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092&local_id=10086560
三國志演義 初期 텍스트 校勘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三國志演義 初期 텍스트 校勘 硏究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민경욱(경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76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본 연구과제는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11종을 대상으로 문헌 교감 고증 작업을 수행하여 다음 네 가지의 학술적 목표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三國志演義 초기 텍스트 간의 先後 관계 규명. 2> 三國志演義 주요 초기 판본의 성립 연대 규명. 3> 三國志演義 原本의 텍스트 특징의 규명. 4> 三國志演義 原本 텍스트의 再構.(卷8에 국한) 2.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에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여러 판본을 포함하는 11종 판본 간의 대조 교감. 2> 歷史言語學 考證에 의한 교감. 3> 引用文獻考證에 의한 교감. 상기 1>의 방법을 통해 교감기를 작성하고, 1>、2>、3>의 방법을 혼용하여 異文 분석을 수행한다. 3. 본 연구과제의 예상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저본에 대한 문헌교감학적 규명을 통해 이 두 판본의 저본이 모두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인 것으로 결론내림. 2> 滿洲語飜譯本(滿文本), 滿洲語漢文合本(滿漢本), 三譯總解, 낙선재본까지의 4종 판본의 저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여, 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4종 판본의 저본이 모두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임을 밝혔으며, 1>의 두 판본의 저본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예정. 3> 이와 같이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 낙선재본)및 2종 滿洲語飜譯本(滿洲語飜譯本, 滿洲語漢文合本)이 전체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계통규명에 가지는 중요성을 입증하였음. 본 연구과제의 주요 검토 판본은 대부분 AB계열 초기 텍스트에 속하며, 따라서 현존 AB 계열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로 생각되는 朝鮮活字本과 上海殘葉 및 기타 판본을 현존 CD계열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인 葉逢春本과 對校하는 작업을 통해 삼국지연의 原本의 해당 원문을 再構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해짐. 4. 본 연구과제의 예상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학술적 효과는 우선적으로 삼국지연의 연구를 둘러싼 국제 학술계의 공통 懸案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여 국내 학계의 국제적 학문적 위상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또한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諸版本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朝鮮飜刻本, 三譯總解, 낙선재본,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학술적․국제적 가치를 학문적으로 증명해 냄으로써 국내 학술계의 역량과 국내 소장 문화재의 가치를 국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고양할 수 있다
  • 영문
  • 1. This project aims to carry out the following four academic objectives by conducting the textual criticism work on 11 early editions(texts) of Three Kingdoms:    1> Identification of the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texts of Three Kingdoms.    2> Identification of the date of establishment of major early editions of Three Kingdoms.    3> Identification of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exts of Three Kingdoms.    4>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text of Three Kingdoms (only of chap.8) 2. Research method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work between 11 editions including several editions that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2> Textual criticism by History-Linguistics.    3> Textual criticism by citation-criticism. The collating notes are created through the above method 1>, and a different sentenc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methods 1>, 2>, 3>. 3. The expecte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as follows:    1> The Chosun Metal Type Edition and the edition quoted in War Diary of Yi Sun-sin are from an early editions of AB series which are not present at present.    2>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four editions(The monolingual Manchu edition, The bilingual Manchu-Chinese edition, Sam Yǒk Ch'ong Hae, the Nak Sun Jae e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se editions were early editions of the AB se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ove two editions(The Chosun Metal Type Edition and the edition quoted in War Diary of Yi Sun-sin) will be clarified. 3> Thus, the above six editions’s importance of identifying the early textual system of the whole Three Kingdoms have proved. Therefore it is theoretically possible to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of Three Kingdoms through the collating criticism work between Yefengchun edition(which are thought to be the earliest texts of the existing CD series editions) and the Chosun Metal Type Edition, the Shanghai leaves and other AB editions. 4. Expected effects of the project are as follows:   1> The academic effect that can be expected from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academic status of domestic academia by providing a clue to solve the common problem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around the study of Three Kingdoms.   2> In addition, by proving the academic and international values of various editions(the Chosun Metal Type Edition, the Chosun Reprinted Edition, Sam Yǒk Ch'ong Hae, the Nak Sun Jae edition, the edition quoted in War Diary of Yi Sun-sin) of the Korean national archives, I hope demonstrate the capabilities of the domestic academic community and the value of the national treasure cultural assets internationally and soci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본 연구과제는 嘉靖本, 葉逢春本, 朝鮮飜刻本(周曰校本甲本), 朝鮮活字本(卷8 부분), 滿洲語漢文合本 등을 포함하는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11종을 대상으로 異文對校 및 문헌 교감 고증 작업을 수행하여 다음 4항의 학술적 목표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三國志演義 초기텍스트 간의 先後 관계 규명. 2> 三國志演義 주요 초기텍스트 판본의 성립 연대 규명. 3> 三國志演義 原本의 텍스트적 특징의 규명. 4> 三國志演義 原本 텍스트의 再構.(卷8에 국한) 2.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朝鮮活字本(卷8)、夏振宇本、朝鮮飜刻本(周曰校本甲本)、기타 周曰校本 2종、滿洲語飜譯本(滿文本)、滿洲語漢文合本(滿漢本)、낙선재본과 같은 (기존에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新 판본을 포함하는 11종 판본 간의 대조 교감. 2> 歷史言語學的 考證에 의한 교감. 3> 引用文獻考證에 의한 교감. 상기 1>의 방법을 통해 교감기를 작성하고, 1>、2>、3>의 방법을 혼용하여 異文 분석을 수행한다. 3. 본 연구과제의 예상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저본에 대한 문헌교감학적 규명을 통해 이 두 판본의 저본이 모두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즉 A계열과 B계열로 분리되기 이전의, 嘉靖本보다 삼국지연의 原本에 가까운 판본)인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으며, 이 판본은 현존 上海殘葉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동일한 판본인 것으로 추정함. 2> 滿洲語飜譯本(滿文本), 滿洲語漢文合本(滿漢本), 三譯總解, 낙선재본까지의 4종 판본의 저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여, 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4종 판본의 저본이 모두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임을 밝혔으며, 위의 두 판본 및 텍스트(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저본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예정. 3> 이와 같이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 낙선재본)및 2종 滿洲語飜譯本(滿洲語飜譯本, 滿洲語漢文合本)이 전체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계통규명에 가지는 중요성을 입증하였음. 본 연구과제의 주요 검토 판본(텍스트)은 대부분 AB계열 초기 텍스트에 속하며, 따라서 현존 AB 계열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로 생각되는 朝鮮活字本과 上海殘葉 및 기타 판본(2종 滿洲語譯本 등)을 현존 CD계열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인 葉逢春本과 對校하는 작업을 통해 삼국지연의 原本의 해당 원문을 再構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해짐. 4. 본 연구과제의 예상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학술적 효과는 우선적으로 삼국지연의 연구를 둘러싼 국제 학술계의 공통 懸案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여 국내 학계의 국제적 학문적 위상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또한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諸版本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朝鮮飜刻本, 三譯總解, 낙선재본,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학술적․국제적 가치를 학문적으로 증명해 냄으로써 국내 학술계의 역량과 국내 소장 문화재의 가치를 국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고양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I. 삼국지연의 초기 諸版本에 대한 인식의 심화 1)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텍스트)에 대한 인식의 심화 -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저본에 대한 문헌교감학적 규명이 거의 이루어짐: 이 두 판본은 모두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즉 A계열과 B계열로 분리되기 이전의, 嘉靖本보다 삼국지연의 原本에 가까운 판본)으로 잠정 결론내릴 수 있으며, 현존 上海殘葉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동일한 판본인 것으로 추정됨. 2) 2종 滿洲語譯本 및 三譯總解와 낙선재본의 저본에 대한 인식의 심화 -滿洲語飜譯本(滿文本), 滿洲語漢文合本(滿漢本), 三譯總解, 낙선재본까지 4종 판본의 저본에 대한 규명이 상당 정도 진척됨: 2종 滿洲語譯本의 저본 규명은 현재 미해결상태인 三譯總解의 저본 규명과 직결되며, 아울러 여전히 학술적 결론이 나지 않은 낙선재본의 저본 규명에도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됨; 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4종 판본의 저본 모두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임이 확실하나, 그 저본이 위의 두 판본 및 텍스트(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저본과 동일한 판본인지 아니면 또 다른 초기 판본인지 최종 규명을 위해 탐색 중임; 또한 이 4종 판본의 저본이 周曰校本甲本을 저본으로 하는 것으로 판명된 朝鮮飜刻本과 어떠한 관계인지 규명중임.(최근 국제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周曰校本 연구 성과와 대조·검토하는 중) 3) 기타 기존 중요 초기 판본에 대한 인식의 심화 -嘉靖本: 위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텍스트)과 2종 滿洲語譯本에 대한 본 연구 수행 결과에 의해 嘉靖本이 孤本임이 상당 부분 입증됨. -上海殘葉: 현존하지 않는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의 규명을 위해 기존에는 上海殘葉만이 거의 유일한 단서였으나, 본 연구 수행 결과를 통해 朝鮮活字本과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를 對校本으로, 2종 滿洲語譯本를 參校本으로 하는 종합적 검토가 가능해짐. -葉逢春本: 현존하지 않는 AB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 규명의 진전을 통해 葉逢春本이 C계열의 초기 판본인지 아니면 (더 이른 시기의) CD계열 공통의 초기 판본인지의 규명이 검토 가능해짐. II.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판본 계통에 대한 인식의 심화 및 삼국지연의 原本 텍스트의 再構 가능성 검토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 낙선재본)가 전체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계통 규명에 가지는 중요성을 입증함. -2종 滿洲語飜譯本(滿洲語飜譯本, 滿洲語漢文合本)의 전체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계통규명에 가지는 중요성을 입증함. -Andrew West의 판본 분류법과 그가 규명해낸 각 계열 판본의 개괄적 특성이 본 연구 수행 결과에 의해 다른 문헌학적 방법으로 재입증됨. -본 연구과제의 주요 검토 판본(텍스트)은 모두 AB계열 초기 텍스트에 속하며, 따라서 현존 AB 계열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로 생각되는 朝鮮活字本과 上海殘葉 및 기타 판본(2종 滿洲語譯本 등)을 현존 CD계열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인 葉逢春本과 對校하는 작업을 통해 삼국지연의 原本의 해당 원문을 再構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해짐.(다만, 朝鮮活字本과 葉逢春本 가운데 과연 어느 판본이 더 삼국지연의 原本 텍스트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교감 및 통계 작업이 필요하다) 활용방안 본 연구 수행 결과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학술적 효과는 우선적으로 삼국지연의 연구를 둘러싼 국제 학술계의 공통 懸案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여 국내 학계의 국제적 학문적 위상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또한 국내 소장 삼국지연의 諸版本 및 텍스트(朝鮮活字本, 朝鮮飜刻本, 三譯總解, 낙선재본, 忠武公 열독 삼국지연의)의 학술적․국제적 가치를 학문적으로 증명해 냄으로써 국내 학술계의 역량과 국내 소장 문화재의 가치를 국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고양할 수 있다. 3) 본 연구 과제의 문헌교감학 방법론이 이후 유효한 것으로 입증된다면, 국내외 관련 동양학 및 한국학 분야의 하나의 학문적 모델로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三國志演義, 嘉靖本, 葉逢春本, 朝鮮飜刻本, 朝鮮活字本, 滿洲語漢文合本, 文獻校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