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1887&local_id=10086602
노년기 제한된 삶공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노년기 제한된 삶공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문정(한국과학기술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859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삶공간(life-space)은 노년학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개인의 이동성(mobility)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다. 삶공간이란 개인이 일상에서 생활하고, 자원을 이용하며 사회와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적, 물리적, 지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삶공간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그 패턴을 분석하고, 젠더와 인종이 삶공간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노년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The Gerontologist에 출판되었으며, 국제학술대회에도 발표되었다. 아울러, 삶공간 제한의 위험성이 높은 사회 집단인 황혼육아를 하는 손주들을 돌보는 조부모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도왔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이론적 개념틀을 국제저널에 논문으로 출판하였다.
  • 영문
  • Life space is a novel and comprehensive measure of mobility; it ascertains the scale of movement–from within one’s home to beyond one’s town or geographic region. The concept of life space signifies the geographic boundary within which an individual spends his/her daily life. The overarching goal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to analyze the patterns of life space constriction among older adults and to examine how gender and race affected the changes in life space over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Gerontologist, one of the most prestigious journals in the field of gerontology, and also presented at an international peer-reviewed conference. In addi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 social group vulnerable for life space constrict, has been conducted,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review has been published in an international journ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삶공간(life-space)은 노년학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개인의 이동성(mobility)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다. 삶공간이란 개인이 일상에서 생활하고, 자원을 이용하며 사회와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적, 물리적, 지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ACTIVE) Study를 통해 수집된 설문 자료를 활용해 이차자료분석(secondary data analysis)을 통해 노년기의 삶공간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그 패턴을 분석하고, 젠더와 인종이 삶공간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계획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고, 그 연구 결과는 노년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The Gerontologist에 출판되었으며, 국제학술대회에도 발표되었다. 아울러, 삶공간 제한의 위험성이 높은 사회 집단인 황혼육아를 하는 손주들을 돌보는 조부모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도왔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이론적 개념틀을 국제저널에 논문으로 출판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사업을 통해 SSCI 국제저널에 3개의 논문과 1개의 영화평론을 출판하였으며, 연구결과를 국내외 학회에 총 3회 발표하였다. 아울러, 연구기간 동안 국내외 기관에서 총 19회의 초청 강연을 실시하였다. 교육적인 면에서는 분야의 신진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연구그룹을 설립하고, 고급통계분석과 논문작성법 등 정기적으로 연구보조원들을 대상으로 워크샵과 세미나를 개최해여 연구 훈련의 기회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국사회에서의 노년기의 삶공간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인구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노인 개개인의 문제로 접근하지 않고 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사회의 변화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본 연구결과를 증거기반 정책 기획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 기관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노인복지관 등 일선의 노인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연구결과를 기관들에 소개하고 나아가 지속적으로 교류하고자 한다.
  • 색인어
  • 삶공간, 이동성, 환경노년학, 젠더, 인종, 건강불평등, 노년공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