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195&local_id=10086604
트라우마 개입 전문가를 위한 이차 외상 예방 훈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트라우마 개입 전문가를 위한 이차 외상 예방 훈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현진희(대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667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2년 과제로 1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트라우마전문가를 위한 이차외상예방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며, 2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증명하는 것임.
    연구계획에 근거하여 진행된 추진실적은 다음과 같음.

    1. 1차 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목표: 이차외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1) 이차외상, 이차외상예방 및 개입프로그램과 관련된 해외문헌조사와 정리
    (2)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 20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욕구조사를 실시함. 설문조사 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외상 실태와 영향요인, 향후 예방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할 요인, 제안 사항 등에 대하여 분석, 정리함
    (3) 아동보호전문기관을 대표할 2개의 그룹의 포커스집단 면접(FGI) 실시함.
    FGI를 통하여 이차외상 관련 설문조사 결과와 프로그램 구성내용 초안들을 바탕으로 개발될 프로그램의 최종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4) FGI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함
    프로그램 메뉴얼 초안에 대한 전문가의 자문을 받고, 자문 결과를 반영하여 매뉴얼을 최종 확정함

    2. 2차 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목표: 이차외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1) 최종 프로그램에 참여할 집단과 효과성 측정을 위한 비교집단을 확정함

    (2) 3개의 지역에서 총 27명을 대상으로 3개의 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함
    총 23명의 비교집단에 사전조사와 1개월 후 사후조사를 실시함
    (3) 프로그램 종결 3개월후 시점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추후조사를 실시함
    (4)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이차외상스트레스, 우울, 스트레스대처, 레질리언스 점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이 감소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은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탄력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은 이차외상스트레스는 매우 작은 수준이 감소하고, 우울 증상은 심각해졌으며, 스트레스대처방식은 덜 사용하게 되었고, 탄력성 수준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변화량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분석과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시점의 변화에 대한 분석 등은 논문에서 다룰 계획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차 외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비교적 소진과 이직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담원들이 그들의 업무 상에서 발생하는 이차 외상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아동학대 피해아동 및 부모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할 수 있음. 이후 본 연구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아동학대, 가정폭력, 성폭력, 정신장애, 중독, 자살, 재난 등의 문제를 다뤄야하는 트라우마 문제를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실천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해나갈 것임.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cond trauma preven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trauma specialist in the first year and to prove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actual field in the second yea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plan are as follows.

     1. Contents and results of 1st year research

    Goal: Develop secondary trauma prevention training program manual

    (1)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overseas literature related to secondary trauma, secondary trauma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2)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counselors from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 analyzed and organized the secondary trauma status of the counselors of the child protection specialist, factors to be included in future prevention programs, and suggestions
    (3)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two groups to represent child protection professional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related to the secondary trauma through the FGI and the draft contents of the program, opinions were gathered on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to be developed.
    (4) Final program confirmed based on FGI analysis result
    Advised the expert on the draft of the program manual and finalized the manual to reflect the consultation results

    2. Contents and Results of Second Year Research

    Objective: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cond trauma prevention training program

    (1) Identify groups to participate in the final program and comparative groups to measure effectiveness
    (2) We conducted three group programs for 27 people in three regions, conducting preliminary surveys and post-surveys.
    A total of 23 subjects were subjected to a pre-test survey and a post-test survey after one month.
    (3) After 3 months from the end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further investigated
    (4)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depression, stress coping, and resilie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ed decrease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Stress coping methods are used more and resilience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howed that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decreased very little, the depressive symptom became serious, the stress coping method was less used, and the resilience level decreased.
    Analysis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analysis of the changes at the 3-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re planned to be covered in a published paper in near future.

    The secondary trauma prevention training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designed to allow counselors of child protection specialist organizations, which are known to have a relatively high burn-out and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practice, to recognize and control secondary trauma. As a result, the quality of services for children and parents affected by child abuse can be improved.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professionals practicing clients with trauma problems that deal with issues such as child abuse,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mental disorder, addiction, suicide, and disas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년 과제로 1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트라우마전문가를 위한 이차외상예방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며, 2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증명하는 것임.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차년도에 문헌조사와 전국의 아동보호전문기관상담원 200명을 대상으로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2개의 FGI를 통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확정함.
    2차년도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아동보호전문기관상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프로그램 종결 3개월 후에 이차외상스트레스, 우울, 스트레스대처방식, 레질리언스의 변화를 측정함.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후조사에서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이 감소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은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탄력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은 이차외상스트레스는 매우 작은 수준이 감소하고, 우울 증상은 심각해졌으며, 스트레스대처방식은 덜 사용하게 되었고, 탄력성 수준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차 외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비교적 소진과 이직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담원들이 그들의 업무 상에서 발생하는 이차 외상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아동학대 피해아동 및 부모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할 수 있음. 이후 본 연구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아동학대, 가정폭력, 성폭력, 정신장애, 중독, 자살, 재난 등의 문제를 다뤄야하는 트라우마 문제를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실천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해나갈 것임.
  • 색인어
  • 트라우마 개입 전문가, 이차 외상,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