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708&local_id=10086548
영남지역 기행가사에 나타난 ‘유산(遊山)’의 문화적 의미와 권역별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남지역 기행가사에 나타난 ‘유산& #40;遊山& #41;’의 문화적 의미와 권역별 비교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은숙(부산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3916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영남지역 기행가사에 나타난 ‘유산(遊山)’의 체험 양상을 살피고 그 문화적 의미를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지역 여성 기행가사의 텍스트 존재양상 검토, 지역 여성의 ‘유산(遊山)’ 체험이 갖는 문화적 의미 분석, 가사 창작의 문화적 기반과 지역 내외적 비교연구를 세부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계획한 연구내용 및 추진실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존재 양상 검토이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 기행가사 중 ‘유산(遊山)’의 체험을 다룬 작품을 재정리하였다. 유산의 체험을 다룬 영남지역 기행가사를 청량산, 가야산 등 각각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개별 작품들의 서지사항과 작품들 간의 이본관계 등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 선정 및 문화공간별로 정리하였다.
    둘째, 텍스트에 나타난 유산(遊山) 체험의 양상과 의미 분석이다. 텍스트에 나타난 여정의 목적과 특징 분석을 통한 여정에 대한 화자의 인식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중심이다. 장소성 이론을 토대로 특정 공간에 대한 화자의 구체적 인식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 장소를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산 체험 기행가사의 문화적 의미와 비교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영남지역 종가를 답사하고 여성문중놀이에 대한 면담대상자를 파악하였다. 2차년도에는 이들과의 면담과 현장답사 등을 통해 유산 체험 여성 기행가사의 문화적 기반과 가사 창작 및 전승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와 아울러 경남지역 기행가사의 많은 작품이 친정방문형 기행가사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은 경북 안동권과의 혼인관계라는 문화적 기반으로 토대로 고찰하였다. 이는 권역별 비교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한편 2차년도에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하여 전문가 피드백을 받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연구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논문으로 '<갑오열친가>와<답가>의 작품특성과 전승양상', '친정방문 관련 여성가사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가 있으며, 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논문으로 '덴동어미화전가의 연구성과와 현재적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는 고전시가의 지역문화론적 연구, 여성시가연구, 가사창작 및 향유기반에 대한 문화적 연구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cient travel poems of Yeongnam region in terms of the pattern of experience in traveling through mountainous roads as well as the cultural meaning. To this end, detailed goal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examining the text format of ancient travel poems written by women; analyzing the cultural meaning carried in the women’s experience of mountain journey; and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ltural foundation of poem writings. The research content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format of the poems, the works that dealt with the experiences of 'mountain journey' within the Yeongnam region were reorganized based on text selection and cultural space.
    Second, to analyze the experience pattern and meaning contained in mountain journey manifested in the text,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meaning of the narrator with regard to the journey by examining the purpose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journey shown in the text.
    Third, to examine and compar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travel poems about mountain journey experience, the researcher, in the first year of the research, visited the head household of the Yeongnam region and located the participants of interview on the subject of family entertainment for women. In the second year,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and on-site investigations to examine the cultural foundation and the pattern of continuation in female travel poems.. Along with this, this study verified that many of the travel poems in the Gyeongnam region were poems written in the style of visiting the family of a married woman (Chinjeong);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travel poems based on the cultural foundation that the women were married to men in the Gyeongbuk Andong area. This will become baseline data for comparative research by region.
    Meanwhile, in the second year, the accumulated research findings were published in an academic journal after presentation at a conference. The these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subject include 'The Artwork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Aspect of <Gapoyeolchinga> and <Dapga>', 'The Sightseeing Aspect and Meaning in the Women’s Travel Poems with regard to Family Home Visits'. The theses in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opic include 'The Research Results and Modern Interpretation of Dendong Eomi Hwajeon-ga'.
    The present research can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classical poetry in terms of regional culture, female poetry, cultural study about creating and enjoying poe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영남지역 기행가사에 나타난 ‘유산(遊山)’의 체험 양상을 살피고 그 문화적 의미를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지역 여성 기행가사의 텍스트 존재양상 검토, 지역 여성의 ‘유산(遊山)’ 체험이 갖는 문화적 의미 분석, 가사 창작의 문화적 기반과 지역 내외적 비교연구를 세부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계획한 연구내용 및 현재 추진실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존재 양상 검토이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 기행가사 중 ‘유산(遊山)’의 체험을 다룬 작품을 재정리하였다. 유산의 체험을 다룬 영남지역 기행가사를 청량산, 가야산 등 각각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개별 작품들의 서지사항과 작품들 간의 이본관계 등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 선정 및 문화공간별로 정리하였다.
    둘째, 텍스트에 나타난 유산(遊山) 체험의 양상과 의미 분석이다. 텍스트에 나타난 여정의 목적과 특징 분석을 통한 여정에 대한 화자의 인식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중심이다. 장소성 이론을 토대로 특정 공간에 대한 화자의 구체적 인식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 장소를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산 체험 기행가사의 문화적 의미와 비교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영남지역 종가를 답사하고 여성문중놀이에 대한 면담대상자를 파악하였다. 2차년도에는 이들과의 면담과 현장답사 등을 통해 유산 체험 여성 기행가사의 문화적 기반과 가사 창작 및 전승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와 아울러 경남지역 기행가사의 많은 작품이 친정방문형 기행가사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은 경북 안동권과의 혼인관계라는 문화적 기반으로 토대로 고찰하였다.이는 권역별 비교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한편 2차년도에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하여 전문가 피드백을 받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연구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논문으로 ' <갑오열친가>와<답가>의 작품특성과 전승양상', '친정방문 관련 여성가사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가 있으며, 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논문으로 '덴동어미화전가의 연구성과와 현재적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는 고전시가의 지역문화론적 연구, 여성시가연구, 가사창작 및 향유기반에 대한 문화적 연구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니며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고전시가의 지역문학적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고전시가에서 지역문학적 시각과 이를 활용한 연구 및 텍스트 확충의 작업이 최근 들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영남지역을 주목하고,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영남의 기행가사 텍스트를 확충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고전시가의 지역 문학적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지역문학론이 로컬리티 형성 및 공간의 문제를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특히 지역인에 의한 지역 공간에 대한 관심을 다룬 기행가사를 집중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지역문학론의 관점에서 고전시가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둘째, 여성 기행가사 연구의 방법론 모색에 기여할 것이다. 여성에 의해 창작 향유된 기행가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품별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대체로 작가와 창작시기가 밝혀진 작품을 대상으로 해 왔기 때문이다. 가사 창작 및 향유에서 19세기 이후 나타난 두드러진 현상 중 하나가 바로 여성들의 집단적 가사 창작 및 향유의 문화와 여성의 여행에 대한 욕구와 문학적 형상화 양상이다. 이 두 가지 현상을 모두 아우르고 있는 작품군이 바로 여성 기행가사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을 통해 가사문학 창작 및 향유의 중요한 현상을 고찰함으로써 가사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가사 창작의 문화 기반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영남지역 기행가사의 중요한 특징은 여성의 ‘유산(遊山)’체험이 왕성히 전승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체험은 양반사대부의 그것과 궤를 같이하면서도 그들과 차별되는 중요한 문화행위였으며, 화전놀이 등의 문화와도 변별되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지역 여성의 가사 문학 창작 및 향유의 문화적 기반에 대한 연구는 가사 향유에 대한 앞으로의 문화적 기반 연구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시도한 <갑오열친가>와 <답가> 전승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는 가사 창작의 문화적 기반과 향유의 양상, 그리고 전승과정에 대한 연구에 참고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영남, 기행가사, 여성가사, 놀이, 유산(遊山), 열친가, 청량산, 가야산, 경남, 지역성. 문중놀이, 친정방문, 현장조사, 전승, 향유, 연작, 지역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