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361&local_id=10086646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와 가족 : ‘국민국가’와 ‘도시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와 가족 : ‘국민국가’와 ‘도시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양수(동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09107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차년도 연구 : 허우샤오셴 영화 속 “민간”이라는 시각 : 『戯夢人生』을 중심으로」
    본고에서 말하는 ‘민간(民間, folk)’은 ‘주체’ 라기 보다는 ‘방식’에 가까운 것이다. 허우샤오셴 영화 속 인물들의 삶의 세계는 전통 사회에서 형성되어 근대적 질서를 거치면서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민간의 세계’이다. 이는 근대적 지식체계에 의해 ‘전근대적’으로 타자화된 ‘비과학’적 세계를 의미하거나, 근대 이전부터 사회적으로 전해 내려오던 방식, 혹은 그러한 생활감각을 말한다. 민간의 방식이란, 지식이라기보다는 지혜에 가깝고, 합리적이라기 보다는 경험적인 것이며, 개인적이라기보다는 공동체적 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속 민간적 모티브는 다음 네 가지로 표현되고 있다.
    1. 운명 : 티엔루 외할머니의 인생은 몹시 기구해서, 말년에 함께 살고자 했던 자식 셋(아들, 손자, 딸)이 갑자기 죽어버리는 등, 이유를 설명하기 힘든 일만 계속해서 생겨난다. 열흘 동안 잠만 자는데도 의사들은 신체적으로 아무 이상을 발견해내지 못한다. 할머니가 쓰러지자 동네의 어느 노인이 티엔루를 보고 “그나마 네가 쿠이싱(魁星) 별자리를 타고 났으니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할머니 때문에 너는 바로 죽었을 것” 이라 하면서 이러 저러한 조언을 해준다. 근대적이고 합리적인 사유와 ‘민간’의 지혜가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
    2. 민간요법 : 어느 날 티엔루의 연인 리주(麗珠)의 입술에 종기가 나더니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퉁퉁 부어오른다. 티엔루는 예전에 어디서 들은 말을 떠올리고는 개구리를 양동이로 하나가득 잡아와서 배를 따고 환자의 얼굴에 덮어둔 뒤에 개구리가 마르면 교체하고 또 교체하기를 새벽까지 반복했다. 날이 밝아오자 리주는 열이 가라앉았고, 정신을 차리게 되었다. 물론 당시는 전쟁상황이어서 서양 의학의 치료를 받기 어려운 점도 있었겠지만, 여기서 ‘민간’요법의 효과는 훌륭하게 발휘된다 .
    3. 우의(友誼) : 티엔루의 아들이 어린 은어를 낚아 시장에서 팔다가 경찰서에 잡혀온다. 당시 타이완에서 6개월 미만의 작은 은어는 포획이 금지되어 있었다. 경찰서장은 티엔루의 어린 아들을 방면해주는데, 이는 어린 아들에 대한 관용과 티엔루에 대한 우의의 표현이다. 한편으로는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관계가 미화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친구의 어린 아들을 처벌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법률적 관계를 뛰어넘는 ‘민간’적 처리 방식이다.
    4. 민생(民生) : 전쟁이 끝난 후 길을 가던 티엔루는 타이완 사람들이 비행장에서 군용기를 해체하고 있는 장면을 목도한다. 전쟁을 일으키고, 무기를 만들고, 국민을 전쟁에 동원하는 것이 국가의 방식이라면, 전쟁의 상징인 비행기를 뜯어서 알미늄을 고철로 팔아먹으려는 것은 철저하게 ‘민간’적인 방식이다. 민간인에게는 전투기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

    2차년도 연구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에드워드양(楊德昌)의 『하나, 그리고 둘(一一)』세독」
    에드워드양(楊德昌) 감독의 『하나, 그리고 둘』은 인간의 보편적 인성에 관한 영화이다. 영화 속 어린 아이 양양(洋洋)은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 뒷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을 찍어 그들에게 보여준다고 말한다. 자기의 뒷모습을 스스로 볼 수 없다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며, 이는 인간이 가진 ‘주관주의’에 대한 훌륭한 은유이다.
    시각의 근대성, 시각과 인지의 관계, 시각과 권력 등 시각성(visible)에 대한 담론은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론보다는 텍스트에 집중하여 영화 속 ‘시각’의 문제를 해석해내고자 했던 바, 그 구체적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1) 영화 속에서 양양이 말한 바 ‘진실의 절반’을 보지 못하는 인간의 한계라는 측면에 착안하여, ‘인간의 본성’이라는 차원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2) ‘보는 것’에 대한 양양의 집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를 근대성을 둘러싼 세계관의 대립 문제와 연결시켜 풀어가 보고자 하였다. (3) 감독은 ‘드러냄’과 ‘감춤’을 미학적으로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서사’가 아닌 ‘화면’의 차원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논하였다.
    에드워드양은 평소 자신의 영화적 지향이 타이베이인의 삶의 모습을 그려내는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하나, 그리고 둘』 이야말로 타이베이에서 살아가는 가족의 모습을 매우 온전하게 그려낸 영화이다. 서사의 흐름은 ‘순환’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듯한데, 이는 결혼 → 출산 → 만월(滿月) → 살인 → 장례라고 하는 인간사의 생명적 모티브가 균형있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에드워드양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대립을 통해 종교, 혹은 유교전통에 얽매여 사는 타이베이인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타이완의 경제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타이베이인들의 사유와 행동에 있어서는 전근대적인 면이 있다고 하는 것을 감독은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눈에 보이는 것만을 믿는다고 하는 양양의 회의주의는 근대적이고 자주적인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낼 것이다.
  • 영문
  • A Study of the First Year: The View of "Folk" in the Movie of Hou Hsiao hsien: Focus on『The Puppetmaster』
    The term 'Folk' as used in this article is closer to 'method' rather than 'subject'. The world of characters' life in Hou Hsiao hsien's movies is a 'the world of folk' that has been formed in traditional society and is undergoing modern order but still being maintained. It means "non-scientific" world which has otherness as "pre-modern" by the modern knowledge system, or the way it was conveyed socially from before modern times, or such a sense of life. The folk way is closer to wisdom than knowledge, empirical rather than rational, and communal rather than personal.
    The folk motives in the movie are expressed in four ways.
    1. Fate: The life of Tien Lu's grandmother is so unfortunate that only things that are hard to explain still happen, such as the sudden death of three children (son, grandchild and daughter) who wanted to live together in the latter years. She slept for ten days, but the physicians did not find anything physically wrong. When a grandmother lost consciousness, an elderly person in the neighborhood gave this advice to Tien Lu, saying, "You are fortunate that you were born with the Kuixing constellation, otherwise you'd be dead because of your grandmother." There is an opposition between modern and rational thinking and wisdom of 'folk'.
    2. Folk remedies: One day, the lips of Tien Lu' s lover, Liju, had an abscess and was swollen to such an extent that he could not recognize her face. Tien Lu recalled what he had heard before, and he caught a frog full of buckets, opened the frog‘s stomach, covered it on the patient's face, and repeated it until dawn to change and change the frog when it dried. As the day was just dawning, and the Liju‘s fever went down and regained consciousness. Of course, there was a war situation at that time, so it was difficult to get western medicine treatment, but the effect of 'folk' remedy was excellent here.
    3. Friendship: Tien Lu's son was taken to the police station because he snatched a small sweet fish and sold it in the market. At that time, small sweet fish under six months in Taiwan were prohibited from capturing. The chief of police released the young son of Tien Lu, it was a tolerance for a young son and a friendship expression about Tien Lu. On the one hand, it can be sai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sts and the colonized has been romanticized, but the failure to punish the young son of a friend is clearly a 'folk' way that transcends the legal relationship.
    4. People‘s livelihood: After the war, Tien Lu, who is on the way, witnesses Taiwanese disassembling military aircraft at the airport. If it is the national way to bring war, make weapons, and mobilize the people to war, it is a thoroughly ‘folk’ way to sell scrap metal for aluminum by disassembling the plane, a symbol of war. This is because civilians do not need fighters.

    A Study of the Second Year: 「Visible and Invisible: Edward Yang's 『Yi Yi, A One And A Two』 subscribe in detail」
    Edward Yang's 『Yi Yi, A One And A Two』 is a movie about the universal humanity of humans. A young child in the movie, Yangyang, says that she took a picture and showed it to them because people cannot see their own back. It is the destiny of man that he cannot see himself in his own back, and this is a wonderful metaphor for the 'subjectivism' which a man has.
    The discourse about visibility such as the modernity of visual,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nd cognition, and the visual and power are very divers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terpret the problem of 'visual' in the movie by concentrating on text rather than generalization and the specific problem awareness is as follows. (1) We focused on the limit of human being who cannot see 'half of truth' which Yangyang pointed out in the movie, and proceeded to discuss it in the viewpoint about 'human nature'. (2) What does Yangyang's obsession with "seeing" mean? W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connecting it with the opposition problem of the world view around modernity. (3) The director uses aesthetic appropriately 'exposing' and 'concealing'. Here we discussed 'what is visible' and 'what is invisible' in the viewpoint of 'screen' rather than 'narrative'.
    Edward has said that his film-oriented style usually depicts the life of Taipei people. 『Yi Yi, A One And A Two』 is a very complete picture of the family living in Taipei. The flow of narrative seems to have been in mind of 'circulation', which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life motif of human affairs such as marriage → birth → full moon → murder → funeral is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Edward describes the Taipei people who are confined to religion or Confucian tradition through the opposition of 'what is visible' and 'what is invisible'. We speculate that the director is saying that despite the economic success of Taiwan, there is a premodern aspect of the Taipei people's reasoning and actions. The skepticism of Yangyang, who believes only what is visible in such a way, will create a modern and independent new huma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타이완 영화 속 가족의 삶의 모습을 통해 국민국가 수립 과정에 서 형성된 트라우마와 도시화가 야기한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타이완은 1895년 청일전쟁에서 청(淸)이 패한 이후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고, 1945년 일본 패전 후에는 국민당의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그 후 군부독재와 민주화운동 시기를 거치면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다. 근대이후의 역사전개에 있어 타이완은 한국과 매우 유사한 윤곽을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자는 타이완 사회의 문제점들이 현재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사회문제를 고민하는데 있어 하나의 좋은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의 대표적 감독 허우샤오셴(侯孝賢,1947~ )과 에드워드양(楊德昌,1947~2007)의 영화를 텍스트로 하여, 타이완 사회가 거쳐 온 근대화의 기억들을 검토하였다.
    타이완 ‘뉴웨이브’란 문자 그대로 타이완 영화의 ‘새로운 물결’이라는 의미로, 80년대 초반의 젊은 영화인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현실참여적 영화운동을 말한다. 타이완 영화의 ‘새로운 물결’은 낡고 진부하던 타이완 영화계 내부에서 생겨났다. 1950년대 이래 국책영화의 제작을 담당해온 중앙전영공사(中央電影公司)의 신예감독들이 새로운 영화를 만들어내면서 ‘본토의식(本土意識)’을 담아내기 시작한 것이다. 1960년대 이후 타이완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변화가 많았으며, 자전적 성장영화들은 자연스레 타이완의 지난 모습을 회상하며 서서히 본토성(本土性)을 확보해가기 시작한다. ‘본토화’는 ‘indigenization’ 혹은 ‘Taiwanization’이라 번역되는데, 국민당 통치기간 내내 외성인(外省人) 중심의 주류에 의해 소외되어 왔던 것과 관련해서, 87년 계엄령 해제 후 급속히 온 진행된 타이완적 특색을 지닌 입장들의 복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이후 타이완의 가족 문제를 국민국가 및 도시화와의 길항(拮抗)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가정은 국가의 경제적 기초를 구성하는 단위이기도 하지만, 전시의 상황에서는 징병의 단위가 되는 것이며, 독재정권하에서는 통제의 단위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식민통치와 전쟁, 경제성장과 독재정치의 시기를 거친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국가와 가족은 상호대립적 관계에 놓이기도 했다. 타이완 사회에서 ‘도시화’의 문제는 대체로 근대적 국민국가가 형성되고 자본주의적 물신숭배가 심화되는 것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어 갔다. 도시화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개인주의적이고 합리주의적인 멘털리티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공동체적 인정미가 남아있던 가족 정서 속에서 갈등을 일으키는데, 이는 산업사회로 이행해가던 동아시아의 근대가족에서 찾아볼 수 있던 과도기적 모습이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동아시아 사회에서도 이혼률의 상승, 출생률의 감소, 동거의 증가, 혼외출생의 증가 등에 의해 근대가족은 변화하기 시작한다. 결혼과 출산에 의해 지탱되던 근대가족이 흔들리면서, ‘가족의 시대’가 ‘개인의 시대’로 변해가기 시작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완의 근대가족이 식민지배와 전쟁, 그리고 독재시기를 거치면서 국민국가와 어떠한 관계에 놓이게 되는가, 그리고 과도한 경쟁과 물신숭배, 경제불황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포스트모던 시대의 ‘가족 위기’ 상황에서는 어떻게 변모하는가 하는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와 연구의 기초를 형성한다.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는 높은 예술성으로 인해 이미 국내에도 매니아층이 형성되어 있고 해외에도 많은 연구서적들이 나와 있다. 하지만 한국의 학계에서는 아직 타이완 영화나 그 컨텍스트로서의 역사나 사회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편이라 할 수 있는데,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타이완 영화와 문화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성장하게 된다면, 타이완 사회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역시 가능해질 것이다.
    (2) 한국사회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비교의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제강점기, 개발독재, 민주화운동, 경제성장 등 현대사에 있어 한국과 유사한 정치경제적 배경과 특징을 갖고 있는 타이완 사회에 관한 연구는 한국학 연구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재 그들이 지니고 있는 아이덴티티적의 혼란과 그것을 극복해가는 탐색의 과정은 한국사회의 정체성 탐색에 일정한 참고가 될 것이다.
    (3) 동아시아의 근대 가족과 사회를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도록 한다.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은 유교적 전통과 도시적 삶 사이에서의 갈등이라고 하는 공통의 사회적 요소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가부장적 유산을 갖고 있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근대 가족과 사회, 혹은 정치문화를 이해하는데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중화권 도시문화 연구의 기초가 되도록 한다.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를 통해 도시화의 제반 문제들을 다각도로 탐색함으로써 타이완 사회 연구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를 확장시켜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 중국 및 중화권의 도시 문화를 탐색하는 후속 연구로 발전시켜 갈 수도 있다.
    (5) 한국의 중국연구 학계에 있어 대륙중심적 경향을 극복할 기초를 마련한다.
    타이완 사회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의 중국연구 학계에 있어 대륙중심적 경향을 극복할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타이완 사회에 대한 다각도적 탐색은 중국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탈중심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 대학의 강의과목으로 개발한다.
    연구 수행 후 「타이완의 사회와 문화」, 「동아시아 영화 속의 가족」,「중화권 도시의 사회와 문화」 등 인문학 관련 교양과목 강의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동아시아 국가 간의 관계성과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 예술, 인물 등에 대한 관심을 넓혀 가도록 한다.
  • 색인어
  • 타이완, 타이베이, 타이완 영화, 타이완 아이덴티티, 본토화, 가족, 가족 사회학,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 국민국가, 도시화, 『비정성시』,『동년왕사』,『연연풍진』,『카페 뤼미에르』,『고령가 소년살인사건』,『공포분자』,『하나, 그리고 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