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264&local_id=10085988
아동학대특례법 시행 이후 현장 사용용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 표준화와 타당도 검증: 문항반응이론과 잠재계층분석의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아동학대특례법 시행 이후 현장 사용용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 표준화와 타당도 검증: 문항반응이론과 잠재계층분석의 적용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기현(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802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가 다양한 유형의 타당도를 갖고 있는지 심화된 분석을 통해 검사함으로써 척도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고 피해아동 보호와 학대행위자 처벌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활용한 데이터는 특례법 이후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의 적용이 기록되어 있는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사례관리 행정 데이터이다. 본 연구진은 이들 데이터의 구축 및 클리닝 과정을 거쳐 분석 데이터로 전환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목표는 첫째,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아동학대위험도의 요인구조 확인, 둘째, 척도 신뢰성, 타당성 확인, 셋째,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를 이용한 아동학대 잠재계층의 파악이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는 현장 전문가 패널 집단의 응답 데이터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적절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실제 구축 데이터를 활용한 요인구조 확인 및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은 추후 세분화된 분석이 요구된다. 아울러, 평가척도를 활용한 학대아동 집단은 전체아동과 학대아동에서 특징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집단들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에 대한 더욱 다양한 시험과 또 다른 현장사용용 척도들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아동학대에 대한 사정과 개입에서 비동질적 특성을 지닌 사례들의 특성을 주의해야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if the child abuse risk assessment has diverse types of validity through in-depth analysis, increase the accuracy of its prediction, protect the victim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on the abuser. For this, the case management administration data in child shelters across the country, to which the child abuse risk assessment is applied were used. They were converted into analysis data through data construct and cleaning. The specific analysis goals are to i) check the factor structure of child base risk assessment using the data, ii)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ii) analyze potential child abusers using the scale.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The child abuse risk assessment had decent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response data of the field expert panel. To examine factor structure using actual data and check reliability and validity, however, there should be further analysis. In addition, the assessment scale-based child abuse groups were categorized as those with particular profile. These results prove a necessity of performing more diverse tests on the child abuse risk assessment and developing other scales and offer an implication that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cases with nonhomogeneous characteristics in child abus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가 다양한 유형의 타당도를 갖고 있는지 심화된 분석을 통해 검사함으로써 척도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고 피해아동 보호와 학대행위자 처벌의 실효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활용한 데이터는 특례법 이후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의 적용이 기록되어 있는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사례관리 행정 데이터이다. 본 연구진은 이들 데이터의 구축 및 클리닝 과정을 거쳐 분석 데이터로 전환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목표는 첫째,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아동학대위험도의 요인구조 확인, 둘째, 척도 신뢰성, 타당성 확인, 셋째,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를 이용한 아동학대 잠재계층의 파악이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는 현장 전문가 패널 집단의 응답 데이터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적절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실제 구축 데이터를 활용한 요인구조 확인 및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은 추후 세분화된 분석이 요구된다. 아울러, 평가척도를 활용한 학대아동 집단은 전체아동과 학대아동에서 특징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집단들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에 대한 더욱 다양한 시험과 또 다른 현장사용용 척도들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아동학대에 대한 사정과 개입에서 비동질적 특성을 지닌 사례들의 특성을 주의해야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는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과의 긴밀한 협력구조를 구축하여 연구의 수월성을 높였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현장과의 연구결과 공유를 통해 실천과 학문영역의 상호보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는 현장지향적인 기조가 중요한 아동학대 연구에서 차후의 척도 수정과 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개연성이 높다.
    둘째, 그간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의 중요성은 담당부처인 보건복지부와 법무부 및 기획예산처에서 공감을 해왔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심화분석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수반되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 다뤄진 아동학대 현장에서 사용되는 위험도 평가척도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척도들 중 한 가지의 예에 불과하다. 가령, 위험도 평가척도 사용 이후 제공되어야 할 적절한 서비스를 사정할 수 있는 척도들도 요구된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발되는 척도들의 수준을 높이고 심화분석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단초가 될 것이다.
    셋째, 현재 우리사회의 아동보호체계는 짧은 시간동안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으나, 객관성이 담보된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 분석이 충분하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 따라서 국외의 연구와 사례들을 통해 제한적인 정보를 의존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가 구축한 데이터들은 우리사회 아동보호체계의 지식수준 전반의 향상과 아동학대에 대한 이론구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넷째,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파급효과도 매우 크다. 가령, 아동학대 평가의 하위유형과 해당문항들의 선별과정에 대한 분석과정은 현장조사자들의 아동학대 발생 상황과 이에 대한 개입과정이 객관적이고 엄정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특성을 주지시키는 기회가 될 것이다. 아울러, 대학 및 대학원의 아동복지론 강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혹은 아동학대 관련 강의의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위험도 평가척도의 심화분석의 일환으로, 아동보호전문기관 내 행정데이터를 연구데이터로써 전환 및 구축하였다. 이는 연구문제들에 대한 탐색은 물론이고,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 및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는 사회복지 학문 영역에서 양자를 적절하게 아우르는 연구사례로서 이용될 것이다.
  • 색인어
  • 아동안전, 아동학대위험도 평가척도, 아동학대 재발생, 전향적 추적, 프로파일 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