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48&local_id=10086017
폴리리듬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과제의 복잡성과 협응 구성 요소의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폴리리듬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과제의 복잡성과 협응 구성 요소의 영향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태훈(경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336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의 협응 구조에 영향을 주는 리듬의 복잡성과 수행 속도의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움직임의 협응 구조의 연구는 주로 리듬-기반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져 왔으며, 효율적 통제를 위한 통제 단위의 설정과 관련하여 대표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와 통합적 협응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이중 많은 관심을 받아온 분야가 양손 간 협응이며, 선행연구에 의하면 통합적 협응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양손 간 협응에서 예외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를 보이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움직임의 구성 요소가 다른 경우(예. 상하체) 통합적 협응 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결과도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혼재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양손 간 협응과 손발 간 협응 과제를 사용하고, 협응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인 리듬의 복잡성과 수행 속도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협응 과제의 수행 양상 및 협응 구조를 확인하였다. 전문가 수준의 피아노 연주자와 드럼 연주자를 대상으로 각각 양손 간 협응 과제와 손발 간 협응 과제를 실험 조건에 따라 시행하고 motion capture sensor를 통해 tapping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양손 간 협응 과제의 경우 수행 속도와 리듬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독립적 협응 구조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손발 간 협응 과제에서는 전반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의 비율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적 체제화의 원리를 움직임에 적용한 기존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움직임 구성 요소의 기능적 거리와 수행 속도가 핵심 요인이며, 기능적 거리가 증가할수록, 수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독립적 협응 구조를 보일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행동적 증거라 할 수 있다.
  • 영문
  • The complexity of rhythm and the speed of performance have been focused on in the field of motor coordination because of their effects on the coordinative structures. Rhythmic movement was one of the tasks most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and findings from those studies stated that an integrated or an independent coordinative structure would be applied for efficient control. For this matter, a bimanual coordination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and an integrated coordinative structure is a dominant one. However, an exceptional finding was reported with concert-level pianists showing an independent structure in their bimanual coordination. On the other hand, other studies showed that an independent coordinative structure was more prevalent when coordinating upper and lower body.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ain why this kind of mixed results were shown and to find out an appropriate theoretical background. In a series of experiments, rhythmic complexity and the speed of performance were experimentally manipulated to investigate which coordinative structure would be more prevalent in which condition. Skilled pianists and drummer were recruited to perform bimanual and hand-foot coordination tasks and their performance was recorded with motion capture sens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an independent coordinative structure increased in the bimanual coordination as rhythmic complexity and the speed increased. Moreover, in the hand-foot coordination, an independent coordinative structure was dominant. These findings seem to be in line with the application of perceptual organization in motor control. That is to say, functional distance, not physical distance and speed are key factors when deciding which structure would be appli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다양한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인 조화, 즉 협응이 필수적이다. 특히 자유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과제에 적합한 협응 구조의 적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효율적인 통제를 위해서 통제 단위의 설정 역시 중요한데, 이와 관련해 대표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와 통합적 협응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움직임의 협응 구조의 연구는 주로 리듬-기반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중 많은 관심을 받아온 분야가 양손 간 협응이며, 선행연구에 의하면 통합적 협응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양손 간 협응에서 예외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를 보이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움직임의 구성 요소가 다른 경우(예. 상하체) 통합적 협응 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결과도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혼재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양손 간 협응과 손발 간 협응 과제를 사용하고, 협응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인 리듬의 복잡성과 수행 속도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협응 과제의 수행 양상 및 협응 구조를 확인하였다. 전문가 수준의 피아노 연주자와 드럼 연주자를 대상으로 각각 양손 간 협응 과제와 손발 간 협응 과제를 실험 조건에 따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양손 간 협응 과제의 경우 수행 속도와 리듬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독립적 협응 구조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손발 간 협응 과제에서는 전반적으로 독립적 협응 구조의 비율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적 체제화의 원리를 움직임에 적용한 기존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움직임 구성 요소의 기능적 거리와 수행 속도가 핵심 요인이며, 기능적 거리가 증가할수록, 수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독립적 협응 구조를 보일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행동적 증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 구조의 이론 정립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재활 훈련 프로그램 수립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론적인 측면으로는, 움직임 수행 과정의 핵심 개념인 협응 구조의 이론 정립에 새로운 행동적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의 양손간 연구에서 유일하게 독립적 협응 구조를 보인 연구 결과의 출현 이유를 경험적으로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각적 체제화의 원리를 움직임에 적용하여 지각된 거리와 시간 간격의 두 요인으로 협응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 좀더 간결하고 명료한 틀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응용적인 측면으로는, 본 연구 결과를 교육 훈련 프로그램과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간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거의 모든 움직임이 신체의 다양한 구성 요소 간 협응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움직임 훈련의 가장 기초적 질문인 여러 동작을 한꺼번에 배우는 방법(통합적 협응 구조 적용)과 단계별로 배우는 방법(독립적 협응 구조 적용) 간의 효율성에 대한 논쟁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각된 거리가 크거나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독립적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체와 하체의 협응의 경우 대부분 단계별로 배우는 방법을 적용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악기 훈련이나 운동 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좀더 효율적인 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며, 재활 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재활 단계마다 최적화된 협응 형태를 찾아내 적용하는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폴리리듬, 협응, 리듬-기반 움직임, 지각적 체제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