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490&local_id=10086410
공공미술 인터랙티브아트 형태의 정보시각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공공미술 인터랙티브아트 형태의 정보시각화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경남(백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8375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정보의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정보시각화 연구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전달하는 데 유용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특히 안전, 재난 등의 사회적 현안해결에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하지만 정보를 한눈에 보여 지게 하는 정보시각화의 영역에서 성범죄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 예를 들어 사람들의 안전에 도움을 주고자 성범죄가 자주 발생되는 지역의 정보를 명확성과 정확성에만 근거, 시각화하여 제공한다면 해당지역의 부동산 값이 저하되거나 지역주민의 원성을 살 수 있으며 또한 보호되지 못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은 2차적인 사회문제를 야기 시킬 수도 있을 것임

    그에 따라 본 연구는 민감정보를 보호하면서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보완된 정보시각화 방법으로 인터랙티브아트와의 융합을 시도함. 인터랙티브아트의 단계별 시각화 및 예술의 미적요소 활용을 통하여 정보시각화하는 방법을 연구함.

    첫 번째 정보시각화를 위한 인지적, 조형적 연구를 연구하였음. 대상을 본다는 것은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 뿐 아니라 시지각적 자극을 해석하는 두뇌작용까지라 할 수 있음. 이에 근거해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범죄현황 정보 등을 인간의 인지적 특성에 기인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표현 방법, 비주얼디자인 표현방법 등을 연구 함

    두 번째 인터랙티브아트의 상호작용 특징을 연구함
    시각정보를 한 번에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이 요구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연구함. 일반적인 인터랙티브콘텐츠와 인터랙티브아트의 상호작용 특징을 비교하여 연구하고 이를 민감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시각화에 활용하는 것을 연구함.

    세 번째 인터랙티브아트 형태로의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인터랙티브아트의 속성에 적절한 비주얼 표현방법을 연구함
    실제 프로그래밍 하여 시각화 할 수 있는 구현기법을 연구함
    새나 물고기 떼의 Flocking을 통해 관람자(또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적절한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그에 따라 플로킹을 비주얼아트 디자인원리로 해석하였고, 보이드들의 움직임, 리더 보이드의 이동위치, 목표 지점 및 장애물과의 만남 등은 사용자 (마우스)클릭을 통한 상호작용성(인터랙션)과 연결시켰음. Flocking의 규칙적인 집단행동은 화면전체에 일관성 있는‘통일감’,‘다양성’,‘리듬감’등의 비주얼을 만들어 내고 이는 비주얼디자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음을 분석함 또한 이를 시각화를 통해 증명함.

    네 번째 공공예술로서의 인터랙티브아트의 강조점을 연구함
    공공예술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며 시대에 따라 강조점이 변화하고 있음. 그러나 공공성에 대한 이해는 일차적으로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구분과 관련됨. 개인이 아닌 공적 권위를 가진 주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사익이 아닌 공익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 그에 따라 많은 경우 공적 자금이 투입되는 영역으로서, 일정한 책무성을 가지게 됨.
    새롭게 행해지는“뉴장르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 개념은, 작품이 설치된‘장소(Site, place)’가 중요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의 참여를 중요시하고, 관객중심의 사회적 이슈, 공동체 등이 중요하게 부각 됨.

    다섯 번째 민감정보를 반영한 인터랙티브아트 정보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민감정보(가상의 데이터)를 실제 인터랙티브아트에 적용하는 ‘정보시각화’를 연구함.
    관람객의 움직임, 모습이 실시간 포토모자익 형태로 영상에 투영되어 나타남.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은 작은 타일들로 나뉘어져서 범죄유형의 시각패턴들로 맵핑 되어 보여짐. 또한 목적형, 설명적 인터랙션이 아닌 관람객 몰입형 인터랙션 적용을 연구함.
    총 세 단계의 레벨로 구성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해 ‘아트’의 단계에서 ‘아트와 정보시각화의 중간단계’ 그리고 ‘정보시각화’ 단계로 점차 진행됨.
    관람자(사용자)는 개인정보 입력 단계를 두 번 거친 후, 통행해야 하는 해당 상세지역의 범죄정보를 정보시각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됨.
  • 영문
  • Study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ch visually expresses the result of information analysis in an easy way, is utilized in a wide variety of areas because of its usefulness in identify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applied to pending social issues like safety and disaster.

    However, in the area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where information can be seen at a glance,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sex crime must be handled very carefully. For instance, if information is only visualized and provided based upon clarity and accuracy to increase safety for people in a region where sex crime occurs frequently, real estate prices can drop or residents may complain about it. It can also lead to secondary social issues related to unprotected privacy of individual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convergenc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art to provide information to people while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A method of visualizing information through stepwise visualization of interactive art and use of aesthetic elements of art was studied.

    First, cognitive and formative study was carried out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Looking at an object is not simply an action of eyes but a brain work that interprets visual and perceptual stimulus. Using this idea, visual expression methods and visual design expression methods were studied to better understand crime information of regions where crimes occur frequently based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Second,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art were examined.
    This involved stepwise exposure of information to users according to demand, instead of showing visual information at onc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general interactive contents and interactive art, trying to find a method of using thi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le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Third, a visualization method was studied in the form of interactive art.
    A visual expression method appropriate for properties of interactive art was studied.
    An embodiment technique was studied to perform visualization through programming.
    A visualization method appropriate for interaction of the audience (or the user) was studied through flocking of birds and fishes. Flocking was interpreted by the principle of visual art design. Movement of voids, position of the leader void, and encounter with target point and obstacles were connected to interaction through user clicking (mouse). Flocking is a regular collective behavior that creates coherent visuals like ‘unity’, ‘diversity’ and ‘rhythm’ on the screen, and it was analyzed to include the principle of visual design and verified through visualization.

    Fourth, emphasis of interactive art as public art was studied.
    There are diverse definitions of publicness in public art, and the emphasis is changing with time. However, understanding of publicness is primarily related to classification between what is private and what is public. Public art is done by a subject that is not an individual and has public authorities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Therefore, public financing often occurs and imposes certain responsibility in this domain.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New Genre Public Art” places greater importance on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than the ‘site or place’ where a work is installed. Audience-oriented social issues and communities become important.

    Fifth, a method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art that reflects sensitive information was studied.
    This ‘information visualization’ applied sensitive information (virtual data) to actual interactive art.
    Movements and figures of the audience were projected on the image in the form of real-time photo mosaic. The image on the camera was divided into small tiles and mapped with visual patterns of crime type. Also, application of audience-immersive interaction was studied instead of purposeful or explanatory interaction.
    It is comprised of three levels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progressing from ‘art’ to ‘intermediate level between art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then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 audience (the user) can receive crime information about a region passing by in the form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fter entering personal information tw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정보의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정보시각화 연구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전달하는 데 유용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특히 안전, 재난 등의 사회적 현안해결에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하지만 정보를 한눈에 보여 지게 하는 정보시각화의 영역에서 성범죄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 예를 들어 사람들의 안전에 도움을 주고자 성범죄가 자주 발생되는 지역의 정보를 명확성과 정확성에만 근거, 시각화하여 제공한다면 해당지역의 부동산 값이 저하되거나 지역주민의 원성을 살 수 있으며 또한 보호되지 못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은 2차적인 사회문제를 야기 시킬 수도 있을 것임

    그에 따라 본 연구는 민감정보를 보호하면서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보완된 정보시각화 방법으로 인터랙티브아트와의 융합을 시도함. 인터랙티브아트의 단계별 시각화 및 예술의 미적요소 활용을 통하여 정보시각화하는 방법을 연구함.

    첫 번째 정보시각화를 위한 인지적, 조형적 연구를 연구하였음. 대상을 본다는 것은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 뿐 아니라 시지각적 자극을 해석하는 두뇌작용까지라 할 수 있음. 이에 근거해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범죄현황 정보 등을 인간의 인지적 특성에 기인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표현 방법, 비주얼디자인 표현방법 등을 연구 함

    두 번째 인터랙티브아트의 상호작용 특징을 연구함
    시각정보를 한 번에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이 요구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연구함. 일반적인 인터랙티브콘텐츠와 인터랙티브아트의 상호작용 특징을 비교하여 연구하고 이를 민감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시각화에 활용하는 것을 연구함.

    세 번째 인터랙티브아트 형태로의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인터랙티브아트의 속성에 적절한 비주얼 표현방법을 연구함
    실제 프로그래밍 하여 시각화 할 수 있는 구현기법을 연구함
    새나 물고기 떼의 Flocking을 통해 관람자(또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적절한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그에 따라 플로킹을 비주얼아트 디자인원리로 해석하였고, 보이드들의 움직임, 리더 보이드의 이동위치, 목표 지점 및 장애물과의 만남 등은 사용자 (마우스)클릭을 통한 상호작용성(인터랙션)과 연결시켰음. Flocking의 규칙적인 집단행동은 화면전체에 일관성 있는‘통일감’,‘다양성’,‘리듬감’등의 비주얼을 만들어 내고 이는 비주얼디자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음을 분석함 또한 이를 시각화를 통해 증명함.

    네 번째 공공예술로서의 인터랙티브아트의 강조점을 연구함
    공공예술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며 시대에 따라 강조점이 변화하고 있음. 그러나 공공성에 대한 이해는 일차적으로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구분과 관련됨. 개인이 아닌 공적 권위를 가진 주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사익이 아닌 공익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 그에 따라 많은 경우 공적 자금이 투입되는 영역으로서, 일정한 책무성을 가지게 됨.
    새롭게 행해지는“뉴장르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 개념은, 작품이 설치된‘장소(Site, place)’가 중요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의 참여를 중요시하고, 관객중심의 사회적 이슈, 공동체 등이 중요하게 부각 됨.

    다섯 번째 민감정보를 반영한 인터랙티브아트 정보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민감정보(가상의 데이터)를 실제 인터랙티브아트에 적용하는 ‘정보시각화’를 연구함.
    관람객의 움직임, 모습이 실시간 포토모자익 형태로 영상에 투영되어 나타남.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은 작은 타일들로 나뉘어져서 범죄유형의 시각패턴들로 맵핑 되어 보여짐. 또한 목적형, 설명적 인터랙션이 아닌 관람객 몰입형 인터랙션 적용을 연구함.
    총 세 단계의 레벨로 구성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해 ‘아트’의 단계에서 ‘아트와 정보시각화의 중간단계’ 그리고 ‘정보시각화’ 단계로 점차 진행됨.
    관람자(사용자)는 개인정보 입력 단계를 두 번 거친 후, 통행해야 하는 해당 상세지역의 범죄정보를 정보시각화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정보시각화를 위한 인지적, 조형적 연구
    시지각 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어떠한 대상을 지각할 때, 눈에 보이는 그대로를 지각하기 보다는 의미 있는 체계의 형태로 만들어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음. 또한 시각적 자극에 대해 인간 뇌의 정서적 반응이 동반되며, 의미 있는 체계의 형태로 만들어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음.
    그에 따라 비주얼 아트의 인지적 조형적 연구를 진행했음

    2. 인터랙티브아트의 상호작용 특징연구
    일반적인 컴퓨터기반 영역에서의 상호작용과 인터랙티브아트에서 보여 지는 상호작용 특징을 비교해 볼 때 가장 큰 차이점은 유혹의 단계, 몰입의 단계임. 사용자가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시된 정보를 보고 의식적으로 목적에 맞춰진 상호작용을 하기 전에‘유혹’이 작용 됨. 이는 이성적으로 해석하고 반응하는 상호작용 단계와 비교해볼 때, 관람자가 인터랙션을 하는 초기의 행동에 초기목적 즉 출발과 한 선상에서 이어지는 상호작용의 반작용 개념이 포함되고 있음. (상세내용은 성과논문참조).

    3. 인터랙티브아트 형태로의 시각화 방안을 연구
    (인터랙티브아트의 속성에 적절한 비주얼 표현방법을 연구함)
    새나 물고기 떼의 Flocking을 통해 관람자(또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적절한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그에 따라 플로킹을 비주얼아트 디자인원리로 해석하였고, 보이드들의 움직임, 리더 보이드의 이동위치, 목표 지점 및 장애물과의 만남 등은 사용자 (마우스)클릭을 통한 상호작용성(인터랙션)과 연결시켰음. Flocking의 규칙적인 집단행동은 화면전체에 일관성 있는‘통일감’,‘다양성’,‘리듬감’등의 비주얼을 만들어 내고 이는 비주얼디자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음을 분석함 또한 이를 시각화를 통해 증명했음 (상세내용은 결과보고서 또는 성과논문참조).

    4. 공공예술로서의 인터랙티브아트의 강조점을 연구했음
    공공성에 대한 이해는 일차적으로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구분과 관련됨. 개인이 아닌 공적 권위를 가진 주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많은 경우 공적 자금이 투입되는 영역으로서, 일정한 책무성을 가지게 됨. 새롭게 행해지는“뉴장르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 개념은,‘장소’가 중요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의 참여 및 관객중심의 사회적 이슈, 공동체 등이 중요하게 부각 됨.

    5. 민감정보를 반영한 인터랙티브아트 정보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민감정보를 인터랙티브아트에 적용하는 시각화 방안을 연구함. 관람객의 움직임이 실시간 포토모자익 형태로 영상에 투영되며,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은 작은 타일들로 나뉘어져서 범죄유형의 시각패턴들로 맵핑 되어 보여짐.
    총 세 단계의 레벨로 구성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해 ‘아트’의 단계에서 ‘아트와 정보시각화의 중간단계’ 그리고 ‘정보시각화(상세 범죄 지역 범죄정보 제공)’ 단계로 점차 진행됨.

    기대효과 또는 연구결과 활용계획
    -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예를 들어 여성이 혼자 밤길 또는 위험한 지역을 통과해야하는 경우, 민감정보도 보호하며 동시에 필요한 일정량의 정보도 제공해야 할 것임.
    본 연구는 명확성에만 치중된 정보시각화 영역에서 2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하는 방법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또한 민감정보 보호 관련기술개발영역에서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임.

    - 사람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공공미술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

    - 사회현안 문제 해결에 소극적이었던 예술영역에서, 예술의 사회 속 역할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정부3.0 정보공개에 따른 상충문제 즉,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개인정보 침해문제나 위화감 불쾌감 초래, 집단 이익의 침해문제 등 정보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국민친화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에 창의적 아이디어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음.

    - 본 연구의 결과물: 1편의 등재논문, 1편의 SCIE 논문, 1편의 컨퍼런스 발표가 있음. 그 외 아시아 씨그라프 작품전시회 발표 및 해외 저널에 발표할 계획 임(논문 투고 중).
  • 색인어
  • 정보시각화, 인터랙티브아트, 민감정보보호, 사회현안 참여적 예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