本言語文化學會, pp.203-229
    ・尹敏怡・李美淑(2016)「한국과 일본의 국어교과서의 인간 관련 어휘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특징 연구-초・ 중・고 학교 급에 따른 변화에 주목하여-」 『日本學報』109, 韓國日本學會, pp.19-38
    ・李美淑(2017)「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가치관 연구」『日本語敎育硏究』41,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년 11월 30일 발간, 게재예정증명서 첨부)
    1) 먼저, 교육과정 및 국어과 위상에 대하여는 2011년에 이루어진 한국의 ‘2009개정교육과정'과 일본의 2011년의 ‘新學習指導要領'와의 대조분석을 진행하였고, 한국과 일본의 연구대상 국어교과(한국은 『국어Ⅰ・Ⅱ』,일본은 『国語総合』) 및 채택률을 고려하여 3종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2) 어휘연구는 현재 양국에서 가장 채택률이 높은 1종(박영목 외(천재교육), 第一学習社)을 선택하여 개별어수(한국:5,008, 일본:3,883) 및 전체어수(한국:18,735, 일본:13,544)를 산출하여, 일본 국립국어연구소『分類語彙表』(1964)에 근거하여 어휘분포 대조를 완결하였으며, 2편의 연구논문을 등재지에 게재하였다. 이중 1편은 석사과정 연구보조원을 포함한 공동연구로, 후속 세대를 기르려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3) 텍스트연구는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각 3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의 텍스트 및 학습활동, 문학텍스트의 비중 및 소설・극・수필・시 등의 장르별 분포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대표적 문학 장르인 ‘소설’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 및 등장인물의 성차(性差), 가족 관계, 주제 및 전쟁・평화 관련 이데올로기 등을 통해 양국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를 밝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교과서에 나타난 양국의 가치관을 통한 상호 이해
    한국의 경우, 중학교에 이어 고전 및 현대소설 모두 시대성, 역사성과 관련 깊은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특히,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신분 및 성차를 주제로 한 작품을 싣는 등, 시대성 및 역사성이 강하고 사회문제를 다룬 텍스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목표에 도달해 가도록 하는 노력하고 있으나 현대소설의 예로 보아도 한국은 등장인물이 주로 가족 관계로 가족 중심의 사건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 많고 지나치게 일제강점기 및 6.25전쟁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을 다룬 교재가 많은 만큼, 특히 현 세대의 관심 및 창의적 주제의 다양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어휘에서도 한국은 인간, 가족, 구성원・직위, 사회, 경제 등의 범주에서 일본은 지시어, 동맹・단체, 마음, 창작・저술, 교류, 동물 등의 범주에서 유의차가 나타났고, 특히 소분류에서는 한국은 부부・조부모・손주・형제와 관련된 친족명, 특정인물, 인칭어, 장, 군주, 지배계급, 세금, 소득, 일, 평화・전쟁, 생산물 등에서 나타나 개인 및 가족 등, 상하관계가 중요시되고 경제 및 안보 등 실생활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은 가족과 관련해서는 주로‘부모’에 한정되고, 특정인물보다는 인간 전반을 가리키는 통칭어(通稱語)와 인종, 자타, 노소(老少) 및 임시적 지위를 나타내는 어휘가 많고, 감정, 지식・의견, 창작・저술, 단체, 모임, 기계 등에서 유의차가 높다. 현실생활보다 인간의 감정 및 정신활동과 관련된 어휘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여전히 양국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는 사회국가적 가치관이나 이데올로기가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는 다양한 갈등의 모습으로, 일본의 경우는 이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음으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같은 양국의 사회 문화적 특징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다양한 방면에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2. 교과서 제작의 기초자료로서 활용가능
    교과서에 나타난 특징 및 양국 간 상대적 비교를 통해서 양국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제작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 먼저, 문학 및 비문학텍스트의 비중 및 장르별 분포 비교를 통해서 일본은 정서(감성)적인 문학 관련 교재 및 텍스트의 비중이 높은 반면 한국은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비문학 관련 교재 및 학습활동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밝힌 만큼, 이와 관련된 비중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엇보다 양국 모두 초・중학교와 달리, 작가 및 등장인물의 성차가 줄고 있는 점은 인정되나 여전히 직업에 나타나는 성차 및 작가 및 등장인물에 나타난 성차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초・중학교에 비해, 유교적 가치관, 충효, 우애, 우정 등의 가치관은 많이 줄었으나 일본과 상대적으로 상하관계의 가치가 강하다. 이는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지 교과서에서 이에 대한 배려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주어진 단원에서 모든 학생을 같은 방향으로 학습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상하나 자칫 틀에 박힌 결론을 유도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보아야 할 때다. 일본이 텍스트에 대해 학습활동에 1페이지를 할애한 반면, 한국은 5-6페이지를 할애하고 있다는 점은 양국 모두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다.

    3. 텍스트 선정상의 문제점
    한국의 경우, 텍스트의 주제가 지나치게 역사, 전쟁, 독립, 갈등, 인물, 사회적 상황 및 문제에 얽매어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아야 한다. 반면 문학 및 비문학을 통틀어, 현대를 살아가는 세대가 고민하고 상상하고 도전할 수 있는 테마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4. 교과서 사적 연구의 자료제공
    본 연구는 부족하나마 졸고(2015, 2016, 2017)에서 다룬 초・중학교 국어교과서 연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연구함으로써 2011년~2017년에 사용된 양국의 초・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단면을 개관할 수 있다. 전후에 사용된 교과서와의 변화 및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는 사적자료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5. 교과서 제작의 시스템 정비 구축 촉구
    일본이 작품의 편수 및 분량, 장르별 분포 등에 있어, 3종 교과서가 정형화되어 있는데 반해 한국의 경우는 3종 교과서 간에 차이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자율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교과서의 선택에 따라 비중이 지나치게 다르다는 것은 동일한 평가를 받게 되는 학생이나 교사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 본다. 해당 교재에 대한 분석과 연구 성과를 다음 개정에 반영하는 시스템정비가 시급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 색인어
  • high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 literary readings, novel, vocabulary, Lexical distributions, s​ignificant difference, Bunruigoihyo, human being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