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542&local_id=10086421
포용도시의 도시계획적 접근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포용도시의 도시계획적 접근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종구(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09685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사회 계층의 위계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도시 안에서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및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포용도시’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데, 포용도시는 도시계획에서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들을 총괄적으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하는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포용도시 개념을 도시계획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한 실효성 있는 지표를 구축하고, 구축된 지표를 실제 도시공간에 적용하여 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표를 도출하여 AHP분석을 시행하여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설계적 요소와의 연계성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영문
  • In international communities such as UN-Habitat, Asian Development Bank, OECD, and etc. the importance of formulating and planning for equal living of all citizens within a city regardless of any social hierarchy is being recognized recently.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is introduced, which requires the collective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social factors in urban planning. This study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indicators in order to graft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on urban design, and at searching a plan capable of improving the inclusiveness through apply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o an urban space actually. After introducing the indicators the priority orders of those are searched through AHP analysis and the corelation with the factors of urban planning is examined and analysed based on the priority, so as to suggest an efficient and practical plan for promoting the inclusive city in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사회 계층의 위계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도시 안에서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및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포용도시’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데, 포용도시는 도시계획에서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들을 총괄적으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하는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포용도시 개념을 도시계획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한 실효성 있는 지표를 구축하고, 구축된 지표를 실제 도시공간에 적용하여 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표를 도출하여 AHP분석을 시행하여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설계적 요소와의 연계성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국내 선행연구들은 해외 선진사례 및 이론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이론적 활용방안에만 그치고 있어 실제 국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역별 차이에 의한 포용성 취약지수에 근거한 유형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연구에서 실행이 가능한 실증적 연구로 발돋움하는데 기여
    - 각 지자체가 추진중인 관련사업에 맞춤형 인력과 기술을 제공하고, 관련 담당부서(창조도시기획과, 도시재생과, 도시개발본부 등)와의 교류 및 연계를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
    - 관련 자료들의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해 후속연구 발전에 기회 제공
    - 국내 도시설계분야에서는 ‘포용도시’가 학회차원에서 학술적 개념 정립 및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시작단계에 있으므로 본 연구가 초기 연구로써 후속연구 파생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 광역 및 기초단체의 ‘여성친화도시 조성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대해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문적 자문을 함으로서 담당부서의 전문성을 강화함

    ○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 관련 학생 및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강연, 세미나, 워크샵 등을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포용도시 조성에 대한 관심과 기술지도를 통하여 역량 강화
    - 대학, 지자체(부산시), 지역산업체, 관련 취약계층 지원단체와 협력 프로그램 및 인적교류 등을 통하여 연구 결과의 실현화; 시범사업지구를 선정하고 양성 인력을 활용하여 운영함
    - 현재 강의중인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과제와 전략” 수업을 통하여 포용도시의 필요성 및 도시계획적 접근방법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교육함
  • 색인어
  • 포용도시, 사회적·물리적 지표, 도시설계적 요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