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16&local_id=10086120
자전류의 한자음 변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자전류의 한자음 변화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미현(동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8328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자전류의 한자음들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조선 시대 󰡔전운옥편󰡕에 수록된 한자음들이 󰡔자전석요󰡕을 비롯한 1900년대의 자전류에는 비교적 그대로의 모습으로 잘 전승되어 내려오다가, 현대 자전류에는 다양한 한자음의 변화 양상들이 나타나는데, 크게 주목되는 특징을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전운옥편󰡕을 비롯한 󰡔자전석요󰡕, 󰡔신자전󰡕 등 앞선 시대의 자전류와는 달리 현대 자전류에서는 한자음이 사라진 예, 한자음이 새로이 덧생긴 예, 한자음이 전혀 다른 한자음으로 달라진 예 등의 한자음 변화 양상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현대 자전류에 와서 한자음의 ‘사라짐, 덧생김, 달라짐’의 양상이 나타나는 것은 각각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작용하여 변화했을 것이므로, 한자음의 변화 과정과 그 원인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한자음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지 않으면, 자전에 따른 한자음의 오류인지, 한자음의 소멸인지, 한자음의 생성인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현대 자전류에서는 각각의 자전마다 그 한자음이 제각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심지어 똑같은 반절자(反切字)임에도 불구하고 그 한자음이 각각의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어서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오류인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똑같은 반절자(反切字)에 대하여 자전마다 한자음이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문제는, 자전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현대 한자음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키므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자전류 한자음의 통시적인 고찰을 통해 현대 자전류가 안고 있는 한자음 반영의 오류를 바로잡을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조선 시대의 자전 󰡔전운옥편󰡕에서부터 󰡔자전석요󰡕을 비롯한 1900년대의 자전과 현대의 다양한 자전류까지 자전류의 한자음을 통시적으로 비교 대조하여 한자음의 사라짐, 덧생김, 달라짐의 변화 양상 및 그 변화 원인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이 똑같은 반절자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현대 한자음의 혼란한 양상들을 살피고, 자전류 한자음의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현대 자전류가 안고 있는 한자음 반영의 오류들을 바로잡는 데 있다.
  • 영문
  • Diachronically examining the Sino‐Korean of Chinese dictionaries, Sino‐Korean recorded in Jeonunokpyeon in the Joseon Dynasty were handed down fairly intact to the Chinese dictionaries of the 1900s, including JaJeonsekyo, and then, in the modern Chinese dictionaries, various aspects of the Sino‐Korean sounds change,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in modern Chinese dictionaries, unlike the earlier dictation of Chinese dictionaries, such as Jeononokpyeon, JaJeonsekyo, Sinjajeon, etc., aspects of change in Sino‐Korean frequently appear such as examples of disappeared Sino‐Korean, examples of newly added Sino‐Korean, examples of changed Sino‐Korean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ino‐Korean, etc. In modern Chinese dictionaries, the aspects of 'disappearance, addition, shift' of Sino‐Korean appear to have changed due to various cause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of Sino‐Korean and their causes. If not consider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ino‐Korean, it will be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errors in Sino‐Korean, the disappearance of Sino‐Korean, or the generation of Sino‐Korean according to the Chinese dictionary.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in modern Chinese dictionaries, Sino‐Korean are often reflected in each of different Chinese dictionaries. Even though it is the same Banjeol letters(反切字), the Sino‐Korean are differently reflected in each of different Chinese dictionaries, making it difficult to judge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There is a problem that Sino‐Korean are reflected differently in each of different Chinese dictionaries for the same Banjeol letters. This i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causes confusion for modern Sino‐Korean by people using Chinese dictionaries. Therefore, the diachronic consideration of Sino‐Korean of Chinese dictionaries necessitates correcting the errors of reflection of Sino‐Korean held by modern Chinese dictionaries.
    For this reason,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chronically compare Sino‐Korean of Chinese dictionaries from Chinese dictionaries of the 1900s to modern Chinese dictionaries, including from Chinese dictionary, Jeonunokpyeon to JaJeonsekyo,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isappearance, addition, and shift of Sino‐Korean and the cause of change. The second purpose is to examine the confusing aspects of modern Sino‐Korean sounds, which are differently reflected in each of different Chinese dictionaries, despite the fact that Sino‐Korean in modern Chinese dictionaries have the same Banjeol letters, and to correct errors of Sino‐Korean reflecting in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ies through the transitive examination of Sino‐Korean of Chinese dictiona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자전류의 한자음들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조선 시대 󰡔전운옥편󰡕에 수록된 한자음들이 󰡔국한문신옥편󰡕을 비롯한 1900년대의 자전류에는 비교적 그대로의 모습으로 잘 전승되어 내려오다가, 현대 자전류에는 다양한 한자음의 변화 양상들이 나타나는데, 크게 주목되는 특징을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전운옥편󰡕을 비롯한 󰡔국한문신옥편󰡕, 󰡔신자전󰡕 등 앞선 시대의 자전류와는 달리 현대 자전류에서는 한자음이 사라진 예, 한자음이 새로이 덧생긴 예, 한자음이 전혀 다른 한자음으로 달라진 예 등의 한자음 변화 양상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현대 자전류에 와서 한자음의 ‘사라짐, 덧생김, 달라짐’의 양상이 나타나는 것은 각각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작용하여 변화했을 것이므로, 한자음의 변화 과정과 그 원인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한자음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지 않으면, 자전에 따른 한자음의 오류인지, 한자음의 소멸인지, 한자음의 생성인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현대 자전류에서는 각각의 자전마다 그 한자음이 제각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심지어 똑같은 반절자(反切字)임에도 불구하고 그 한자음이 각각의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어서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오류인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똑같은 반절자(反切字)에 대하여 자전마다 한자음이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문제는, 자전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현대 한자음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키므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자전류 한자음의 통시적인 고찰을 통해 현대 자전류가 안고 있는 한자음 반영의 오류를 바로잡을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조선 시대의 자전 󰡔전운옥편󰡕에서부터 󰡔국한문신옥편󰡕을 비롯한 1900년대의 자전과 현대의 다양한 자전류까지 자전류의 한자음을 통시적으로 비교 대조하여 한자음의 사라짐, 덧생김, 달라짐의 변화 양상 및 그 변화 원인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이 똑같은 반절자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현대 한자음의 혼란한 양상들을 살피고, 자전류 한자음의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현대 자전류가 안고 있는 한자음 반영의 오류들을 바로잡는 데 있다.
    한자음 연구의 활발한 논의를 위해서는 자전류의 한자음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자전류의 한자음 연구가 꼭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음의 변화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자전류 한자음의 체계적인 정리와 전산화 작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자전류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음들을 전산화하여 정리한다면, 한국 한자음의 특징 및 한국 한자음의 변화 양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는 중요한 계보 정리가 될 것이다.
    둘째, 한자음의 변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자전류의 한자음뿐만 아니라 그 자석(字釋)까지 연구 대상에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다. 자전류에 반영된 자석(字釋)들은 한자음만큼이나 무척 중요한 논의의 근거 자료가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자음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한자음의 자석(字釋)까지 함께 검토하고 살펴보았다.
    셋째, 현대 자전류마다 한자음의 반영 양상이 제각각이므로 이를 바로잡을 필요성이 절실하다. 현대 자전류에서는 똑같은 반절자(反切字)임에도 불구하고 그 한자음이 자전마다 제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반영되어 있어서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오류인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현대 자전류마다 다르게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의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전류들을 통시적으로 비교 대조하여 그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목표를 위하여 자전류의 한자음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1차년도의 연구과제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과 자석의 전산화 작업’을 완료하였고, 2차년도의 연구과제 ‘자전류의 한자음 변화 양상 및 변화의 원인 모색’과 ‘현대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의 오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연구 성과물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자전류의 문헌들은 방대한 한자음을 수록하고 있어서 한자음 연구에는 더 없이 귀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앞선 연구에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문헌 자료들이다. 󰡔전운옥편󰡕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전류의 한자음들을 통합하여 정리한다면, 조선조 한자음이 현대 한자음에 이르기까지 어떤 과정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는 중요한 계보 정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전류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음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한국 한자음의 비교 연구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전사(辭典史)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텍스트로 삼은 자전류의 문헌들은 현대의 한자 자전을 제외하고는 요즘은 손쉽게 찾아볼 수 없는 귀한 자료들이 대부분이다. 다행히 디지털 한글 박물관에서 몇몇의 문헌 자료들은 이미지 파일로 제공하고 있긴 하지만, 각 한자들의 용례를 필요에 따라 찾아보는 데에는 굉장히 불편함이 따른다. 그런 의미에서 자전류의 한자음을 전산화하는 본 연구의 과제 수행은 자전류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의 양상들을 누구나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는 편의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며, 한자음 연구의 접근성을 훨씬 수월하게 도와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자음의 변화 문제는 개별 한자음뿐만 아니라 어휘 한자음에서도 중점적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가 많다. 그러나 한자음의 변화 문제는 몇 권의 문헌만으로 그 해답을 찾을 수는 없기에 아직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자전류의 한자음들을 대상으로 전산화하는 작업은, 아직도 국어학의 다른 연구 분야보다도 미개척 분야로 많이 일컬어지는 한자음 연구 분야에 조금 더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한자음 연구자들에게 참고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운서 중심의 한자음 연구 외에도 여러 언해서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들까지 그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한자음 변화에 대한 논의를 더욱 정밀히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자전류 한자음들을 시대별로 정리한 체계적인 전산화 작업은 한자음의 통시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할 것이며, 질서 없이 한자음이 변화된 예들을 찾아 자전류에 수록된 한자음들의 문제점 및 오류들을 바로잡을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더욱이 이런 작업을 거치지 않는다면 아직까지 정립되어 있지 않은 한자음의 표준화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표준 한자음의 정립은 결코 만만치 않은 작업이지만, 적어도 자전류 한자음의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조선 시대부터 현대에까지 계승되고 있는 전통 한자음은 무엇이며, 현대에 와서 새로이 덧생기거나 달라지거나 사라지게 된 한자음 등 변화를 입은 한자음은 무엇인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자전류 한자음, 전운옥편, 자전석요, 신자전, 홍자옥편, 한한대자전, 복수 한자음, 사라짐(소멸), 덧생김(생성), 달라짐(변화), 전산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