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90&local_id=10086910
무용전공생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무용전공생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나경아(한국예술종합학교& #40;서초&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5139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6년 10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무용수들의 교육과정 중 실기연습 외에 스스로를 관리하기 위한 신체 요법이나 생활관리,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상당하나 현실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용수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은 무용수들이 신체적, 정신적 요인들을 진단하고 스스로 부상을 예방하는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무용수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점을 감지하여 부상방지 프로그램 및 심리진단을 통한 개입이 진행되는 종합적인 시스템은 무용수들의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방지하여 건강한 무용인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무용수 스스로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지각과 이에 부합하는 훈련방법, 그리고 정서적 문제에 대한 재조정을 통해 부상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스스로 무용수행에 영향을 주는 여러 차원의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육하는 커리큘럼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무용실기 전문교육기관은 신체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교과과정 속에 포함시키고 학생 스스로 건강한 연습과정을 설계해 나가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결과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무용교육 현장에 전문지식정보를 제공하고, 활용가능한 모범적 사례로 보여진다. 본 연구자는 소속된 대학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적용·발전시킬 것이며, 예술 무용수뿐만 아니라 요즘 고난이도의 기교로 부상이 늘어가고 있는 여러 가지 대중적 장르의 춤에 이르기 까지 본 프로그램을 적용을 시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교육프로그램이 무용수 건강관리 현황 파악의 모델이 되어 연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위의 국내·외 기관 및 대학, 예술고등학교 등에서 적용 가능한 사례로 보여진다.
    둘째, 무용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은 무용 현장과 기관에서 적용 및 협력이 가능 할 것이다. 구축된 교육프로그램이 무용수 건강관리 현황 파악의 모델이 되어 연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위의 국내·외 기관 및 대학, 예술고등학교 등을 바탕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 해외 무용교육기관에서는 실기연습 외에 무용수들이 신경과 근육의 긴장이 나타나는 부분을 느끼고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체요법이나 생활관리 프로그램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도자에게도 필수적이다. 국내의 짧은 무용수 수명으로 인해 직업전환 시, 무용 교육 분야에서 활동 할 때 기초역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무용분야 복지지원정책의 핵심인 건강관리 분야에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데도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적 적용에 활용 할 것이다. 2013년 본 연구자의 소속 대학에서는 무용수 건강을 위한 과학(Secience for Dancer Wellness)을 주제로 국제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함으로 국내에 무용웰니스 개념을 소개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Ohio University의 Jeffrey Russel 교수와 UC Irvine의 Diane Diefenderfer 교수 등이 참여하여 무용수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부상과 건강관리, 무용수의 자기관리 프로그램 등의 학술교류와 무용치료 워크샵 등의 활동이 있었다. 연구자는 위 기관 및 대학과의 교류를 통하여 웰니스 관련 네트워크와 협업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2016년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적용에 초점을 맞춘 무용웰니스 국제학술심포지움을 개최 할 예정이며, 해외 교육기관과의 지속적인 교류 및 연구 활동을 통해 축적된 무용수 웰니스 관련 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미 해외 무용교육기관에서는 실기연습 외에 무용수들이 신경과 근육의 긴장이 나타나는 부분을 느끼고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체요법이나 생활관리 프로그램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도자에게도 필수적이다. 국내의 짧은 무용수 수명으로 인해 직업전환 시, 무용 교육 분야에서 활동 할 때 기초역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무용분야 복지지원정책의 핵심인 건강관리 분야에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데도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Dance majors often exposed to injuries and stresses due to the training situation where it exceeds the functional bound or limit of themselves. They pursue thin and lean body figures even in these harsh training situations, and basal physical fitness of them is on the side of weak. Moreover, in case of dance major curriculum in Korea, hours of practice is more than enough that it is crucial for majors to have education regarding health. Training of both physical technique and psychological control are required as well.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complete wellness education model applied with unique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it is explore to various ways of application with seeking the potential to be continued rather than one time application. It will educate and provide wellness factors to dance majors, and support them to build up their intellectual knowledge.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this program will allow dance majors to prevent themselves from getting injuries and exhausted, and ultimately, aid them to create healthy environment for dance education. Research objectives to complete these are two: The current situation of wellness of dance majors and how dancer wellness educational program is composed. (1) Wellness Requirement and (2)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dition of dance majors are two chosen topics of sub-research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wellness of dance majors. To figure out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program, (1) How self-diagnosis for wellness is composed and (2) How Body-conditioning and Mental training are composed are chosen as two sub-research topics.
    To make sure these, documents from in and out of the country regarding wellness were reviewed, and research of current situation was performed. Then, to figure out the requirement, research subjects were chosen, and they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research the current situation, survey was written based on discussion between experts and research of documents. After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explained to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urrent situation and requirement were analyzed. Prototype including body-conditioning and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and experts’ meeting. Developed prototype was edited and improved with continuous experts’ meeting.
    To figure out the requirement regarding the dance environment, four experts of dance education and injury were asked to answer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interviewed.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even if students know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injuri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rol every situation. Since minimizing of injuries are only achievable with support of educators and cooperation of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field in order for dance majors to overcome the injuries and keep the best condition. Also, it is shown that developing the environment for dance majors where they can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about prevention, cure, and remedy of injuries.
    Result of survey about current situation of injuries and physical condition that 110 of dance majoring college students have is following. 92.9 percent (102 students) of all respondents have experience of getting injured. It is shown that most of injuries (85.5 percent) were occurred during the practice.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of 130 dance majoring college students, they form distorted image of physical body compared to ordinary people, and they have irregular eating habits. Especially, the correction of distorted image of body and eating habits of female dancers are crucial and thus, systematical education regarding this is necessary. Also,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factors to be improved for the healthy dance training due to the fact that seriousness of stress and sleep latency hour resul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lowering of motivation,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and affective disorder.
    Based on this, essential training field is deducted, and educational model was developed with knowledge verification with experts. Dancer wellness educational program model is composed with theories and practices focused on motion running system, energy generation system, motion program generation system, and psychological system. In the program model, function and structure of musculoskeletal system, basal physical fitness and nutrition, composition of human body, motion techniques, and dancing psychology are taught, and based on these, writing profiles about performance factors and planning training method are composing the course model.
    Dancer wellness can be realized through diagnosis stage wher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performance of dancing are measured and analyzed, recognition stage that is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of finding what are needed and the real cause of problems interrupting dancing, setting goal stage where goals are set voluntarily after finding the goals in each area, and repeated training stage where wrong ideas and habits formed from long time ago get corrected with repeated training. Dancer’s will to train voluntaril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us, necessity of self-diagnosis of dancer wellness discussed above is crucial. When correctional training is well achieved, healthy dancing field will be comple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무용전공자들은 자신의 기능적 범위나 한계를 넘어서는 연습상황으로 인해 상해와 스트레스에 자주 노출된다. 상당한 과훈련 상황에서도 가늘고 마른 신체만을 추구하며, 기초체력이 약한 편이다. 더욱이 국내 무용교과과정은 과도한 실기시수로 인해 건강과 관련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며 신체적이고 기교적인 기술을 고도의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것과 함께 심리적 훈련도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무용의 특수성을 반영한 웰니스 교육 모형을 완성하며, 추후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여 일회성 적용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생들에게 웰니스 요소를 교육하고, 제공하며, 학문적인 지식의 함양을 돕는 기능을 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지속적 활용은 무용전공생들로 하여금 부상과 탈진을 예방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건강한 무용교육 현장을 만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무용전공생의 웰니스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무용수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이다. 무용전공생의 웰니스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 연구문제로 무용전공생의 (1)웰니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2)무용전공생의 심리 및 신체 상태는 어떠한가?를 선정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알아보기 위한 하위연구문제로 (1)무용수 웰니스 자기진단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바디컨디셔닝과 멘탈트레이닝은 어떻게 구성되는가?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웰니스 관련 문헌고찰 및 기관조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요구도 파악을 위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현황 조사를 위해 전문가 회의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무용전공대학생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부·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구도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와 전문가회의를 바탕으로 바디컨디셔닝과 멘토링 프로그램이 포함된 예비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예비모형은 지속적인 전문가회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무용현장의 관련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무용교육 및 부상 관련 분야의 전문가 4인에게 반구조화된 설문 응답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현실적으로 부상의 원인이나 예방법을 알더라도 학생의 노력만으로 모든 상황을 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교육자의 지원과 환경의 협조가 이뤄졌을 때만이 비로소 상해를 최소화가 가능하므로, 무용전공생이 부상을 이겨나가고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할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현장에 대한 탐색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과 무용전공생이 부상을 예방하고 처치, 재활하는데 필요한 지식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전공 대학생 110명의 신체 상태 즉, 부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 중 92.9%(102명)가 부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부분의 부상이 연습 중(85.5%)에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전공 대학생 130명의 심리 상태를 조사한 결과 무용수들은 일반인에 비하여 왜곡 된 신체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불규칙한 식사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여자 무용수들의 왜곡 된 신체이미지와 식습관 정립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 스트레스 및 수면잠복시간 결과의 심각성은 동기저하와 신체 및 심리적 피로, 기분장애 등의 문제와 연결되므로 건강한 무용수행을 위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필수 훈련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지식 검증을 통한 교육모형을 구성하였다. 무용웰니스 교육프로그램 모형은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작실행체계, 에너지 생성체계, 동작프로그램 생성체계, 심리체계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이 이루어진다.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기초체력, 영양섭취와 신체구성, 동작기술, 무용심리의 내용을 배우며, 이를 바탕으로 수행요인들과 관련된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훈련방법을 계획하는 것으로 수업모형을 구성하고 있다.
    무용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을 하는 진단단계,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고 무용을 하는데 방해를 받고 있는 문제의 진정한 원인을 찾는 수용과 이해의 과정인 인식단계, 영역별 목표에 맞는 방법을 찾고 자발적으로 정한 성취목표를 정하는 목표설정단계, 반복훈련으로 오랜 기간 형성된 잘못된 생각과 행동습관을 바꾸어 나가는 과정으로 지속적 반복훈련단계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트레이닝 방법을 적용해 무용수 웰니스를 실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 무용수의 자발적인 트레이닝 의지이며 따라서 앞서 설명한 무용수 웰니스 자가진단법의 필요성이 중대하다. 이러한 보완 훈련이 잘 이루어질 때 건강한 무용 현장이 완성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무용수들의 교육과정 중 실기연습 외에 스스로를 관리하기 위한 신체 요법이나 생활관리,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상당하나 현실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용수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은 무용수들이 신체적, 정신적 요인들을 진단하고 스스로 부상을 예방하는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무용수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점을 감지하여 부상방지 프로그램 및 심리진단을 통한 개입이 진행되는 종합적인 시스템은 무용수들의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방지하여 건강한 무용인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무용수 스스로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지각과 이에 부합하는 훈련방법, 그리고 정서적 문제에 대한 재조정을 통해 부상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스스로 무용수행에 영향을 주는 여러 차원의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육하는 커리큘럼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무용실기 전문교육기관은 신체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교과과정 속에 포함시키고 학생 스스로 건강한 연습과정을 설계해 나가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결과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무용교육 현장에 전문지식정보를 제공하고, 활용가능한 모범적 사례로 보여진다. 본 연구자는 소속된 대학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적용·발전시킬 것이며, 예술 무용수뿐만 아니라 요즘 고난이도의 기교로 부상이 늘어가고 있는 여러 가지 대중적 장르의 춤에 이르기 까지 본 프로그램을 적용을 시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교육프로그램이 무용수 건강관리 현황 파악의 모델이 되어 연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위의 국내·외 기관 및 대학, 예술고등학교 등에서 적용 가능한 사례로 보여진다.
    둘째, 무용 웰니스 교육 프로그램은 무용 현장과 기관에서 적용 및 협력이 가능 할 것이다. 구축된 교육프로그램이 무용수 건강관리 현황 파악의 모델이 되어 연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위의 국내·외 교육기관에 모범적 사례로 제시될 것이다. 해외 무용교육기관에서는 실기연습 외에 무용수들이 신경과 근육의 긴장이 나타나는 부분을 느끼고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체요법이나 생활관리 프로그램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도자에게도 필수적이다. 국내의 짧은 무용수 수명으로 인해 직업전환 시, 무용 교육 분야에서 활동 할 때 기초역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무용분야 복지지원정책의 핵심인 건강관리 분야에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데도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적 적용에 활용 할 것이다. 2013년 본 연구자의 소속 대학에서는 무용수 건강을 위한 과학(Secience for Dancer Wellness)을 주제로 국제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함으로 국내에 무용웰니스 개념을 소개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Ohio University의 Jeffrey Russel 교수와 UC Irvine의 Diane Diefenderfer 교수 등이 참여하여 무용수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부상과 건강관리, 무용수의 자기관리 프로그램 등의 학술교류와 무용치료 워크샵 등의 활동이 있었다. 연구자는 위 기관 및 대학과의 교류를 통하여 웰니스 관련 네트워크와 협업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2016년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적용에 초점을 맞춘 무용웰니스 국제학술심포지움을 개최 할 예정이며, 해외 교육기관과의 지속적인 교류 및 연구 활동을 통해 축적된 무용수 웰니스 관련 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미 해외 무용교육기관에서는 실기연습 외에 무용수들이 신경과 근육의 긴장이 나타나는 부분을 느끼고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체요법이나 생활관리 프로그램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도자에게도 필수적이다. 국내의 짧은 무용수 수명으로 인해 직업전환 시, 무용 교육 분야에서 활동 할 때 기초역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무용분야 복지지원정책의 핵심인 건강관리 분야에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데도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무용수웰니스, 교육 프로그램, 바디컨디셔닝, 멘탈트레이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