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571&local_id=10086720
예비교사의 역량모델링 및 종단적 변화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예비교사의 역량모델링 및 종단적 변화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현우(상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09837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재학 중 역량 변화도 분석을 통해 교원양성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예비교사에게는 역량 진단 및 피드백 제공을 통해 좋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준거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차년도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역량모델은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습경영 및 행정의 7개 역량으로 도출되었고, 이 역량모델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의 교사역량을 장기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에 대한 역량진단을 실시하고,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모든 역량에서 역량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학교현장실습 후 하위 역량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대한 역량 변화를 중심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특히 학교현장실습 중 지도교사의 예비교사에 대한 역량 평가를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예비교사의 역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 보다 지도교사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역량진단 도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스스로 역량을 진단하고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예비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변화를 관찰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원양성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 competenci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during the enrollment of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develop a tool that can provide reference data to help pre-service teachers grow into good teachers by providing competency diagnosis and feedback.
    In the first year, the study developed the pre-service teacher competency model with seven competencies: ‘ethics and passion’, ‘expertise in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teach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utilization’, ‘counselling and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Based on this competency model, a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enables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teacher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 Afte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mproved at all competencies.
    In the second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data were collected focusing on changes in competency before and after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mproved through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formance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advisor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ir advisors’ evaluation in the six competencies excluding‘class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will be able to observe and improve their competency through self - assessment and feedback. It may als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재학 중 역량 변화도 분석을 통해 교원양성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예비교사에게는 역량 진단 및 피드백 제공을 통해 좋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준거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교원양성프로그램에 보탬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차년도에는 예비교사의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예비교사의 역량을 장기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에 대한 역량진단을 실시하고,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모든 역량에서 역량이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학교현장실습 후 하위 역량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대한 역량 변화를 중심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특히 학교현장실습 중 지도교사의 예비교사에 대한 역량 평가를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예비교사의 역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 보다 지도교사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역량진단 도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스스로 역량을 진단하고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예비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변화를 관찰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고, 교원양성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 연구실적]
    당초 1차년도 연구계획에 따라 먼저 예비교사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 연구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교사 역량에 관한 연구자료 검색을 위해 검토한 검색어는 교수역량, 교수자 역량, 교사 역량, 미래 교육자, 학습자 역량, 21세기 인재, 핵심역량, 사범대학, 교원양성기관 등이었으며, 수집한 자료 중 연구 주제에 적합한 연구자료를 선택하여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역량 진단 및 데이터 수집을 일회성 연구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종단 연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특히 예비교사가 쉽게 접근하고 즉시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당초 신청 당시 연구계획서 상 시스템 개발은 2년차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연구지원기간이 2년으로 변경되어 1년차에 우선 개발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진단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1년차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결과 및 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운영 및 행정의 7개 역량 수준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수업설계 및 자료 개발 역량이 가장 큰 역량 수준 증가량을 보인 반면, 상담 및 생활지도 역량은 가장 낮은 역량 수준 증가량을 보였다. 셋째, 시점별 역량 순위는 교원양성과정 입문시점과 학교현장실습 전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입문시점과 학교현장실습 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하위역량별 교원양성과정에서의 향상 시점 및 향상도가 다르다는 점을 밝혔으며, 둘째, 교원양성 전 과정인 4년간의 종단 연구로서 교원양성과정 개선에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2차년도 연구실적]
    2차년도 연구계획에 따라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예비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교사역량연구들이 자기보고식 설문을 이용하여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실제 직무현장에서의 경험이 부족한 예비교사의 경우 역량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고려하여, 예비교사의 역량진단결과뿐만 아니라 현직교사가 판단하는 역량의 중요도와 예비교사의 역량 수행도를 모두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경영 및 행정’의 7개 역량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며,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수업실행’을 제외한 5개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와 지도교사가 평가한 예비교사의 수행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급경영 및 행정’ 역량을 제외한 6개 역량에서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 보다 지도교사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수행도와 중요도에 따른 교육요구도와 지도교사의 평가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평가 및 결과 활용’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동일하게 상위권에 위치하였으나, ‘교과전문성’ 역량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지도교사의 평가에 비해 높았고, ‘수업실행’ 역량은 지도교사의 교육요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인식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교원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학년별 역량 변화를 추적 분석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교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새롭게 밝혀, 교원양성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년에 따라 예비교사의 성장과정을 파악하고, 차별적인 역량개발을 제안하여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우수한 교원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기반 진단도구는 역량을 자가진단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진단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별 예비교사의 역량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역량진단 도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스스로 역량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타인과의 비교, 과거와의 비교 결과와 함께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예비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변화를 관찰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교사역량, 예비교사, 역량진단시스템, 교육요구도, 학교현장실습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