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588&local_id=10086400
농업·농촌정책의 사후적 정량평가 모형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농업·농촌정책의 사후적 정량평가 모형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성우(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2066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농업 및 농촌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사후적 정량평가모형을 구축하고, 주요 정책을 실증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공공정책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적 농정 패러다임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정책 이해도를 제고한다. 둘째, 기존 정책평가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모형을 구축한다. 셋째, 국내 농촌정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구축한 평가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함과 동시에 국내 농업 및 농촌정책의 타당성을 규명한다. 넷째, 정성적 평가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농업 및 농촌정책 평가과정에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를 연계할 수 있는 평가체계 합리화 방안을 제시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propose ex-post quantitative policy evaluation models. To suggest an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and interpret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ree different public programs in a field of rural and regional development. Even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versatil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they require sophisticated statistical data and highly professional knowledge for the result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tries to fill the academic and practical vacuum by supporting the ease of constructing the evaluation data and the utilization of the results from an a posteriori point of view.
    The evaluation models that this study propose consider limited evaluation resources and data that the evaluators face in an actual evaluation practice. Therefore, the models utilize quasi-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evaluation design rather than true experimental design. Among the three empirical analyses included in this research, the first one applies the Heckman Selection Model to non-experimental design, which focuses on selection bia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nd third ones are based on quasi-experimental evaluation design. Thus, they concentrate on statistical homogeneity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using a combination of the Binary Logit Model, the Extende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Technique, and another integration between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 and the Blinder-Oaxaca Decomposition Technique.
    First of all, the first analysis evaluates the effects of the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on the increase of farm household income. This analysis uses the Heckman Selection Model as an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policy stage and available data of the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policy direction, the analysis uses a correction term of the selection bias as a concept of a counterfactual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irst essay, it seems that under the current agricultural and rural environment in Korea, the strategy of comprehensive combin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increase of the farm household income. This is because relatively simple single-bonded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income increase, in spite of the strategic emphasis on comprehensive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which combines 1x2x3 in the sub-dimension. The estimated negative correction term, lambda, provides significant evidence for this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when controlling the major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the conjunct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farm income, it is shown that the income is likely to be decreased by selecting the comprehensive combination instead of the single bond type.
    The second empirical analysis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of rural tourism on the farm household in the case of the Traditional Theme Village Project. The evaluation model consists of both the Binary Logit Model and the Extended Decomposition Technique. The application of the extended version enhances the statistical validity instead of ordinary Blinder-Oaxaca Decomposition Technique for logit analysis.
    The second analysis positively evaluates the impact of the project on generating the off-farm income of farm households. Both the cross-sectional and the longitudinal results show the positive residual effect and negative endowment effec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ndowment coefficients also appears high. First, the positive residual effect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project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the off-farm income in a participatory group, assuming the residual part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affecting off-farm income in the regression model as the program net-effect. However, the negative endowment effect suggests that, for the participatory group, the controlled characteristics in the regression model would have reduced the probability of generating off-farm income without policy intervention.
    The last essay analyzes the impact of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settlement conditions in rural areas. As with this program, the regional project that invests in ameliorating the settlement environment is more difficult to assign randomly to the treatment or the control group than the project at an individual and household level. It is not only because the number of available samples are limited, but also because the accumulated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long-term form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The third analysis thus employs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 in conjunction with traditional Blinder-Oaxaca Decomposition Technique based on the linear regression result. In addition, this essay transforms the qualitative level of settlement into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Comparing the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areas, th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improving the rural settlement condition. The positive residual effects argue that the project positively influences th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participatory areas. On the other hand, the endowment effect represents a negative dire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if the project is not implemented in the participating regions, the likelihood that the endowed resources in the regions will enhance the settlement conditions would be lower than those in the non-project regio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in participatory areas are differen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participant and non-participant areas above. For this reason, if it is confined to the changes of the participatory areas without cross-sectional comparison,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the participant after the project can be lower than befor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can be attributable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lack of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capacity without governmental intervention and the changes of rural environment over time.
    Policy evaluation is a modern way for citizens who live in representative democracies to search for their political identities. It is not the only way, but it is obviously one of the significant alternatives. The retrospective examination of the rationale of public investment is a primary means of materializing common values projected onto public policy.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demonstrate the policy effects by strengthening the interpretation of selection bias and applying the decomposition techniques in various ways. The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and interpretation proposed by this paper are therefo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arrying out social values through policy for the long hau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농업 및 농촌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사후적 정량평가모형을 구축하고, 주요 정책을 실증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공공정책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적 농정 패러다임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정책 이해도를 제고한다. 둘째, 기존 정책평가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모형을 구축한다. 셋째, 국내 농촌정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구축한 평가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함과 동시에 국내 농업 및 농촌정책의 타당성을 규명한다. 넷째, 정성적 평가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농업 및 농촌정책 평가과정에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를 연계할 수 있는 평가체계 합리화 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 모형 구축을 통해 농촌지역개발 분야의 정책평가 모형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해당 연구목표와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연구결과의 추후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계량모형을 활용하여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 모형을 구축한 연구는 만족스럽지 못한 편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한 본 연구의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 모형은 기존 정책평가 관련 연구에 선구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정성적 평가가 주를 이루었던 기존의 정책평가 과정에 정량적 방법론을 도입함과 동시에 실제로 추진된 농업·농촌정책을 평가함으로써,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관련 연구 활성화를 통해 학제 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에서 기대되는 교육적인 효과다. 본 연구의 수행에는 교수 1인 이외에 매년 2인의 대학원생이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해당 대학원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술대회 발표 및 논문 작성을 진행하면서, 농업 및 농촌 정책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연구수행에 따른 학문적 업적 축적으로 경쟁력 있는 학자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교육적 측면에서의 또 다른 공헌은 농업·농촌정책 평가에 대한 실증자료 제공에서 찾을 수 있다. 기존 정규교육 과정에서 사후적-정량적 평가모형에 관한 교육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대학에서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경우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후속세대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적-정량적 정책평가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국내외 학술교류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업·농촌정책 평가에 새로운 시각을 적용하는 연유로, 국내외 학계에 본 연구 성과를 소개함으로써 학술발전 및 교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연구진은 3편의 KCI 등재학술지에 논문 게재를 완료하였고, SCOPUS급 국제학술지에 논문 투고 후 심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등 연구성과를 국내외에 알리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가연구에 대한 국제학계의 높은 관심도를 체감하며 다수의 세션 참가 전문가들과 질의응답 및 토론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평가의 정책적 활용도 제고를 통해 학술분야와 정책 분야와 학술 분야의 연계에 기여할 수 있다. 사후적-정량적 평가모형을 제안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과정과 평가체계를 연계하는 보다 합리적인 평가체계를 형성하여 사업채택 이전 단계에서부터 실시, 완료단계의 타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가 지원하게 될 일련의 과정은 지난 정책을 반추하고 정책 집행에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여 효과성을 담보한 농업·농촌정책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농촌지역개발사업, 농산어촌 개발, 정책평가, 영향평가, 사후평가, 계량모형, 공간계량모형, 해체기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