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249&local_id=10086411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활성화를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활성화를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여진(대구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6777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 세계적으로 21세기 지구온난화 문제와 환경오염, 자원의 고갈을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 방법론을 고려한 녹색 건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의료기술의 발전, 경제력의 증가에 따른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병원의 이용률의 증가와 병원 건물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병원은 24시간 운영되어지는 곳으로 에너지를 다소비하는 건물군인 동시에 많은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병원 폐기물, 중금속등을 만들어 내기에 병원의 친환경성 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병원만이 의료분야 녹색경영 및 녹색병원의 확산에 참여하고 있어서 향후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하지만, 현재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에서 병원 건축물은 외국의 인증제도와는 달리 별도의 인증심사기준이 없으므로 다른 용도의 건축물보다 친환경 녹색개념에 대한 중요성이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목표는 국내 녹색병원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과 선정되어진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설정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활성화를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이라는 주제 아래 두 가지 큰 세부 주제를 설정하였고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서의 병원 건축물에 대한 평가항목의 조사를 통한 녹색건축 인증 평가항목의 제안이었다. 이를 위하여 (1) 치유공간으로서의 미시적 환경친화성과 (2) 거시적 차원에서의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2차년도 연구는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을 위해 제안한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는 데에 있었다. AHP방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한 친환경 관련 전문가의 검증을 받고 이를 통하여 특히 국내 병원 건축물에 대한 녹색 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 중 가장 큰 평가요소인 병원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효율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한 기대효과는 연구결과인‘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활성화를 위한 평가항목: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에너지 효율적인 병원시설을 위한 중요한 영향요소의 분석(최여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17)’을 이용하여 녹색/환경 정책 관계자 및 연구자들은 병원 건축물 부문에서의 국내 녹색건축인증 세부 평가항목 및 기준의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병원 관계자들은 녹색병원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녹색건축 인증에서의 평가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하여 좀 더 명확하게 녹색병원의 구현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현재 병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국내 녹색건축 인증에 대한 평가항목 및 기준이 없는 상태에서 최종 연구결과물은 향후 녹색건축 인증기준 개정 시 에너지 효율적인 병원건축과 관련하여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병원 건축물의 국내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학술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병원 관계자들은 녹색병원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녹색건축 인증에서의 평가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하여 좀 더 명확하게 녹색병원의 구현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하여 병원 건축물의 소비 에너지량 감소를 통한 병원 운영의 재정 절약을 도모하는 한편에 개선된 치유 환경의 제공과 환자 및 보호자의 건강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이 기대된다.
  • 영문
  • Globally, there is a need for green architecture that considers eco-friendly methodologies to overcome global warming,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in the 21st century. In addition, since the 2000s, the numbers of hospital building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economic power. Because hospitals are operated 24 hours a day, they can be categorized as the energy-consuming building group, which produce a lot of carbon dioxide, hospital wastes and heavy metals. For this reas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plans for hospitals. In Korea, only some hospitals are participating in the green management of green hospitals, and it is time for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and efforts to expand participation.However, in the current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ospital buildings are recognized as being less important in terms of green concept than buildings of other building groups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certification criteria unlike foreign certifi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ssessment criteria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green hospital buildings and to set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assessment criteria in order to spread the green hospitals.
    In this study, two major topics were set up under the theme of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tems for Activating Green Architecture Certification of Hospital Buildings'.
    The first study was the proposal of the assessment criteria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oversea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To do this, I proposed specifically the assessment criteria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r hospital buildings considering both (1) micro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a healing space and (2) sustainability of buildings at a macro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s research, the second year' s research was 'to derive the importance of the proposed assessment criteria for the green hospital buildings through the evaluation of experts'. In particular, an expert-survey usi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s and priorities of these energy efficien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for activ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of hospital buildings : An Analysis of Important Factors for Energy Efficient Healthcare Facilities on Experts' Survey (Choi, 2017), the green / environmental policy personnel and researchers can utilize it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detailed criteria for the domest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the hospital building sector.Hospitals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green hospitals and the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o find ways to implement green hospital more clearly. In the absence of the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for the domestic green healthcare building certification, the final research resul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revision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tandard( related to the energy efficient hospital construction). In addition, hospital officials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how to implement green hospitals through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reen hospitals and an overall understanding of Assessment Criteria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by the hospital buildings and to save the financial cost of the hospital operation, and to provide the improved healing environment and reduce the health and maintenance costs o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 세계적으로 21세기 지구온난화 문제와 환경오염, 자원의 고갈을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 방법론을 고려한 녹색 건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의료기술의 발전, 경제력의 증가에 따른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병원의 이용률의 증가와 병원 건물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병원은 24시간 운영되어지는 곳으로 에너지를 다소비하는 건물군인 동시에 많은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병원 폐기물, 중금속등을 만들어 내기에 병원의 친환경성 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병원만이 의료분야 녹색경영 및 녹색병원의 확산에 참여하고 있어서 향후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하지만, 현재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에서 병원 건축물은 외국의 인증제도와는 달리 별도의 인증심사기준이 없으므로 다른 용도의 건축물보다 친환경 녹색개념에 대한 중요성이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목표는 국내 녹색병원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과 선정되어진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설정하는데 있었다. 특히 국내 병원 건축물에 대한 녹색 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 중 가장 큰 평가요소인 에너지 효율 영향요소를 도출하고 영향요소의 중요도를 설정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활성화를 위한 평가항목의 정립’이라는 주제 아래 두 가지 큰 세부 주제를 설정하였고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서의 병원 건축물에 대한 평가항목의 조사를 통한 녹색건축 인증 평가항목의 제안이었다. 이를 위하여 (1) 치유공간으로서의 미시적 환경친화성과 (2) 거시적 차원에서의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2차년도 연구는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병원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을 위해 제안한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는 데에 있었다. AHP방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한 친환경 관련 전문가의 검증을 받고 이를 통하여 특히 국내 병원 건축물에 대한 녹색 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 중 가장 큰 평가요소인 병원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효율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AHP방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차년도 녹색건축 인증을 위해 제안한 평가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의 검증을 받고 이를 통하여 ’병원 녹색건축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으로 정립‘하였다. 이를 위하여 병원 건축을 위한 미시적 및 거시적 녹색 인증 평가항목을 대분류, 중분류로 구분 작성된 설문지를 병원 계획 전문가 집단인 국내 S-종합건축설계사무소 Bio & Healthcare 팀, S-CM건축사무소 실무진 및 임원들, 관련 분야 교수들에게 2016년 9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이메일과 우편을 통해 설문지 송부한 후 회수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AHP분석을 통하여 평가항목에 대한 종합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2차년도 전문가 자문과 회의,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녹색건축 인증 평가항목 중 가장 많은 배점을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항목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다. 2차년도 연구 결과의 성과물로서 2017년 6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에너지 효율적인 병원시설을 위한 중요한 영향요소의 분석”이란 논문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에 게재하였다.
    AHP 설문조사는 다음의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
    ∙ 에너지 효율을 위한 영향요소인 건축, 기계, 빛 환경, 신재생의 대분류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병원 건축물에서는 각각 55.4%, 17.1%, 12.2%, 15.4% 로 나타나 건축부문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건축 부문의 중분류 영향요소(대지, 외피, 단열, 창호, 일사, 환기) 중에서는 단열과 창호부문의 중요도가 각각 18.7%, 18.5%로 다른 영향요소보다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 기계부문의 중분류 영향요소(열원, 시스템, 제어) 중에서는 열원부문의 중요도가 36.6%로 가장 중요한 영향요소로 나타났으며, 빛 환경부문의 중분류 영향요소(자연채광, 인공조명)중에서는 자연채광부문의 중요도가 77.6%로 인공조명부문의 중요도보다 약 3배가량 더 중요한 요소로 보였다.
    ∙ 신재생부문의 중분류 영향요소(지열, 태양광, 태양열) 중에서는 태양광부문의 중요도가 49.6%로 다른 영향요소보다 중요한 영향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한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 녹색/환경 정책 관계자 및 연구자들은 병원 건축물 부문에서의 국내 녹색건축인증 세부 평가항목 및 기준의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 병원 관계자들은 녹색병원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녹색건축 인증에서의 평가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하여 좀 더 명확하게 녹색병원의 구현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현재 병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국내 녹색건축 인증에 대한 평가항목 및 기준이 없는 상태에서 최종 연구결과물은 향후 녹색건축 인증기준 개정 시 에너지 효율적인 병원건축과 관련하여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AHP방법을 이용한 전문가 설문조사로 도출된 병원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중요도와 적용 우선순위는 의료시설의 효율성, 경제성들을 고려한 장래의 변화 가능성에 대비한 병원 건축물의 계획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병원건축물의 국내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학술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
  • 색인어
  • 병원건물, 인증평가항목, 녹색건축, 에너지 효율요소, 전문가 설문, 계층분석과정, 녹색건축 인증제도, 설계 담당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