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539&local_id=10086055
코스메틱 섬유패션소재의 색채-향기 복합감성 모델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코스메틱 섬유패션소재의 색채-향기 복합감성 모델링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은주(제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1879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아래와 같다.
    첫째, 감귤오일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코스메틱텍스타일에 대한 주관적인 향기 감성은 직물의 색채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Green 색상 또는 strong 톤의 색채가 감귤의 역동적인 향기 감성을 유발하며, Yellow 색상 또는 grayish 톤은 감귤의 정적인 향기감성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되었다. 또한 직물의 향기에 대한 EEG신호에서는 α파와 β파의 상대적 출현량이 모두 Green과 pale에서 각각 증가하는 경향이어서, 색채 톤의 영향에 대해서는 심리적인 감성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편백오일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코스메틱텍스타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색채-향기 복합 감성은 ‘강한’과 ‘싱그러운’의 점수가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서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달콤한’과 ‘부드러운’, ‘편안한’의 감성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강한’과 ‘싱그러운’에 대해서는 1회 마찰에서보다 10회 마찰에서 대부분의 색채 조건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생리적 감성에서는 색상에 따라서 알파파는 Yellow에서, 베타파는 Green에서 대부분 높은 상대적 출현량을 보였으며, 특히 베타파의 P4와 T4의 측정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Green-grayish의 색채 조합을 가진 편백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의 향기에 대하여 베타파의 상대적 출현량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세째, 한국인과 중국인의 비교문화적 고찰에서 전반적으로 베타파 영역에서는 대부분 한국인이 중국인보다 상대적 출현량이 더 많았으며, 알파파 이하 영역에서는 대부분 중국인이 한국인보다 상대적 출현량이 더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주관적 감성에서는 대부분의 색채 변인에서 한국인보다 중국인의 주관적 감성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는데, 양국 간 가장 많은 시료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인 주관적 감성은 ‘부드러운’이었으며, 가장 적은 시료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인 주관적 감성은 ‘싱그러운’이었다.
  • 영문
  • This cross-cultural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emotion by EEG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s for scent-infused fabrics loaded with microcapsules containing Citrus unshiu depending on color variables. A cotton fabric was colored in 2 hues (Yellow, Green) X 3 tones (strong, pale, grayish) combinations for color variables and thereafter it was finished by microcapsules containing Korean Citrus unshiu oil to infusing the scent by rubbing. Two different national groups including Koreans and Chinese were invited among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for the experiments and their EEG signals were measured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the fragrant fabrics by full factorial design for all color variables. As results, national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relative power were more shown as for tone variables in that strong and pale seemed to cause higher the values of β for both yellowish and greenish fragrant fabrics seemed to be higher by Koreans than by Chinese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s at some channels. Depending on hue as a color variable, the relative power of fast α at O1 and O2 by Chines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Yellow than for Green while that of high β at T4 was higher for Yellow by Koreans. On the contrary, as for color tone, Korea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power of some frequency bands with ‘strong’ whereas Chinese did with ‘grayish’ for slow α wave at T4 and for low β at O2. These results could help to design physiologically emotional textile products with citrus fragrance specified for Koreans and Chines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s, it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emotional responses of Chinese people to Korean Citrus unshiu scent –infused cotton fabric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grance intensity and color variables of fabrics on it. A cotton fabric was colored in 2 hues (Yellow, Green) X 3 tones (strong, pale, grayish) combinations for color variables and thereafter it was treated by microcapsules containing Korean Citrus unshiu oil to infuse the scent by rubbing. Thirty two Chinese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were invited in the olfactory experience and they were asked to rate the olfactory emotional terms including ‘Strong, ‘Fresh’, ‘Sweet’, ‘Soft’, ‘Comfort’, and ‘Natural’, and the fragrance preference depicted as ‘Like’. As results, fragrance intensity was found to give effect on the intervention of color variables in olfactory emotion of Chinese people. When lower intensity of scent was presented, tone as a color variable was revealed as more dominant on olfactory emotion including ‘Fresh’, ‘Sweet’, ‘Soft’, ‘Comfort’, and ‘Natural’ in that pale-toned fabrics seemed to give rise to higher scores for the emotion terms than the other tones. On the contrary the hue was likely not to affect the olfactory emotion although green is slightly higher in the scores than yellow. Finally olfactory preference was higher for pale and Green and it was the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sh’ and ‘Comfort’.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in expecting Chinese consumers’ emotion for Korean Citrus unshiu scent – infused textile produc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아래와 같다.
    첫째, 감귤오일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코스메틱텍스타일에 대한 주관적인 향기 감성은 직물의 색채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Green 색상 또는 strong 톤의 색채가 감귤의 역동적인 향기 감성을 유발하며, Yellow 색상 또는 grayish 톤은 감귤의 정적인 향기감성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되었다. 또한 직물의 향기에 대한 EEG신호에서는 α파와 β파의 상대적 출현량이 모두 Green과 pale에서 각각 증가하는 경향이어서, 색채 톤의 영향에 대해서는 심리적인 감성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편백오일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코스메틱텍스타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색채-향기 복합 감성은 ‘강한’과 ‘싱그러운’의 점수가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서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달콤한’과 ‘부드러운’, ‘편안한’의 감성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강한’과 ‘싱그러운’에 대해서는 1회 마찰에서보다 10회 마찰에서 대부분의 색채 조건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생리적 감성에서는 색상에 따라서 알파파는 Yellow에서, 베타파는 Green에서 대부분 높은 상대적 출현량을 보였으며, 특히 베타파의 P4와 T4의 측정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Green-grayish의 색채 조합을 가진 편백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의 향기에 대하여 베타파의 상대적 출현량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세째, 한국인과 중국인의 비교문화적 고찰에서 전반적으로 베타파 영역에서는 대부분 한국인이 중국인보다 상대적 출현량이 더 많았으며, 알파파 이하 영역에서는 대부분 중국인이 한국인보다 상대적 출현량이 더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주관적 감성에서는 대부분의 색채 변인에서 한국인보다 중국인의 주관적 감성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는데, 양국 간 가장 많은 시료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인 주관적 감성은 ‘부드러운’이었으며, 가장 적은 시료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인 주관적 감성은 ‘싱그러운’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과제 결과의 학술지 논문 게재
    논문 I)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hysiological Emotion by EEG signal for Fragrant Fabrics Treated by Citrus unshiu Oil Microcapsule for Koreans and Chinese”
    -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SCI), 투고 중
    논문 II) Comparison of Olfactory Emotion Respons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to Citrus unshiu Scent-Infused Fabrics Depending on Fragrance Intensity and Color Variables
    -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SCI),, 투고 중
    논문 III) 편백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의 향기에 대한 EEG 신호와 주관적 감성
    - 학진등재지 [감성과학] 논문 투고 준비 중

    2) 학생연구원의 학위논문 내용으로 활용
    - 본 과제에 참여한 학생연구원의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로 활용할 예정임. (2018년 12월 졸업 예정)

    3) 후속과제의 주제에 활용
     국내 자생 식물성 오일을 적용한 코스메틱텍스타일의 후각과 색채의 multisensory 감성을 분석한 본 과제의 결과를 기본으로 발전된 내용을 구성하여 한국연구재단 지원의 후속 과제를 신청할 예정임.
     국내 자생 천연물을 활용하는 섬유 및 코스메틱 분야의 지역 특화 산업체와의 협동 연구 과제를 구상하여 구체적인 산학협동 기술 개발로 연계되도록 시도할 예정임.
  • 색인어
  • 코스메틱텍스타일, 향기-색채 복합감성, 비교문화적 고찰, 정량적 모델, 한국인, 중국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