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879&local_id=10086925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 및 사회적 조절을 촉진하기 위한 스캐폴딩 개발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 및 사회적 조절을 촉진하기 위한 스캐폴딩 개발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규연(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265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협력을 위한 스킬, 문제해결력 및 성취를 촉진할 수 있는 도구인 테크놀로지 기반 스캐폴딩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이러한 목적을 위한 기초연구로 1차년도에는 학습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협력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는지에 관해 문헌연구 및 질적인 내용분석, 사회연결망 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그 결과, 성공적인 협력학습을 위해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동기와 협력적 자기조절 스킬이 중요함을 발견하였고, 동료간에 의견을 교환하는 동료피드백 활동이 학습지원 전략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동료피드백 방식을 활용한 테크놀로지 기반 지원도구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음. 본 연구를 통해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각 단계에 최적화된 학습지원을 제공해야 하며, 동료피드백 활동의 경우 정서적 신뢰가 높은 동료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더 높은 만족도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chnology-based scaffolding which is a tool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among learners in the course of solving problems in a collaborative way and to promote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hievement for effective collaboration. In the first year,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on how the learners solve problems cooperatively through a certain process. As a result, we found that motiv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skills are important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nfirmed that peer feedback activities that exchange opinions among peers can function as learning support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signed a prototype of a technology-based support tool using peer feedback method in the second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ptimized learning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ase of peer feedback activities, feedback from peers with high emotional trust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참여, 개방, 공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현장에서 학습자간 협력이 주요 키워드로 대두됨. 특히 예측이 어려운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문제해결의 맥락에서 역시 학습자간 협력은 핵심적인 기제로 작동함. 협력적 문제해결에서는 학습자들 간에 목표와 과정을 공유하고 조절하는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socially-shared regulation)이 중요한 역할을 함. 그러나 문제해결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면 학습자들 간에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형성하기 쉽지 않으며, 문제해결과 관련된 인지적·메타인지적 지식의 부족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겪게 됨. 따라서 문제해결 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및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기 위한 스캐폴딩이 요구됨. 문제해결과 관련된 기존 선행 연구들은 문제해결에서의 협력 과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으며, 그 결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이나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 등의 사회적 측면을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풀어내지 못했음. 또한 문제해결을 위한 스캐폴딩 전략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고, 스캐폴딩 효과를 시계열로 분석하지 못함으로 인해 ‘점차 제공 정도가 감소되어야 하는’ 스캐폴딩의 고유 속성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음.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가 교수-학습에 본격적으로 투입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맥락에 최적화된 스캐폴딩 관련 연구가 미흡함.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보다 다각적으로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 스킬, 문제해결력 및 성취도를 촉진할 수 있는 지원전략으로써 테크놀로지 기반 스캐폴딩을 설계, 개발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적용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구조 분석, 설계기반연구 기법을 적용한 테크놀로지 기반 스캐폴딩 개발을 진행함으로서, 협력적 문제해결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협력적 문제해결은 기존의 온라인 토론, 팀 프로젝트와는 다른 차원의 학습과정이며, 협력적 문제해결 시 발생하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음.
    >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발생하는 학습자들 간 상호작용과 스캐폴딩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또한 협력적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구체적 스캐폴딩 전략을 개발하였음.
    >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각 단계에 최적화된 학습지원을 제공해야 하며, 동료피드백 활동의 경우 정서적 신뢰가 높은 동료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더 높은 만족도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 원격평생교육 등 다양한 맥락에서 테크놀로지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을 진행하는 경우 적용 가능함.
  • 색인어
  • 협력적 문제해결, 사회적 조절, 상호작용, 사회연결망분석, 테크놀로지 기반 스캐폴딩, 동료피드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