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597&local_id=10086749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 모형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 모형 개발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석실(유원& #40;U1& #41;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2205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차년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년도에는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모형 시안을 개발하고, 2차년도에는 개발된 평가 모형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차년도에는 유아평가 관련 문헌 분석, 유아평가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유아평가 모형 시안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 분석 대상은 학술지 논문, 학위 논문, 유아평가관련 국내외 전공서적 중 ‘유아평가’ 관련 문헌이며, 이들 문헌 분석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원리를 도출하였다.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가장 잘 반영한 유아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만 3,4,5세 담당 유아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유아평가 현황, 문제점, 요구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유아평가의 필요성, 평가 계획,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유아평가의 문제점, 유아평가의 개선점과 관련된 사항으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차례에 걸쳐 유아교육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42문항으로 완성하였다. 2015년 10월 설문지를 메일 및 우편 발송, 직접 방문의 방법을 통해 300개 유아교육기관에 2부씩 총 600부를 배부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설문지는 464부로 회수율 77.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를 교육계획에 반영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기초로 유아평가모형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아평가 모형의 내적 타당성 및 현장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8인에게 타당도를 5점 척도로 점수화하도록 한 결과, 이론적 타당성 4.80, 논리적 타당성 4.75, 실용적 타당성 4.60의 평균 4.72점으로 유아평가를 위한 모형이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는 유아평가 모형 시안의 현장 적용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적용은 1차 시범적용(1학기), 2차 확산적용(2학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2016학년도 1학기에 실시된 1차 시범적용에서 현장 적용 연구 참여자(현직 교사) 1인을 선정하고, 유아평가모형에 따른 진행과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유아평가 모형 시안을 한 학기 동안 현장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실관찰(1회), 교사면담(월2회), 유무선 교신(필요시), 교사저널 주 1회 작성하였다. 이후 시범 적용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반영하여 유아평가 모형을 수정하였다. 2016학년도 2학기에 실시된 2차 확산적용은 3,4,5세 연령별 2학급의 총 6개 학급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기관별 2시간씩 1회 유아평가 원리 및 원칙, 평가 계획, 모형의 적용 방법, 연구 협조 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참여교사는 2주 1회 반성적 저널 작성, 학기 중 2회 면담 실시, 평가 종료 후 모형에 대한 의견조사지를 작성하였다. 2차 확산적용 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누리과정에 근거한 유아평가 모형을 최종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정된 모형을 ‘누리과정에 근거한 유아평가환류 모형’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본 모형에서는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에서 준수해야할 유아평가의 기본원칙을 정하였다. 또한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으로 나누어 개념화하였다. 거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기관의 운영방침에 따라 1년 또는 한 학기(분기별)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진단평가-형성평가-총괄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미시적수준의 평가절차는 주, 일 단위 또는 활동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평가질문, 자료수집, 자료해석, 교수학습계획에 반영되는 환류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미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의 형성평가 과정에서 일어나는 한 단위의 평가환류 절차를 의미한다. 본 모형에 근거한 평가를 통해 유아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할 수 있어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 assessment model which was designed to accompany 3-5 Nuri-curriculu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In first year, this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Through literature review, principles for child assessment were determined, assessment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ssessment procedure was designed. (2) To identify current assessment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total of 600 teachers were selected from 300 kindergartens and childcare-centers in 17 provinces nationwid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retrieved by direct visit, postal mail, and e - mail. The collected 464 copies (77.3% recovery rat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urvey, 96.8%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cessity of assessment based on the Nurri-curriculum, and 92.7% of teachers were planning the annual assess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evaluation for a child's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chang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llowing educational plan and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3) Theoretical robustness and utilities of the tentative model were validated by 8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validity to the tentative model by eight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 model was generally valid with the theoretical validity of 4.80, the logical feasibility of 4.75, and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4.60. In the second year, field application study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The field application was conducted with the first pilot application (1st semester by one teacher) and the second diffusion application (2nd semester by 6 teachers). In first semester, the model was tested during a semester by one teacher.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model to the field during one semester, teacher interviews (2 times a mont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f necessary), and teacher journals(once a week) were performed. After that, we revised the temporary model by improv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The spreading appli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was conducted in 6 classes of 3, 4 and 5 year old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on the principles of evaluation, the evaluation plan,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model, and the contents of research cooperati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created a reflection journal once every two weeks, conducted interviews twice during the semester, and completed Delphi questionnaire. The final evaluation model was suggested by correcting the problems in field application, it was called “Assessment Reflection Model of Children Based on Nuri-Curriculum”. The model was consisted of four elements: purposes, contents, methods, and usages of assessment. Assessment procedures were conceptualized on macro level and micro level, respectively. On macro level, assessment proceeded screening or readiness assessment, formative assessment, and summative assessment throughout the year. On micro level, assessment had cyclical process involving four steps like ‘ask question’, ‘collect data’, ‘ interpret data’, ‘take action’, and it was essential to formative assessment. On the basis of this model, children’s progression on development and learning were observed and recorded systematically. Teachers could review the collected data, interpret child’s behavior, and make a plan of action to change or improve teaching strategies. The continuity of this process will ultimately provide an answer to the account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차년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년도에는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모형 시안을 개발하고, 2차년도에는 개발된 평가 모형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차년도에는 유아평가 관련 문헌 분석, 유아평가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유아평가 모형 시안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 분석 대상은 학술지 논문, 학위 논문, 유아평가관련 국내외 전공서적 중 ‘유아평가’ 관련 문헌이며, 이들 문헌 분석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유아평가 원리를 도출하였다.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가장 잘 반영한 유아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만 3,4,5세 담당 유아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유아평가 현황, 문제점, 요구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유아평가의 필요성, 평가 계획,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유아평가의 문제점, 유아평가의 개선점과 관련된 사항으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차례에 걸쳐 유아교육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42문항으로 완성하였다. 2015년 10월 설문지를 메일 및 우편 발송, 직접 방문의 방법을 통해 300개 유아교육기관에 2부씩 총 600부를 배부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설문지는 464부로 회수율 77.3%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를 교육계획에 반영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기초로 유아평가모형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아평가 모형의 내적 타당성 및 현장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8인에게 타당도를 5점 척도로 점수화하도록 한 결과, 이론적 타당성 4.80, 논리적 타당성 4.75, 실용적 타당성 4.60의 평균 4.72점으로 유아평가를 위한 모형이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에는 유아평가 모형 시안의 현장 적용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적용은 1차 시범적용(1학기), 2차 확산적용(2학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2016학년도 1학기에 실시된 1차 시범적용에서 현장 적용 연구 참여자(현직 교사) 1인을 선정하고, 유아평가모형에 따른 진행과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유아평가 모형 시안을 한 학기 동안 현장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실관찰(1회), 교사면담(월2회), 유무선 교신(필요시), 교사저널 주 1회 작성하였다. 이후 시범 적용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반영하여 유아평가 모형을 수정하였다. 2016학년도 2학기에 실시된 2차 확산적용은 3,4,5세 연령별 2학급의 총 6개 학급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기관별 2시간씩 1회 유아평가 원리 및 원칙, 평가 계획, 모형의 적용 방법, 연구 협조 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참여교사는 2주 1회 반성적 저널 작성, 학기 중 2회 면담 실시, 평가 종료 후 모형에 대한 의견조사지를 작성하였다. 2차 확산적용 후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누리과정에 근거한 유아평가 모형을 최종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정된 모형을 ‘누리과정에 근거한 유아평가환류 모형’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본 모형에서는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에서 준수해야할 유아평가의 기본원칙을 정하였다. 또한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으로 나누어 개념화하였다. 거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기관의 운영방침에 따라 1년 또는 한 학기(분기별)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진단평가-형성평가-총괄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미시적수준의 평가절차는 주, 일 단위 또는 활동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평가질문, 자료수집, 자료해석, 교수학습계획에 반영되는 환류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미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의 형성평가 과정에서 일어나는 한 단위의 평가환류 절차를 의미한다. 본 모형에 근거한 평가를 통해 유아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할 수 있어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인 평가모형 개발과 관련하여 연구를 통해 개발된 ‘누리과정에 근거한 유아평가환류 모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모형의 유아평가원칙은 첫째, 유아평가의 목적은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며, 유아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목표 성취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둘째, 유아평가의 내용은 주요 영역에서의 성장과 발달을 확인하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내용 영역별 행동 특성 및 변화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둔다. 셋째, 유아평가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기록양식]에 따라 각 평가요소별로 3단계 준거 중 개별 유아가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지 표시한 후, 그렇게 표시한 근거를 관찰기록란에 간단히 기술하도록 하였다. 넷째, 결과활용은 교육과정 계획 및 교수-학습 개선(교구제작)에 반영한다.
    본 모형의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으로 나누어 개념화하였으며, 거시적 수준은 기관에 따라 학년 단위로 혹은 학기 단위로 진행될 수 있다. 우선 연간계획안에 따라 평가요소를 어느 시기에 어떤 주제 활동 안에서 평가할 것인지 연간 평가계획을 수립한다. 진단평가는 학년(학기) 초에 유아의 개인적 특성 및 가정환경에서의 특이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이다. 진단평가 결과는 유아를 위한 교육의 방향과 수준을 결정하는데 활용한다. 형성평가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고, 학습을 증진시키는 교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유아들은 계속 성장하고 급격히 변하기 때문에 평가는 지속적으로 해야 하며, 특정한 시점에서의 유아 발달과 학습을 요약 정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매일의 교육관련 의사 결정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해야 한다. 총괄평가는 한 학년(학기)이 끝날 때 실시한다. ‘유아가 무엇을 학습했고, 얼마나 발달했는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여 유아가 아는 것과 습득한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모형에서의 총괄평가는 기관에 따라 학년(학기) 말에 실시하고, 그 동안 수집한 형성평가 결과물을 검토하여 발달영역별 혹은 누리과정 영역별로 언어적 기술문을 작성하거나 기관에 따라 평정척도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유아의 장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며,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강조하며 기술한다.
    본 모형에서 미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형성평가 과정에서 평가질문, 자료수집, 자료해석, 교수계획의 환류에 따라 평가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모형에서는 사전에 평가질문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나가는 연역적 방식으로 진행하되, 수집된 자료들에서 드러나는 사항들을 반영하는 귀납적 방식을 포함하여 진행되도록 구조화하였다. 미시적 수준에서 평가는 ‘첫째, 평가질문을 명확히 한다. 둘째, 평가질문에 따른 자료를 수집한다. 셋째, 수집한 자료를 해석한다. 넷째, 수집된 증거의 의미를 해석한 후에는, 이에 따른 교수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의 절차를 통해 진행되며 이 과정은 계속 환류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기 위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연구 내용에 대해서는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3건 및 KCI급 학술지 논문게재 2건을 통해 연구내용을 확산하고자 하였으며, 이후에는 유치원 2급 정교사(유아관찰 및 실습) 및 보육교사 2급(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필수 교과목의 전공 교재를 집필하면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평가환류모형을 소개하고 현장에 본 모형을 확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기록양식]은 현장 교사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것이다.
  • 색인어
  • 누리과정에 근거한 평가 : 3-5세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따른 유아의 발달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시 교수계획에 반영하여 누리과정 내용 영역별 유아의 발달을 지원해나가는 방향으로 유아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평가 : 유아를 이해하고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 구성 및 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평가를 통해서 유아의 발달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의 내용 및 방법이 유아에게 적절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평가환류 : 평가가 끊임없이 교육개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평가질문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교수계획]으로의 순환적 과정을 의미한다. 평가모형 : 모형이란 실체를 형상화시켜주는 도구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모형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면 복잡한 것이 단순화되고, 파악하기 어려운 과정이 이해하기 쉬운 체제가 됨으로 모형의 틀 안에서 현상을 기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유아평가모형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형상화하여 평가과정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구체화한 틀을 의미 한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