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230&local_id=10086144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비만예방 척도개발과 통합적 타당도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비만예방 척도개발과 통합적 타당도 검증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응준(한국체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282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2015년 1년차 추진실적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비만의 증가를 심각하게 인지함에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만예방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통합적으로 타당화 시키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만예방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둘째, 통합적 타당화 절차를 제공하고 근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비만예방 척도개발을 위하여 실제영역(substantive domain) 1단계에서는 척도개발에서 주개념에 포함된 하위개념을 규명하는 귀납적 방법(inductive method), Devellis(2012)가 제시한 이론반영의 명확성(theory as an aid to clarity)과 Hively(1974)의 영역준거식 접근법(domain-referenced testing)을 활용하여 비만예방 척도문항을 구성하였다. 2단계와 3단계에서는 표본 1을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비만예방척도의 요인구조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본 1을 대상으로 평행선 분석과 ESEM을 적용할 것이다. 현재 1차년도 비만예방 척도개발의 실제영역에서 2단계와 3단계, 구조영역의 1단계의 분석이 진행되기 직전이다.
    ■ 2년차 연구계획 추진실적 요약문: 2차년도 연구는 통합적 타당도 확보의 단계이다. 2차년도에서는 구조영역 2단계에서 표본 2를 대상으로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살펴보고, G요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Bifactor 모형과 Second-order 모형을 적용, 어떤 모형이 보다 우수한 적합도를 보이는 지 확인할 것이다. 3단계, 4단계, 5단계에서는 표본 2를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할 것이다. 외적영역에서는 표본 2를 대상으로 1단계에서는 비만예방척도와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크다고 판단한 신체활동수준과 준거관련타당도를, 2단계에서는 성별(남, 여), 비만유무(있음, 없음)에 따라 잠재평균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Rasch 모형에서는 사회적 바람직성 반응의 작용여부를 확인할 것이다(King & Bruner, 2000; Lessard, 2008). 모든 분석방법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사용할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1) 공통요인모형: 탐색적 구조방정식모형, Bayesian 구조방정식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Bifactor 모형과 Second-order 모형을 분석하고, 2) Rasch 모형: 분석 프로그램인 WINSTEPS 3.74(Linacre, 2012)을 이용할 것이다. 3)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으로는 4) 잠재평균분석: 성별, 비만유무에 따라 잠재평균분석(Latent Mean Analysis: LMA)을 실시할 것이다. 이때 분석 프로그램은 Mplus 7.4(Muthén & Muthén, 2016)을 이용할 것이다. 2차년도 연구는 1차연도 연구결과가 완전히 출판된 이후에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현재 진행중인 연구입니다.
  • 영문
  • ■ 2015 First-Year Performance Summa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pply a health belief model to the serious perception of an increase in youth obesity,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youth obesity prevention among this group who are experiencing increasing rates of obesity.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to 1) apply a health belief model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obesity prevention among youth who are seeing rising rates of obesity, and 2) provide an integrated validation procedure and foundation for developing this measurement tool. In stage 1 of the substantive domain for developing an obesity prevention scale, this study formed scale questions for obesity prevention by utilizing the inductive method which identifies subordinate concepts that are included in scale development, Devellis’ (2012) theory as an aid to clarity, and Hively’s (1974) domain-referenced testing. In stages 2 and 3, this study applied the Rasch model to sample 1. To this end, this study will apply a parallel analysis and ESEM to sample 1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besity prevention scale in step 1. Presently, this study is on the verge of conducting analysis o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in the substantive domain of first-year obesity prevention scale development, and on the first stage of the structural domains.
    ■ Second-Year Research Plan Performance Summary: The second-year research is at the stage of ensuring validity. In the second year,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using sample 2 in the second stage of the structural domains, and apply a bifactor model and second-order model to verify which one shows a superior fidelity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G factor. In stages 3, 4, and 5, the Rasch model will be applied to sample 2 and will present empirical evidence. In external domains, this study will conduct latent mean analysis using sample 2 based on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at were determined to theoretically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besity prevention scale in stage 1, and based on gender (male, female), and obesity status (obese, not obese) in stage 2. Lastly, in stage 3, this study will verify the effect of the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in the Rasch model (King & Bruner, 2000; Lessard, 2008).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 of all methods of analysis were set at .05. This study will use the following statistical programs. 1) The common factor model will analyze exploratory equation modeling, Bayesia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ifactor and second-order models. The Rasch model will use the WINSTEPS 4.0.0 (Linacre, 2017) analytic program. 2) As an analysi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that appl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 Latent mean analysis (LMA) will be carried out based on gender and obesity status. The Mplus 7.4 (Muthén & Muthén, 2016) analytic program will be used for this. The second-year research is currently underway since the results may be released after the first-year research results are completely publish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비만의 증가를 심각하게 인지,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만예방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통합적으로 타당화 시키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만예방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둘째, 통합적 타당화 절차를 제공하고 근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비만예방 척도개발을 위하여 실제영역(substantive domain) 1단계에서는 척도개발에서 주개념에 포함된 하위개념을 규명하는 귀납적 방법(inductive method), Devellis(2012)가 제시한 이론반영의 명확성(theory as an aid to clarity)과 Hively(1974)의 영역준거식 접근법(domain-referenced testing)을 활용하여 비만예방 척도문항을 구성하였다. 2단계와 3단계에서는 표본 1을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비만예방척도의 요인구조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본 1을 대상으로 평행선 분석과 ESEM을 적용할 것이다. 연구종료가 완료된 지금 시점에서 1차년도 비만예방 척도개발의 실제영역이 완료되었고, 구조영역의 1단계가 진행될어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2차년도 연구는 통합적 타당도 확보의 단계이다. 2차년도에서는 구조영역 2단계에서 표본 2를 대상으로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살펴보고, G요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Bifactor 모형과 Second-order 모형을 적용, 어떤 모형이 보다 우수한 적합도를 보이는 지 확인할 것이다. 3단계, 4단계, 5단계에서는 표본 2를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할 것이다. 외적영역에서는 표본 2를 대상으로 1단계에서는 비만예방척도와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크다고 판단한 신체활동수준과 준거관련타당도를, 2단계에서는 성별(남, 여), 비만유무(있음, 없음)에 따라 잠재평균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Rasch 모형에서는 사회적 바람직성 반응의 작용여부를 확인할 것이다(King & Bruner, 2000; Lessard, 2008). 모든 분석방법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1) 공통요인모형: 탐색적 구조방정식모형, Bayesian 구조방정식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Bifactor 모형과 Second-order 모형을 분석하고, 2) Rasch 모형: 분석 프로그램인 WINSTEPS 3.74(Linacre, 2012)을 이용할 것이다. 3)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준거관련타당도: 분석 4) 잠재평균분석: 성별, 비만유무에 따라 잠재평균분석(Latent Mean Analysis: LMA)을 실시할 것이다. 이때 분석 프로그램은 Mplus 7.4(Muthén & Muthén, 2016)을 이용할 것이다. 2차년도 계획은 현재 1차년도 결과가 완전하게 마치고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완전하게 결과를 마무리 하지 못한 상태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1차년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내용 ○ 첫째, 실제영역(substantive domain)은 Messick(1995)의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를 반영한다. 이론적으로 가정한 요인과 문항내용이 개념적으로 일치하는가, 실제적으로 반영이 가능한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체육측정평가 전공교수 3명, 스포츠 심리학 전공박사 2명, 체육측정평가 전공박사 3명, 건강교육 전공박사 2명)을 통해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하였다. 또한 비만예방척도의 척도화를 위한 적정 응답범주를 내용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응답범주 설정은 문항의 전반적인 난이도(difficulty)를 기준으로 하여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후에, 2단계와 3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의 적합성과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 1을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습니다(2016년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인문사회과학분야 55페이지~58페이지). ○ 둘째, 구조영역(structural domain)은 Messick(1995)의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를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비만예방척도의 요인구조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본 1을 대상으로 평행선 분석과 ESEM은 2017년 말부터 2018년에 적용하여 투고예정에 있습니다.
    ■ 2차년도 연구결과: 1차 연도 결과기술이 완료 전이므로 순처적인 연구방법론 절차상 연구결과를 기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연구계획을 간략하게 기술하였습니다.○ 2차년도 연구방향: 1차년도 연구가 완성된 후 도출된 요인구조에 대해 2차년도에서는 구조영역 2단계에서 표본 2를 대상으로 Bayesian 확인적 요인분석과 ML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살펴보고, G요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Bifactor 모형과 Second-order 모형을 적용하여, 어떤 모형이 보다 우수한 적합도를 보이는지 확인할 것이다. 3단계, 4단계, 5단계에서는 표본 2를 대상으로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적합도지수, 점이연 측정 상관계수, 문항특성곡선, 피험자×문항분포도, 문항 난이도, 응답범주의 적절성(평정척도분석), 차별문항기능(DIF) 검증, 피험자 및 문항 신뢰도를 순차적으로 검증하여 Messick(1995)의 통합적 타당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할 것이다.
    ■ 활용방안 : 아래의 순서로 계획서 및 결과보고서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2) 인력양성 방안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색인어
  • 청소년, 건강, 비만예방, 타당도, 통합적타당도, 건강신념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