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79&local_id=10086218
운동기술의 학습에 대한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운동기술의 학습에 대한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영규(서울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506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 번째 목적은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2인 연습의 학습이점이 집단연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가 2인 이상일 경우에도 발생하는지, 만약 발생한다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그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실험과제는 5 m 전방의 목표지점을 향해 골프 공을 퍼팅하는 것이었다. 수행점수로 퍼팅한 볼이 목표지점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그 거리를 센티미터 단위로 매 시행마다 측정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습득단계에서 퍼팅과제를 30회 실시하였고 24시간 후에 다시 돌아와 10회의 파지검사 시행을 실시했다. 48명의 피험자들은 12명씩 네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1인 연습조건으로 12명의 피험자들은 한 명씩 따로 과제를 연습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2인 연습조건으로 피험자들은 2명씩 짝을 지어 과제를 한 번씩 교대로 연습하였다. 세 번째 집단은 3인 연습조건으로 3인이 함께 한 번씩 교대로 연습했다. 네 번째 집단은 4인 연습조건으로 네 사람이 한 번씩 교대로 과제를 실시하여 각기 30회의 습득단계 시행을 마쳤다. 1인 연습집단의 피험자들은 한 시행이 끝나고 다음 시행을 할 때까지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했다. 반면, 2, 3, 4인 집단은 자신의 실시차례가 아닌 경우 쉬는 동안 다른 사람의 동작과 수행결과를 관찰하도록 했다. 자료분석 결과, 선행연구들의 발견과는 다르게 본 연구의 2인 집단은 1인 집단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3인과 4인 집단은 1인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우수한 파지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집단연습의 학습효율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신체연습 사이에서 실시한 관찰연습의 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집단연습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수가 늘어나면 날수록 신체연습들 사이의 휴식간격 동안 타인의 동작과 수행결과를 관찰할 기회가 더 늘어나고 이것은 학습할 과제에 대한 인지적 표상의 형성을 돕는다.
    선행연구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운동과제를 1회씩 교대로 연습하는 것은 학습효과와 능률을 향상시킨다는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타인과 함께 과제를 1회씩 교대로 실시할 때 학습자는 혼자 연습할 때보다 더 적극적인 문제해결 활동을 나타내 학습효과는 더 우수해진다. 그러나 실시순서를 1회씩 교대로 실시하는 것만이 집단연습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일한 연습방법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집단연습의 효율을 높여주는 연습방법을 찾기 위해 다수의 신체연습 시행을 분단으로 교대하여 실시될 때와 또한 신체연습의 순서가 무작위로 실시될 때의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실험과제는 위에서 사용된 골프퍼팅 과제였으며 모든 피험자들은 습득단계에서 30회를 그리고 24시간 후에 10회의 파지검사 시행을 실시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피험자들은 12명씩 네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개인연습’ 집단으로 피험자들은 혼자 과제를 연습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3인-1회씩’ 집단으로 습득단계 동안 세 사람이 함께 과제를 1회씩 교대로 실시하였다. 세 번째 집단은 ‘3인-5회씩” 집단으로 세 사람이 과제를 5회씩 교대로 실시하였다. 네 번째 집단은 ‘3인-무작위 순서’ 집단으로 세 사람은 무작위 순서로 과제를 실시했다. ‘개인연습’ 집단의 피험자들은 한 시행이 끝나고 다음 시행을 실시할 때까지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했다. 반면, 3인연습 집단은 자신의 실시차례가 아닌 경우 쉬는 동안 다른 사람들의 동작과 수행결과를 관찰하도록 했다. 자료분석 결과, 습득단계 동안 3인이 과제를 1회씩 교대로 실시한 집단과 무작위 순서로 실시한 집단은 개인연습 집단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세 사람이 5회씩 교대로 연습한 집단은 유의하게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학습할 과제가 분절기술일 경우 신체연습 시행 사이에 1회의 관찰보다 다수의 그리고 연속적인 관찰을 실시하는 것이 학습에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수의 그리고 연속적인 관찰은 주의와 파지과정을 이롭게 하고 그 결과 인지적 표상은 더 강하게 형성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신체연습 사이의 다수의, 연속적인 관찰기회는 학습자로 하여금 더 효과적인 문제해결 활동을 일으키게 하여 동작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한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two experiments. The aim of the first experiment was to examine whether the learning benefit found in dyad practice can be elicited when more than two learners practice in group. The experimental task was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5 m away) as possible.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was measured as a performance score. All participants putted 30 balls in a practice phase and 10 balls in a 24-hr retention test. Forty-eight fe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that differed in the number of learners participated in a group practice; 1) one person, 2) two persons, 3) three persons, 4) four persons. Participants in 2, 3, 4 person groups alternated the physical practice each trial. For the 2 person group a single observation trials was interspersed between physical practices. For the 3 and 4 person groups two or three observation trials was interspersed between physical practi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unlike the previous findings, a beneficial effect of dyad practice was not found when the participants alternated the observation and physical practice each trial. However, the 3 and 4 person groups revealed better retention than one person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e learning of discrete skills the amount of observational practice interspersed between the physical practices is a key factor that can enhanc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group practice. As the number of learners participated in a group practice increases, the number of observational trials between the physical practices increases resulting in enhancement of a cognitive representation of the task to be learned.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at practicing in group resulted in more increase in learn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an practicing individually when the observational and physical practice were alternated on each trial. Alternating observational and physical practice engaged the learner more in the active problem-solving process of learning than practicing individually. However, alternating between physical and observation practice each trial might not be the only way to maximiz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group practice. The second experiment of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p practice when the observational and physical practice were alternated on multiple trial or the order of observational and physical practice trials was randomized. Forty-eight right-hand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5 m away) as possible.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was measured as a performance score. Participants performed 30 acquisition trials and 10 retention trials 24 hour late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In the individual condition participants practiced the task individually. In the group-1 trial condition three participants alternated the physical practice after each trial. While a partner executes a putt, the other two were able to observe the partner. In addition, they are heard the KR about the partner’s performance provided by the experimenter. In the group-5 trial condition, the practice order was alternated every five trials. In the group-random order condition the order of physical practice trials was randomi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1 trial condition and the group-random order condition did not result in better learning than the individual condition. However, the group-5 trial condition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retention performance than the individual cond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discrete skills the multiple and consecutive observations between the physical practices can facilitate the attention and retention processes and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a stronger cognitive representation. In addition, the multiple and consecutive observations appears to engage the learner more effectively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resulting in the superior acquisition of response appraisal and error-correction techniqu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차년도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이 연속과제를 통해 발견한 집단연습의 이점이 분절과제의 학습에도 일어날 수 있는지, 그리고 집단연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가 증가될 때 학습효과는 어떻게 변화되는지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험과제로 분절과제인 골프퍼팅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혼자 연습할 경우와 2인, 3인, 4인이 함께 연습할 경우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피험자들은 12명씩 네 실험집단에 무작위 배치되어 30회의 퍼팅을 연습하였다. 1인 연습집단에서 피험자들은 혼자서 30회의 습득단계 시행을 실시하였고 2인, 3인, 4인 연습집단은 동일한 과제를 둘이, 셋이, 넷이서 함께 1회씩 번갈아 교대로 연습하였다. 피험자들은 매 시행을 마친 후 자신이 퍼팅한 볼이 표적을 얼마나 벗어났는지 수행결과를 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벗어난 거리에 대해 센티미터 단위의 언어적 피드백을 실험자를 통해 제공받았다. 2인, 3인, 4인 집단에서 자신의 실시차례가 아닌 경우 다른 사람의 동작과 수행결과를 관찰하도록 했다. 30회의 습득단계 시행을 모두 마친 후 모든 피험자들은 24시간 후에 같은 장소로 돌아와 10회의 파지검사 시행을 실시하였다. 습득단계 동안 피험자들이 나타낸 수행점수에 대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 분석(4 실험집단 x 6 시행분단)이 실시되었고 파지단계 시행 동안의 점수에 대해 마찬가지 분석(4 실험집단 x 2 시행분단)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습득단계 동안 시행분단 효과는 유의했지만 집단들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F(3, 44) = 2.05, p > .05. 반면, 파지검사에서 실험집단들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F(3, 44) = 4.86, p < .05. 사후검정 결과, 2인이 함께 연습한 집단은 혼자 연습한 집단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나 3인과 4인이 함께 연습한 집단은 혼자 연습한 집단보다 더 우수한 파지수행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이 분절동작의 학습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과 집단연습의 효율을 결정하는 변인은 학습자가 시행간 간격 동안에 실시한 관찰연습의 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집단연습에 참여한 학습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신체연습 시행들 사이의 휴식간격 동안 다른 학습자들의 동작과 수행결과 그리고 제공된 피드백을 관찰할 기회가 늘어나고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해준다.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은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연습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규명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신체연습과 관찰연습 시행을 어떻게 결합해야 집단연습 효과가 높아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들은 네 실험집단에 배치하여 골프퍼팅을 연습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피험자들은 과제를 각기 혼자서 연습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3인이 함께 과제를 한 번씩 교대로 연습하였고, 세 번째 집단은 3인이 5회씩 연습한 후 교대하였다. 마지막 집단은 3인이 무작위 순서로 과제를 실시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매 시행 후 피험자들은 자신이 퍼팅한 볼이 표적을 얼마나 벗어났는지 수행결과를 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벗어난 거리에 대해 언어적 피드백을 받았다. 그리고 자신의 실시차례가 아닌 경우 다른 사람의 동작과 수행결과를 관찰하도록 했다. 30회의 습득단계 동안 피험자들이 나타낸 수행점수에 대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 분석(4 실험집단 x 6 시행분단)이 실시된 결과, 시행분단 효과는 유의했으나 집단들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F(3, 44) = 2.12, p > .05. 파지단계 시행 동안의 점수에 대해 마찬가지 분석(4 실험집단 x 2 시행분단)이 실시된 결과, 실험집단들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F(3, 44) = 2.83, p = .05. 사후검정 결과, 3인이 5회씩 교대로 연습한 집단은 혼자 연습한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1회씩 교대로 연습한 집단도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054). 그러나 3인이 무작위 순서로 연습한 집단은 1인연습 집단보다 더 우수한 파지수행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 결과는 학습해야 할 과제가 분절과제와 같이 빠르게 이루어질 경우 집단연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1회씩 교대로 실시하거나 무작위 순서로 실시 하는 것보다는 다수의 시행을 연속적으로 시행한 후 교대하게 하여 관찰의 기회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선행연구들의 발견에 비추어 볼 때, 다수의 연속적인 관찰연습과 함께 1회가 아닌 다수의 연속적인 신체연습 기회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집단연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관찰연습의 효과는 관찰 후 다수의 신체연습을 실시할 때까지 발현되지 않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이 분절동작의 학습에서도 발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집단연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신체연습 시행들 사이의 휴식시간 동안 다른 학습자들의 동작과 수행결과 그리고 제공된 피드백을 관찰할 기회가 늘어나 오류탐지와 수정 능력이 향상된다. 분절기술을 2인이 함께 연습할 경우 집단연습의 효율을 발생시키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관찰연습 시행이 부족하지 않도록 주어진 시간 동안 실시되는 연습시행의 수를 충분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본 연구의 결과처럼 2인이 함께 연습하더라도 관찰연습의 기회가 부족하게 되면 학습효과는 유의하지 않을 수 있다. 집단연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가 2인 이상일 경우, 집단연습의 효과와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신체연습과 관찰연습의 순서와 횟수를 적절하게 조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집단 구성원이 신체연습을 무작위 순서로 실시할 경우 집단연습의 효율은 발생되지 않는다. 즉, 한 사람이 다수의 과제를 연습하는 상황과는 달리 여러 사람이 한 과제를 무작위 순서로 연습하는 것은 맥락간섭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학습해야 할 과제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분절동작인 경우 집단 구성원들이 1회씩 교대로 과제를 실시하는 것보다 다수의 시행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수의 연속적인 관찰도 중요하지만 관찰연습 시행 다음에 실시되는 신체연습 시행의 횟수 역시 집단연습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 변인인 것처럼 보인다. 다수의 시행을 연속적으로 관찰할 기회가 제공되더라도 관찰 후 실시되는 신체연습 기회가 1회씩만 제공되는 것은 학습에 이롭지 않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관찰학습의 효과는 학습자가 신체적으로 연습을 실시할 때까지 발현되지 않고 학습할 과제가 복잡할수록 관찰 후 더 많은 신체연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을 집단으로 지도해야 하는 학교체육 및 생활체육 지도자들에게 학습효과와 능률을 최대화하기 위해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다. 학교 및 생활체육 현장에서 운동기술의 지도는 주로 집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다수의 학생들은 정해진 시간 동안 한 명의 지도자에 의해 함께 집단으로 운동과제를 연습한다. 결국, 지도자들은 학습효과와 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집단연습의 방법이 무엇인지 알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 인력의 양성과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인연습 방법은 최근 의료계에서 의사양성을 위한 훈련방법으로 활용가능한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즉, Bjerrum, Erika, Charles, & Hiberg(2014)는 의과대학생들에게 기관지공 검사(bronchoscopy) 기술을 습득시키는 과정에서 집단연습 방법이 활용될 수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2인이 함께 교대로 기관지공 검사 기술을 연습한 집단은 혼자 연습한 집단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연습을 반 밖에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학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의사양성 과정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의 전문 동작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기능인을 양성하는 과정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을 훈련시키는 과정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개인종목의 엘리트 선수들의 경우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습득을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개인연습에 집중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연습하는 것보다 타인과 함께 집단으로 연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능률적일지 모른다.
    그 동안 사회적 통념은 개인레슨은 그룹레슨보다 학습효과 측면에서 더 높다는 것이었다. 즉, 개인레슨 상황에서 지도자의 지도는 오직 한 개인에게만 집중될 수 있고 또한 학습자의 주의 또한 다른 학습자들에게로 분산됨이 없이 오직 지도자의 피드백에만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기술을 배우려는 많은 학습자들은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높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개인레슨을 받는 것을 더 선호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통념과 상반되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기술을 혼자 연습하는 것보다 타인과 집단으로 연습하는 것이 학습효과를 위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는 물론 새로운 운동기술을 습득하려는 학습자들에게 시간, 돈 등, 비용을 줄이면서도 운동학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준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동작기술의 습득에 요구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지도 및 학습전략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색인어
  • 집단연습, 운동학습, 운동기술, 골프퍼팅, 관찰학습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