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372&local_id=10086347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의 양면성과 도전: 동정과 정의 사이 그리고 개발 교육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의 양면성과 도전: 동정과 정의 사이 그리고 개발 교육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상철(제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0915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해외봉사활동은 해외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해외원조가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의 일방향적 사업에서, 원조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공여국이 참여하며 국제개발협력으로 접근이 변화하고 있어 변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원조에서 협력으로의 변화는 해외봉사활동에서도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는데 참여자의 동정적 태도에서 정의적 태도로의 발전을 특히 교육적 목적을 지닌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의 목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는 세계의 빈곤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개발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접근이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변화하고 있어 해외봉사활동을 교육기회로 확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해외봉사활동의 교육활동 외 핵심적인 추가 활동으로 개발도상국 현장 지역에서 주민과의 교류, 지역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설문과 면접을 포함한 조사를 제안하였다. 사례로 스리랑카 농촌지역의 대학생 해외봉사단은 교육봉사 활동과 더불어 학생, 지역주민과의 교류 시간을 늘리고, 설문조사와 면접을 통해 지역의 수요와 가구 현황, 그리고 지역 통계자료를 구득해 지역 경제, 사회상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자연스럽게 해외봉사활동을 국제개발협력과 연계시키며, 현장에서 개발교육, 세계시민교육을 전개하는 기회로의 확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영문
  • International volunteering is now in need to change its practice. The foreign aid encompassing the international volunteering has been changing from the one-way giving by developed countries to the developing countries to the cooperation among diverse participating countries. The change from aid to cooperation means a change from sympathy to justice both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volunteering. It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student volunteering activities with experiential learning purposes. As the development education emphasizing global poverty and inequality has adopted widely into a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ternational volunteering is a good opportunity to be evolved to realize the education in the field. This study proposes activities including more interaction with locales, surveys and interview to get to know the local conditions and localities in addition to the classroom teaching. An exploratory case in a rural area, Sri Lanka reveals that college students having more time with students and residents, knowing the household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basic statistics assembled in the field begin to link the volunteering with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bring diverse thoughts about development. It shows a possibility to enhance international volunteer activities into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opportunities organized in the fiel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해외봉사는 해외원조 활동의 일부로 오랫동안 선진국 중심으로 시작된 빈곤국에 대한 지원활동으로, 근대화 이후 이분법적으로 고착화된 발전-빈곤이 공여-수혜의 이원적 구도로 연계되어 인식되고 실천으로 이어져 왔다. 최근 한국에서 확대되고 있는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은 이러한 측면에서 비판적 검토를 필요로 하며 교육적 활동 기회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국제개발협력이 최근 자선보다는 공감, 동정보다는 기회를 강조하고, 세계의 빈곤과 불평등문제를 강조하는 탈식민적 개발교육은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이에 비추어 현재의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은 동정-정의의 스펙트럼에서 동정 쪽으로 치우친 모습으로, 교육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에 더해 개발도상국 현지 마을 주민과의 교류 그리고 지역조사 활동을 통해 지역 상황을 이해하는 노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빈곤 상황과 원인 그리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한 나름대로의 고민을 통해 세계시민적 태도와 참여를 향상시키는 현장 교육 기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학문적 측면에서는 국제개발협력이 원조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거버넌스와 시민사회를 강조하기에 봉사활동은 참여를 통한 상호학습과 지역 사회 강화와 발전이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비추어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을 기초적인 개발도상국 지역 이해로부터 점진적으로 지역 발전으로 확대해 나가며 새로운 지역발전의 잠재력을 소지역 단위에서 찾아보는 방법은 국제개발협력과 지역발전의 주제에 공헌하는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개발도상국 현장 원조사업에 대한 참여 관찰의 연구는 소지역 단위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오히려 사회집단을 새로이 구분하며 갈등을 조장한다는 사례는 지역주민과의 교류를 통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의 관습과 사회적 속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 지역발전 논의에 새로운 대안적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시도로 고려할 수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해외봉사활동을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목표에 일부 부응하는 지역 조사활동을 통해 개발도상국 지역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현지 활동은 그 자체 개발 교육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확대할 수 있다. 해외봉사활동의 ‘봉사’라는 용어가 참여자들에게 자칫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부담을 가져 개발도상국 현지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사전에 현지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을 준비하다 보니, 대다수의 경우가 현지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없이 수업내용을 구성하고, 한국문화 소개와 노력봉사로 학교나 공공시설 도색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활동이다. 그러나 비판적으로 보면 한국문화 소개는 공여자 중심의 활동이 될 가능성이 크며, 도색 활동 또한 현지의 필요보다 참여 학생들에게 땀 흘리기를 통한 자아성장의 편형성을 부인하기 어렵다. 한국문화보다는 세계 이해 교육, 도색활동도 현지 학생과 주민이 함께 작업하며 교류, 대화의 시간으로 고려한다면 보다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의 기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해외봉사활동, 해외원조, 국제개발협력, 봉사-참여, 동정-정의, 탈식민주의, 지역 조사, 개발교육, 세계시민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