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422&local_id=10086815
주민소통을 위한 지방의회의 통합적 성과평가와 새로운 모형개발과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주민소통을 위한 지방의회의 통합적 성과평가와 새로운 모형개발과 적용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송건섭(대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142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지방의정활동에 대한 의원과 주민간의 소통지표 및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진단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소통지표는 소통태도, 소통기반, 소통노력, 소통성과 등 4개로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지역 지방의회의 소통평가에 적용하여 보았다. 우선 의정활동 분석에서는 두 지역 모두 소통태도는 높으나, 소통수준은 높지 않았다. 조사 분석에서는 지방의회는 전반적으로 소통태도는 높으나 소통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시사점으로 첫째, 소통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 내에 소통전문위원회 설치하거나 소통전문가를 전문위원으로 충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주민참여를 강화하고, 의회 내의 소통공간을 마련하고 소통채널을 다양화해야 한다. 셋째, 소통방법으로 소설네트워킹서비스(SNS)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소통활성화를 위해 의원-주민간의 협의회 구성, NGO활동, 여론조사, 주민투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소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피드백이 요구되며, 의회발전을 위한 소통태도와 노력, 소통성과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키워드: 소통지표, 소통시스템, 주민평가, 지방의회)
  • 영문
  • This paper develops communication indicators and models between the councilor and the residents for the local council activities and examines its applicability through its diagnosis. The communication indicators consisted of communication attitude, base, effort, and performance. In the analysis of local council activity, communication attitude was high in both regions(Daegu & Gyeongbuk), but communication level was not high. In the survey analysis, the local councils were evaluated as having a high communication attitude but lack of communication effor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the communication ba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mmittee within the local council or to recruit communication experts to the committe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activities of local council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pace in the council and to diversify communication channels.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s a communication method. Fourth, in order to revitaliz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methods such as the formation of a council between residents and residents, NGO activities, public opinion polls, and referendum.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mmunication attitude, effort,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for local council development(Key words: Communication Indicators & System, Residents Evaluation, Local Gover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지방의정활동에 대한 의원과 주민간의 소통지표 및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진단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소통지표는 소통태도, 소통기반, 소통노력, 소통성과 등 4개로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광역지방의회의 소통평가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소통시스템은 주민소통 관점에서 평가기준인 공감의지, 물리적 공간 및 지식정보관리, 대주민관계, 소통과정 등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에서는 광역지역의 지방의회 소통수준을 내용분석과 조사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는데, 내용분석에서는 소통수준이 다소 미흡하나 소통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시사점으로 첫째, 소통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 내에 소통전문위원회 설치하거나 소통전문가를 전문위원으로 충원할 필요가 있다. 현재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소통담당관실을 마련하여 시민과의 소통을 담당하는데, 지방의회는 아직 이러한 기구나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의회(청사)내의 상담실, 민원실, 상담소, 쉼터 등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를 주민과의 소통공간이라는 점에서 소통방(실), 소통상담소, 소통쉼터 등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의원과 주민간의 소통(토론)방을 개통하는 것으로 좋을 것이다. 둘째, 지방의회가 주민대표기관으로서 위상을 회복하고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의정활동(조례제정개정, 예산심의활동, 행정감사조사활동, 질의질문활동 등)에 주민을 참여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주민소통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소설미디어의 발전으로 일부 지방의회 의원들이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청원‧민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하지만, 소설미디어가 매우 중요한 소통기제임에 틀림없지만 실제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특히, 소설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가 닫힌 의정에서 열린 의정으로 가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SNS를 통한 댓글달기, 민원설명, 자료제공 등 스마트한 의정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소통활성화를 위해 의원-주민간의 협의회 구성, NGO활동, 여론조사, 주민투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 할 필요가 있다.지역주민과 의사소통을 통하여 지역의 집단지성(지역의 엘리트)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 의회는 주민참여를 통한 새로운 정책아이디어 제공하여 의원의 전문성 부족을 보완하고, 주민들과 많은 접촉을 통해 지역현안 문제를 입법하고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소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피드백이 요구되며, 의정활동에 주민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회의 문화, 환경, 복지 등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 주민들의 의사를 의정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면 지방의회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방의회 발전을 위한 소통태도와 노력, 소통성과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가진다. 첫째, 실용적으료 소통평가지표를 지방자치단체, 지방정부, 공공기관 등에 적적용하여 주민-정부간의 소통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교육적으로 소통의 논의를 통해 소통전문가 및 전공자를 배출하고자 한다. 셋째, 사회전반에 걸친 소통문화를 확산하고, 정부와 주민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기제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주민소통, 소통지표, 소통시스템, 주민평가, 지방의회, 지방자치, 소통기반, 소통인프라, 소통태도, 소통노력, 소통성과, 소통과정, 소통피드백, 의정소통 성과, 소통분석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