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39&local_id=10086066
인지진단평가를 활용한 영어 읽기 능력 및 학습자 배경 변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인지진단평가를 활용한 영어 읽기 능력 및 학습자 배경 변인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연희(대구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321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을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어떠한 배경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필요한 세부 읽기 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학습자 개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 배경 요인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성별, 지역별, 영어 사교육 수강 정도, 학습자 주도적 영어 학습 시간 정도 등과 같은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를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 및 학습자 배경 변인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지는 30개의 읽기 문항을 활용한 것으로서 개별 문항은 고등학교 영어과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수준에 맞추어 개발된 것이다. 학습자 배경 설문지는 기존의 연구를 활용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학습자 기본 정보를 포함한 2개의 대범주로 구별이 되며, 총 15개의 하위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영어 읽기 세부 능력을 분석하고자 영어 교과 전문가 및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 읽기 검사지의 개별 문항에 답하기 위해 요구되는 세부 읽기 능력을 토론하고 심층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양적 및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 교과 전문가들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영어 읽기 세부 능력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지의 30개의 문항은 글의 ①대의 파악하기, ②흐름 파악하기, ③세부 내용 파악하기, ④대의 추론하기, ⑤흐름 추론하기의 5개의 세부 읽기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본 연구에 참가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프로파일은 다양한 형태로 도출이 되었으며, 지역 변인에도 다소 영향을 받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학습자 배경 요인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역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배경 정보가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에 다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s a)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subskills and reading profiles and b)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English reading proficiency using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nglish reading subskill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master to develop their reading ability and provide them with individual English reading profiles. In addition, it intend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ffect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ent background information survey, which includes gender, area, private English education, and self-studying time.
    In this study,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urban and rural areas took the English reading test and completed the student background information survey. The English reading test consisted of 30 items that reflect the n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and the student survey consisted of 15 questions about their background, including the variables of gender, area, private English education, and self-studying time. In addition, the English subject expert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and interview sessions to identify the English reading subskills that are required to solve the items in the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subskill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master to develop their reading ability were a) identifying the main idea of the text, b) identifying the organization of the text, c)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in the text, d) inferring the main idea of the text, and e) inferring the organization of the text. Second, the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model produced a variety of English reading profiles for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were somewhat affected by the area variable. Finally,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y of English reading subskills and the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area variable particularly affected the mastery of English reading subskil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을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어떠한 배경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필요한 세부 읽기 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학습자 개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 배경 요인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성별, 지역별, 영어 사교육 수강 정도, 학습자 주도적 영어 학습 시간 정도 등과 같은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를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1)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 읽기 능력은 무엇인가?
    2)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관련된 학습자 프로파일은 어떠한 형태로 도출되는가?
    3)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학습자 배경 요인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무작위추출법(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대도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모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 및 학습자 배경 변인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지는 2014 및 2015학년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검사지의 30개의 읽기 문항을 활용한 것으로서 개별 문항은 고등학교 영어과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수준에 맞추어 개발된 것이다. 학습자 배경 설문지는 기존의 연구를 활용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학습자 기본 정보를 포함한 2개의 대범주로 구별이 되며, 총 15개의 하위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영어 읽기 세부 능력을 분석하고자 영어 교과 전문가 및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 읽기 검사지의 개별 문항에 답하기 위해 요구되는 세부 읽기 능력을 초점 집단 토론(focus group discussion) 및 학습자 발성 사고 프로토콜(think-aloud verbal protocol)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DETECT, DIMTEST, CCPROX/HCA와 같은 비모수 차원 분석(non-parametric dimensionality analysis) 기법 및 근거 이론적(grounded theory) 접근 방법에 입각한 주제 분석법을 통하여 분석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 교과 전문가들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영어 읽기 세부 능력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지의 30개의 문항은 글의 ①대의 파악하기, ②흐름 파악하기, ③세부 내용 파악하기, ④대의 추론하기, ⑤흐름 추론하기의 5개의 세부 읽기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본 연구에 참가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프로파일은 다양한 형태로 도출이 되었으며, 지역 변인에도 다소 영향을 받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학습자 배경 요인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역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배경 정보가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에 다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1·2차년도 연구 수행 실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영어 교과 전문가들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영어 읽기 세부 능력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검사지의 30개의 문항은 글의 ①대의 파악하기, ②흐름 파악하기, ③세부 내용 파악하기, ④대의 추론하기, ⑤흐름 추론하기의 5개의 세부 읽기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본 연구에 참가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프로파일은 다양한 형태로 도출이 되었으며, 지역 변인에도 다소 영향을 받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학습자 배경 요인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역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배경 정보가 영어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에 다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교육적, 정책적 활용방안이 있으리라 믿어진다.

    가. 학문적 활용방안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을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와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어떠한 배경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평가 영역으로 삼았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세부 인지요소의 파악이 더욱 복잡한 영어교과에 인지진단모형을 적용시킴으로써 인지진단모형의 확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이다. 또한, 기존의 인지진단평가 연구는 대부분 평가하고자 하는 인지요소의 숙달에만 초점을 맞추고, 인지진단모형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를 개별 학습자들의 배경 변인과 연결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하였지만, 본 연구는 인지요소의 숙달 및 미숙달 여부를 성별, 지역별, 영어 사교육 수강 정도, 학습자 주도적 영어 학습 시간 정도 등과 같은 학습자 특성 변인과 연결시켜 인지진단모형에서 도출된 결과의 활용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제2언어 평가에서 새로운 시도일 뿐만 아니라 인지진단이론을 증진 및 확장시키는 데에도 활용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혼합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Q행렬을 보다 타당하게 설계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성 사고 프로토콜 기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질적 연구 자료와 DETECT, DIMTEST, CCPROX/HCA와 같은 비모수 차원 분석 기법을 통하여 얻어진 양적 통계 수치는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하여 Q행렬을 타당하게 설계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며, 이러한 혼합 방법론적인 접근법은 후속 연구에 하나의 선례로 작용하여 연구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나. 교육적 활용방안
    본 연구 목표 중의 하나는 한국 고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학습자 개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지진단모형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학습자 개별 프로파일은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 정도를 세부적으로 진단하여 교수·학습 발달 및 진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학생, 교사, 학부모와 같은 다양한 교육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단수의 총괄 점수만을 기준으로 학습자들을 서열화하지 않고,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다차원적인 공간에 배치하여 그들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정보를 개인별 프로파일의 형태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교사가 맞춤별 보정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인지진단모형이 제공하는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본 연구 결과는 영어 읽기 교수·학습을 계획 및 설계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에 활용될 것이다.

    다. 정책적 활용방안
    본 연구는 성별, 지역별, 영어 사교육 수강 정도, 학습자 주도적 영어 학습 시간 정도 등과 같은 변인에 따른 학습자의 세부 읽기 능력 숙달 정도를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숙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영어교육 정책 입안자들에게 한국 영어교육의 현안과 문제점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영어 공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방안 마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인지진단평가, 인지진단모형, 영어 읽기 능력, 영어 학습자 배경 변인 분석, 재모수화 통합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