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735&local_id=10086272
프로젝트 접근법의 한국 토착화: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2015S1A6A4A01013908 |
Year(selected) |
2015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중단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17년 11월 03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17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프로젝트 접근법의 한국 토착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라는 제목 하에 저서를 엮는 과정을 통해 PA의 한국 토착화 과정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과연 PA는 한국에 토착화 되었는가?라는 마지막 질문을 통해 앞으로 PA가 우리나라 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
프로젝트 접근법의 한국 토착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라는 제목 하에 저서를 엮는 과정을 통해 PA의 한국 토착화 과정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과연 PA는 한국에 토착화 되었는가?라는 마지막 질문을 통해 앞으로 PA가 우리나라 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자칫 서양교육이론의 우상화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아울러 다른 나라의 좋은 교육이론을 우리나라 교육적 토대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구성해 내는 역량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
This book seeked for the whole process of the implementing the Project Approach in Korea since its launch. And by asking the question, “the Project Approach has been inculturalized in the Korean ECEC?” the author wanted to consider the future role of ...
This book seeked for the whole process of the implementing the Project Approach in Korea since its launch. And by asking the question, “the Project Approach has been inculturalized in the Korean ECEC?” the author wanted to consider the future role of the Project Approach in Korea. This book gives us a chance to reflect and criticize the current trend of adopting any kinds of western educational approaches without reconsideration of their educational values. Furthermore, it provides some of lessons that will cultivate our educational foundation in the 21st century.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프로젝트 접근법의 한국 토착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라는 제목 하에 저서를 엮는 과정을 통해 PA의 한국 토착화 과정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과연 PA는 한국에 토착화 되었는가?라는 마지막 질문을 통해 앞으로 PA가 우리나라 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
프로젝트 접근법의 한국 토착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라는 제목 하에 저서를 엮는 과정을 통해 PA의 한국 토착화 과정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과연 PA는 한국에 토착화 되었는가?라는 마지막 질문을 통해 앞으로 PA가 우리나라 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자칫 서양교육이론의 우상화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아울러 다른 나라의 좋은 교육이론을 우리나라 교육적 토대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구성해 내는 역량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Index terms
-
프로젝트 접근법, 토착화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