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750&local_id=10086424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 및 사회적 관계가 실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 및 사회적 관계가 실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연은모(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32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학습자의 실수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은 실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사전에 예방해야 할 부정적인 행동으로 인식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수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변인에 대한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학습 분위기를 형성하는 목표 구조와 피드백 형식 뿐 아니라 교실 내 교사 및 교우와의 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2개 년도에 걸쳐 서울 및 경기, 대구, 경북 소재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이해 상태를 보다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숙달목표 상황 뿐 아니라 타인과 비교해 유능하며 보다 높은 성취를 내야함을 강조한 수행목표에서도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뿐 아니라 과제에 대한 흥미가 높은 등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달성한 만큼의 정보를 강조하는 것이 실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 뿐 아니라 과제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사회적 친밀감이 있을 경우 실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 등의 학습 환경 뿐 아니라 교사 및 교우 등 학습구성원들 내 지지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영문
  • Based on the extent research on error management training, which focuses the potential role of errors in improvements in learning, the current study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error perception to extend the potential benefits of errors in learning. To serve the purpose, this study primarily generated research questions to examine how classroom goal structure feedback,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eers affect students’ error-handling perception.
    1st and 2nd year of research include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five elementary schools in a large Korean city and they were participated as part of the irregular class curriculum. Prior to the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feedback were manipula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in learning. Afterward, teachers manipulated the classroom goal structure to be either mastery-oriented or performance-oriented and students were participated to learn Korean traditional proverbs and took a quiz about given proverbs. While student took the quiz they were also manipulated to be either to-date or to-go feedback. Afterward, students once again reported their perception of errors. In the same condition, 2nd year research added only manipulation in social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eers in the same clas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2nd year research do not allowed to change teachers and peers they were studied together.
    Results from the both study suggest that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which may subsequently impact student achieving behaviors, is greatly affected by classroom goal structure, feedback, and social relationships. A mastery and performance classroom goal structure, to-date feedback and warm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eers were more likely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f errors. In specific, students’ perception in preferences for risk taking were increased and perception in strain on errors was decreased under both mastery-oriented and performance-oriented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to-date and to-go feedback. However, its influences were disappeared when social relationships were manipulated in 2nd year of study. These results imply how the classroom climate should be structured to improve perception of errors, which can in turn impact student’s better performance. This study add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by examining whether a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warm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eers were more likely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f err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그동안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보이는 실수는 부정적이기에 미연에 방지해야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이를 교정할 수 있는 교수적 처치에 관심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실수가 가지는 교수-학습적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전제되어야하는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경험 과학적 탐색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실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친밀감에 따라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들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2차년도에 걸쳐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450여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자신의 이해 상태를 보다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숙달목표 상황 뿐 아니라 타인과 비교해 유능하며 보다 높은 성취를 내야함을 강조한 수행목표에서도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뿐 아니라 과제에 대한 흥미가 높은 등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실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더 나아가 이를 학습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목표를 부여받았는가보다 자신의 실수가 학습자에게 이상적인 목표와 현재 수행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정보로서 작용하는 경우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행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경우 달성한 만큼의 정보를 강조하는 것이 실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 뿐 아니라 과제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학습자의 수행을 평가함에 있어 부족한 것을 강조해주는 것보다 개인이 이룬 성취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들은 사회적 친밀감이 있을 경우 실수나 실패를 범하더라도 이해 받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실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도울 뿐 아니라 학습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신의 실수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도록 학습구성원 내 지지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주는 것이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여 교육상황에서 실수를 활용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실수가 최소화될 때 학습의 효과를 강조하며 학습자의 실수를 사전에 예방해야할 것으로 규정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성취를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서 실수가 피할 수 없는 것임을 인지하고 이를 실수를 관리적인 관점(error management)에서 바라보고 접근하는 것이 학습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간접적으로나마 경험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 등의 학습 환경 뿐 아니라 교사 및 교우 관계 등의 교실 내 사회적 환경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교육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실 환경 조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유관 분야의 교육환경 조성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교실 내 사회적 관계를 원만하게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실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본 연구결과는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의 실수를 교사가 어떻게 다루어야하는가에 대한 원리와 지침을 제안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에게 학습의 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업 목표나 피드백을 적절히 제공하는 것만큼이나 교실 내 원만한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키는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동안의 실수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사회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 되는 본 연구는 실수의 교육적 중요성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학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 색인어
  • 실수에 대한 인식, 교실분위기, 목표구조, 피드백 사회적 관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