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782&local_id=10086802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안병욱(한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1341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는 스포츠 참여자의 성 즉, 사회학적 성 정체성에 대해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사회학적인 성 정체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스포츠 참여자의 성역할에 대해서 심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의 인접 학문과 연계하여 함께 연구한다면 사회의 변화에 맞춰 새롭고 다양한 연구 결과를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포츠에서는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에 관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문항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연구결과,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주관성 연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의 하위요인으로 첫째, 개방적 성향, 둘째, 보수적 성향, 셋째, 주관적 성향, 넷째, 외향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2차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변인인 성 정체성 측정도구에 대한 구인동등성(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을 검증받았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은 남성보다 개방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은 남성보다 보수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은 남성보다 주관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외향적인 성향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영문
  • The study is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orts gender identity in South Korea. We need to study a social gender identity in sports participants’ gender. Furthermore, I expect to reveal the various results, which develop the gender scale of sociologic with the study psychological, soci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And this study will offer a various sports program development and infra in sports. For the study of purpose, I researched two kinds of studies. The first, item of gender identity was developed in sports participants. The second, it had verified a valid of the developed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 of first research, I applied the suggested the Q methodology for gender identity types using, I distributed Q statements to the sample and then generated the results using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I categorized gender identity among the sports participants by four attitude types ‘open’, ‘conservative’, ‘subjective’, and ‘extroverted’. The result of second research, first, the equivalence had revealed the configurable,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of the scale that can be used in multi-groups in the same way. Second, women had a more open inclination than men when it came to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p<.001). Thir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ended to be more conservative than men (p<.001). Fourth, women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showed a higher subjective tendency than men (p<.001). Fift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outward tendency wh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p<.05).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회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포츠 참여자의 성정체성에 대하여 질적 연구로 접근한 후, 질적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에 관한 문항을 개발하였다.두번째, 스포츠 참여자의 성정체성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와 인터뷰를 거쳐 총 137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항은 귀납적 내용 범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43문항을 개발하였다.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에 관한 43문항을 이용하여 스포츠활동에 참여 중인 성인 남여 30명을 대상으로 Q 소트 과정을 거쳐, 성 정체성의 하위요인 4유형, 개방적 성향, 보수적 성향, 주관적 성향, 외향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1차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차 연구, 즉 설문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실히사였다. 설문문항의 정확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인동등성과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동등성 및 잠재평균 분석 결과, 첫째, 본 연구변인인 성 정체 성에 대한 구인동등성 검증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그리고 절편동일성이 확보되어 본 측정도구 는 성별과 상관없이 측정할 수 있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이 남성보다 개방적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이 남성보다 보수적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넷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여성이 남성보다 주관적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활동 참여 시 외향적인 성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우리나라의 성 정체성에 대한 연구
    지금까지 국내에서 성역할정체성을 다룬 연구들(김득란, 1992; 정진경, 1990)에서는 여성이나 남성이 지니는 성역할 지각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관점을 취하였다. 즉, 개인차로서 남성이나 여성의 전형이 되는 성격특성이나 인지반응을 어느 정도 지니는지 측정하고, 이것이 남성성, 여성성 혹은 양성성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이나 여러 후속 행동 및 결과들에 미치는 효과를 다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인차의 관점을 취하면 여성이 남성과 집단 간 관계에서 여성이나 남성 전체 범주에 속하는 사람으로서 경험하는 집합적인 현상은 설명하기 어렵게 된다(김금미, 한덕웅, 2001; 김금미, 한영석, 2003 재인용). 홍기원(2001)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성에 대한 만족 정도에 따른 남녀평등의식을 알아본 결과, 남녀에 관계없이 자신의 성에 만족할수록 남녀평등의식이 낮은 부적 상관의 결과를 보였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성 고정관념이 자리 잡고 있어 성 정체성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연구를 통해서 조금씩 사회학적 성(gender)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스포츠학에서 ‘스포츠=남성’이라는 등식이 성립할 정도로 고착화되어 있어서 본 연구를 통해 성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성정체성의 연구가 스포츠학으로 연구 영역 확대에 기여
    현재 국내에서 스포츠학의 연구는 노인, 청소년, 등 다양한 연구대상자들과 다양한 변인(제약, 동기, 전문화, 여가유능감, 중독, 만족감 등)에 대하여 양적, 질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배제하고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위주로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성 정체성의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결과는 다른 결과를 도출 할 것으로 기대되며, 새롭게 도출될 연구 결과는 우리 사회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함과 동시에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교육학, 여가학, 스포츠정책 등의 분과에서 새로운 학문적 도약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3. 인접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스포츠학 연구의 전문성 제고
    이 연구에서 남성다운 스포츠에 참여하는 여성, 여성다운 스포츠에 참여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성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인간행동 및 심리를 연구하는 심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체육학이 응용과학적인 성격을 띤 학문이기 때문에도 그렇지만, 체육학의 연구 영역을 넓히고 전문적인 수준의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른 인접 학문과의 연계는 불가피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 역시 인접 학문 분야의 변인을 도입·응용함으로써 체육학 연구의 질적·양적 수준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스포츠 참여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에 기여
    최근 체육학에서는 스포츠 참여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스포츠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이론과 접목시켜 스포츠 참여에 대한 담론, 고찰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스포츠심리학에서는 참여 동기, 몰입 경험, 유능감, 자기효능감 등, 여가레크리에이션학에서는 진지한 여가, 여가 제약, 여가 만족,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관광학, 교육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등에서도 현 시대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참여자의 정체성은 배제한 채 하나의 현상만을 연구하는 현 시점에서 스포츠 참여자 개개인의 정체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남성이 발레, 무용, 요가에 참여하는 현상과 여성이 익스트림 스포츠, 농구, 야구, 축구 등에 참여하는 현상을 보다 본질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포츠 참여자의 성 정체성 연구는 이 시대를 이해하는 밑거름이 되며 스포츠계에서는 성차별주의적 시각에서 참여자 개개인의 인격과 성격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의 건강과 행복 증진을 통해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각 분야가 균형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듯이 스포츠 역시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중요한 수단이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스포츠 참여자, 성 정체성, 측정도구개발, Q 방법론, 구인동등성 및 잠재평균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