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618&local_id=10086730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의 운영 기제에 대한 해석적 분석: 전라북도교육청의 ‘어울림학교’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의 운영 기제에 대한 해석적 분석: 전라북도교육청의 ‘어울림학교’를 중심으로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동성(전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0846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한때 농어촌지역에서 마을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던 초중등 교원들(N=8)의 생애담을 해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좋은’ 소규모 마을학교의 운영 기제를 추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소규모 학교를 마을에 연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학교를 지역사회의 학습 센터로 전환하였다. 즉, 그들은 성공적인 마을학교를 만들기 위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였고, 마을학교의 형성을 위한 방아쇠 역할을 하였으며, 학생 자치 및 학교 자치를 중심으로 민주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농어촌지역의 소규모 학교를 마을에 연결하기 위하여 마을에서의 앎과 삶을 학교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연결하였다. 즉, 그들은 마을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통하여 학교의 교육과정을 실현하고, 마을 자체를 교육과정으로 간주하였으며, 기초 및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배움의 주인이 되는 교육과정을 실현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헌신과 기다림으로 마을학교 형성 과정의 모호함을 인내하였고, 학부모에 대한 권한부여와 신뢰를 통해 학교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인 소규모 마을학교의 운영 기제를 포착함으로써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와 마을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till the operational mechanisms of community schools in rural area through topic-centered life history research of school teachers who had successfully operated school-community linkage.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hool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had transformed existing schools into community learning centre or hub to link school and community. Specifically, they had expanded social capital of students. Also, they had become a trigger to build a community school, and had maintained democratic governance to make a successful community school. Secondly, the participants had connected ways of knowing and living in the community with official school curriculum to make a school-community linkage and partnership. They had realized community school curriculum by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of community. Also, they had regarded community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and had stressed learning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hich is based on basic and fundamental education. Thirdly, the teachers in community schools had endured the ambiguity of linking school with community by endless commitment and waiting. And they had pursued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 school through empowerment and trust to colleague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guideline and example to make a school-community linkage and partnership in rural area through capturing operational mechanisms of successful community schoo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한때 농어촌지역에서 마을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던 초중등 교원들(N=8)의 생애담을 해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좋은’ 소규모 마을학교의 운영 기제를 추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소규모 학교를 마을에 연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학교를 지역사회의 학습 센터로 전환하였다. 즉, 그들은 성공적인 마을학교를 만들기 위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였고, 마을학교의 형성을 위한 방아쇠 역할을 하였으며, 학생 자치 및 학교 자치를 중심으로 민주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농어촌지역의 소규모 학교를 마을에 연결하기 위하여 마을에서의 앎과 삶을 학교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연결하였다. 즉, 그들은 마을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통하여 학교의 교육과정을 실현하고, 마을 자체를 교육과정으로 간주하였으며, 기초 및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배움의 주인이 되는 교육과정을 실현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헌신과 기다림으로 마을학교 형성 과정의 모호함을 인내하였고, 학부모에 대한 권한부여와 신뢰를 통해 학교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인 소규모 마을학교의 운영 기제를 포착함으로써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와 마을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학문적 기여도
    첫째, 이 연구는 농어촌지역 소규모 마을학교의 독특한 운영 기제를 세밀하게 포착함으로써 작은 마을학교의 강점과 장점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소규모 마을학교 운영 기제를 종단적 및 교차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작은 마을학교의 유지와 발전을 위한 다양한 생존 기제와 생존과정(survival process)을 해명할 것이다.

    ○ 실천적 기여도
    첫째,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장교사들이 농어촌지역의 작은 마을학교를 되살리기 위하여 어떠한 차별적인 교수법과 전문성을 개발하고, 어떠한 교사문화를 형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예시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농어촌지역 작은 마을학교의 학생과 학부모들이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교육적 삶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예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의 결과는 작은 마을학교를 되살리기 위한 창의적이고 특색 있는 교육과정의 디자인과 실행과정을 재현함으로써 농어촌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정책적 기여도
    첫째, 이 연구는 농어촌지역의 작은 마을학교를 되살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조명함으로써 현행 소규모 마을학교 활성화 방안의 정책적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 학교규모 적정화 정책, 학교 총량제 정책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농어촌지역, 소규모 마을학교, 운영 기제, 교육적 가능성, 생애사 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