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565&local_id=10086172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문화 속 관계맺음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또래괴롭힘의 가해·피해 유아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문화 속 관계맺음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또래괴롭힘의 가해·피해 유아를 중심으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류미향(동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0666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에는 유치원 2개 기관의 만5세 학급을 각 한 개씩 선정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이 활발한 남아 및 여아 집단을 3개 선정하였다. 선정된 또래 집단을 중심으로 혹은 집단 내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참여관찰, 유아, 교사, 어머니 면담 등의 방법으로 또래집단 내 관계맺음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2차년에는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초등학교에 진학한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어머니 및 아동 면담을 실시하였고, 같은 초등학교, 같은 반에 배정된 아동 5명을 중심으로 관찰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입학 후 적응 및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추가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5명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외 연구자료로 연구자일지, 유아 및 아동의 활동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관찰 및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여러 번 반복읽기 과정을 거치면서 수집한 자료 속에 있는 문화적 패턴과 그 패턴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문화적 범주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집단 내 유아들의 관계맺음의 특성은 유아들의 개인적 성향 외에도 학급규모, 공간 및 놀이의 특성 등의 학급과 또래집단의 맥락적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내 환경의 특성 및 규칙, 교사의 역할 등 학급맥락의 특성과 또래집단 내 세력아의 특성 및 또래집단의 놀이문화의 특성에 따라 유아들의 관계맺음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전이 후 아동들의 관계맺음 특성은 유아의 성향에 따라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초등학교 학급 배정, 방과후 활동의 참여, 어머니의 교류관계 등 다양한 맥락적 특성에 따라 변이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유아들의 또래집단의 형성과 집단 내 관계맺음의 특정한 양식들은 성별이나 교사의 지지와 같은 특정한 요인들의 단독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또래집단이 위치한 다양한 학급의 맥락과 세력아의 특성이나 놀이의 특성과 같은 또래집단 자체의 맥락의 복잡한 얽힘 속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유아 자신이 놀이에의 참여와 즐거움의 경험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필요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해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만들어 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관계맺음 양식은 유아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고정적인 성향이자 현상으로 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오늘날 또래괴롭힘, 집단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또래 문화 속에서 유아들의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및 예방교육을 위한 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유-초 전이과정에서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의 의미에 대하여 삶에 근거한 풍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king peer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year, one 5 - year - old class from two kindergartens per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wo classes, three boy- and girl-group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data collection, in the first year, children’s experiences of relationship making was examin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of children, teachers, and mothers. In the second year, mothers and children were interviewed for the children who were mainly observed during the first year of research and assigned to the same elementary school and the same class. In order to collect additional data on the experiences of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mothers of first grade children and two, first-grade teachers. As additional research data, research journal, children’s activity data.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first and then were read repeatedly in order to systematically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patterns and the attributes of cultural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relationships in peer group interacted with the classical and peer group' s contextual characteristics such as class size, space and pla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personal tendencies of children.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relationship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environment, the role of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peer gro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culture in peer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relationship after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tended to be dependent on the tendency of children, but they varied according to various contextual characteristics such as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llocation,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activities, and mothers'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other m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pecific forms of young children's peer group formation and group - forming relationships are not affected by the singular action of specific factors such as gender or teacher support, but rather the context of the various classes in which various peer groups are loca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limit to see that the children’s relationship making may be predictable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social problems such as peer bullying today, lack of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s relationships in peer culture has made it im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coping and prevention education materials.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c data on the meaning of children 's experiences of making peer-to-peer relationships in the metacognition proc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에는 유치원 2개 기관의 만5세 학급을 각 한 개씩 선정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이 활발한 남아 및 여아 집단을 3개 선정하였다. 선정된 또래 집단을 중심으로 혹은 집단 내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참여관찰, 유아, 교사, 어머니 면담 등의 방법으로 또래집단 내 관계맺음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2차년에는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초등학교에 진학한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어머니 및 아동 면담을 실시하였고, 같은 초등학교, 같은 반에 배정된 아동 5명을 중심으로 관찰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입학 후 적응 및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추가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5명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외 연구자료로 연구자일지, 유아 및 아동의 활동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관찰 및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여러 번 반복읽기 과정을 거치면서 수집한 자료 속에 있는 문화적 패턴과 그 패턴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문화적 범주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집단 내 유아들의 관계맺음의 특성은 유아들의 개인적 성향 외에도 학급규모, 공간 및 놀이의 특성 등의 학급과 또래집단의 맥락적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내 환경의 특성 및 규칙, 교사의 역할 등 학급맥락의 특성과 또래집단 내 세력아의 특성 및 또래집단의 놀이문화의 특성에 따라 유아들의 관계맺음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전이 후 아동들의 관계맺음 특성은 유아의 성향에 따라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초등학교 학급 배정, 방과후 활동의 참여, 어머니의 교류관계 등 다양한 맥락적 특성에 따라 변이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유아들의 또래집단의 형성과 집단 내 관계맺음의 특정한 양식들은 성별이나 교사의 지지와 같은 특정한 요인들의 단독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또래집단이 위치한 다양한 학급의 맥락과 세력아의 특성이나 놀이의 특성과 같은 또래집단 자체의 맥락의 복잡한 얽힘 속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유아 자신이 놀이에의 참여와 즐거움의 경험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필요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해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만들어 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관계맺음 양식은 유아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고정적인 성향이자 현상으로 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오늘날 또래괴롭힘, 집단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또래 문화 속에서 유아들의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및 예방교육을 위한 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유-초 전이과정에서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의 의미에 대하여 삶에 근거한 풍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며 이를 통해 연구의 확대 및 교육에의 환류가 가능해 질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 활용계획
    - 유치원-초등학교 전이과정에서의 또래 간 관계맺음의 의미에 대한 해석 통해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자료로 활용
    -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 및 부모 상담 자료로 활용
    -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기, 초등학령기 유아 및 아동의 사회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지식을 전달해 주는 저서 출간

    ■ 기대효과
    - 문화기술적연구를 통한 유아 또래문화에서 관계맺음 경험 의미 해석 통해 유아들의 관계맺음 문화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
    - 인간 삶의 전이과정 중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유-초 전이과정에 유아 또래와의 관계맺음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가능케 함
    - 단기종단연구의 성격을 가진 연구로 2년간 동일한 유아를 추적, 연구함으로써 개별 유아의 관계맺음 경험의 지속성,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함
    ⇒ 과거에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실증적 연구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실제 삶 속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자료 및 해석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또래 간 관계맺음의 역동성, 경험의 의미에 대한 학문적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음
  • 색인어
  • 또래문화, 또래 간 관계맺음, 또래 괴롭힘,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