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520&local_id=10086107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과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과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수기(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438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우리나라 도시계획은 신도시 개발보다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필수적이며 주민참여는 사회적 자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사회적 자본과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실증분석,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며,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 자료는 「서울서베이」 연차별 자료와 본 연구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할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추진 전략은 탐색적, 정량적, 정성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차별로 진행한다. 연구의 전문성과 질적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활용하며, 연구팀은 정기적인 세미나 및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관련분야 전문가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인다. 1차 년도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고,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적 정의와 측정 방법을 도출하고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인한다. 또한, 이론적 분석 모형을 토대로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한다. 다음으로는 정량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를 확인하도록 한다. 1차 년도 연구의 첫 번째 모형은 「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과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수준 회귀분석 모형이다. 이를 통해 개인 수준의 인구·사회·경제·주거 등에 대한 특성을 제어하면서 근린집단 간의 수준인 근린효과를 분석한다. 두 번째 모형은 공간통계분석 모형으로, 공간시차모형과 공간오차모형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공간적 자기상관을 제어하여 모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2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이다. 인과관계분석은 「서울서베이」 연차별 자료(2005~2013)를 통합한 공간패널모형과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한 세부적인 변수를 활용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한다. 우선 기존의 공공자료로는 연구가 불가능하였던 미시적 수준의 분석을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층화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시민 1,200명의 표본을 확보한다. 설문조사는 사회적 자본, 개인특성, 주거특성, 물리적 환경 등의 항목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된다. 확보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설문 응답자가 거주하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을 지리정보시스템, 공간구문론 등을 활용하여 자료화한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 도시설계요소, 접근성, 도로망 구조 등의 변수를 물리적 환경의 측정지표로 도출한다. 그리고 이들 변수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포함하여 사회적 자본과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설문과 인터뷰를 실행한다. 설문과 인터뷰 내용은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도시재생 사업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도시재생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과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 등을 다루도록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을 도출한다.
  • 영문
  • Recently, urban planning in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from urban development to urban renewal, which is based on the sustainability of existing cities. Resident participation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resident involvement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However, research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which affect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has been very limited. Theref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urban renewal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model an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and the role of social capital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policy measures for social capital expansion. The spatial range is ba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annual data of the Seoul Survey and survey data to be conducted by the research team.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explorator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우리나라 도시계획은 신도시 개발보다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필수적이며 주민참여는 사회적 자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사회적 자본과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실증분석,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며,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 자료는 「서울서베이」 연차별 자료와 본 연구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할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추진 전략은 탐색적, 정량적, 정성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차별로 진행한다. 연구의 전문성과 질적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활용하며, 연구팀은 정기적인 세미나 및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관련분야 전문가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인다.
    1차 년도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고,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적 정의와 측정 방법을 도출하고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인한다. 또한, 이론적 분석 모형을 토대로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한다. 다음으로는 정량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관계를 확인하도록 한다. 1차 년도 연구의 첫 번째 모형은 「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과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수준 회귀분석 모형이다. 이를 통해 개인 수준의 인구·사회·경제·주거 등에 대한 특성을 제어하면서 근린집단 간의 수준인 근린효과를 분석한다.
    2차 년도의 연구목표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이다. 인과관계분석은 「서울서베이」 연차별 자료(2005~2013)를 통합한 공간패널모형과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한 세부적인 변수를 활용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한다. 우선 기존의 공공자료로는 연구가 불가능하였던 미시적 수준의 분석을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층화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시민 1,200명의 표본을 확보한다. 설문조사는 사회적 자본, 개인특성, 주거특성, 물리적 환경 등의 항목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된다. 확보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설문 응답자가 거주하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을 지리정보시스템, 공간구문론 등을 활용하여 자료화한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 도시설계요소, 접근성, 도로망 구조 등의 변수를 물리적 환경의 측정지표로 도출한다. 그리고 이들 변수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포함하여 사회적 자본과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사회적 자본을 도시 공간계획과 접목해 새로운 융·복합 연구 분야로 확장하여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련 분야의 전문 연구인력 양성과 교육과정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가 가지는 구체적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도시공간계획 분야인 물리적 환경과 사회와 행정학 분야인 사회적 자본 분야를 학문적으로 통합하는 융·복합 연구를 지향한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공간과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실증하지 못하였던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인과 관계 모형을 정립하고 실증함으로써 학문적인 기여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과의 상호작용과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새로운 이론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방법론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지리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근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을 추출하여 분석모형에 사용한다. 방법론적으로 다수준 회귀분석 모형, 공간통계모형, 구조방정식 모형, 종단면적 공간패널 분석 모형 등 발전된 고급통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학문적인 기대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도시의 사회적 측면인 공동체성 형성에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자본이 풍족한 도시 공간 조성에 기여함으로써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회 문제들은 사회적 자본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문제로, 삶의 질과도 직결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 공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현재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제시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체 사회 건설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되었던 도시재생 사례들을 보면 사회적 자본에 대한 고려 없이 물리적인 재생만을 시행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경우가 다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사회적 자본을 고려하는 도시재생 정책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래 지향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관련 분야 연구 전문 인력 양성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도시계획 부문과 사회학 부문의 교육은 세분된 전문분야로 나누어져 있어 종합적인 통찰력과 안목을 길러주는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원 연구생들은 통합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우리 사회의 변화와 이에 맞는 도시계획과 사회적 자본 분야의 통합연구 시대에 적합한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학문적·사회적 기여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학술대회 참가 및 발표를 통해 국내외 전문가와 학술적인 교류와 더불어 국제적 인력으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시계획부문의 물리적 환경 분야와 사회학과 행정학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회적 자본 분야를 통합하는 새로운 시도이다. 특별히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정책의 개발에서 그동안 도시계획 분야 커리큘럼에 반영되지 않았던 사회적 자본을 추가하여 관련학문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울서베이」 자료의 가공과 실증분석 과정, 사회적 자본과 물리적 환경과의 인과관계 모형개발을 위한 설문조사와 구조방정식 모형 등은 학부와 대학원 교육과정에 직접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정량적 분석 기법뿐만 아니라 전문가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포커스 집단 인터뷰와 같은 정성적 접근은 정량적 분석기법 위주의 교육을 개선하는데 기여 할 수 있다.
  • 색인어
  • 도시계획, 도시재생, 사회적 자본, 건조환경, 근린효과, 커뮤니티 개발, 사회적 지속가능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