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888&local_id=10086678
고전과 치유의 대화 : 류드밀라 울리쯔까야 작품 세계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전과 치유의 대화 : 류드밀라 울리쯔까야 작품 세계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양영란(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174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문학의 상실의 시대 속에서 오히려 고전의 모티프를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상호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작가의 독창적 창작 기법을 고찰하는 것이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러시아 고전텍스트와 대화하며 텍스트를 풍요롭게 만들어나간다.
    장르적 차원에서 전통적 가족 소설 장르는 재사고 되고, 변형된다. 새 시대, 새로운 삶의 상황들 속에서 고전적 가족 형상은 독자들 앞에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혈연관계의 수직적 가족이 아닌, 주인공의 의지와 사랑으로 이루어진 수평적 가족이 형성된다. 시학적 차원에서, 작가에 의해 치밀하게 고안된 작품의 제목이자 주인공의 이름 ‘소네치카’의 의미는 고전문학작품에서 등장하는 여러 ‘소네치카’의 형상들에 투영되면서 보다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형상을 획득하게 된다. 신화적 차원에서, 작가는 자신의 ‘소네치카’에게 솔로비요프의 지혜의 소피아, 러시아성자전의 의인의 신화적 형상을 부여한다.
    작가는 텍스트에서 세계의 중심이 된다. 변화되는 시대 속에서 울리츠카야는 하나의 진리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고전과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삶의 미로를 헤메는 그의 방황은 때로는 정해진 정답 보다 더 독자들의 마음을 울린다. 산문 <소네치카>의 주인공 소네치카는 지혜의 구현, 위대한 어머니인 동시에 융통성을 지닌 조물주이다. 울리츠카야의 텍스트 속에는 다층적 예술적 연상들이 스며들어 있다. 미로를 따라 들어가듯 독자는 고전과의 대화를 시작한다. 텍스트의 무늬를 엮어 나가는 작가는 고전문학의 언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펼쳐나간다.
    심오한 철학적, 신화적 형상들은 천상에 머물지 않고 일상의 상황들로 향하고, 사소한 일상은 작품 속에서 그 의미의 중요성과 부피를 지니게 된다. 21세기 현대 문학에 고전적 예술적 코드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창작기법은 울리츠카야의 중요한 작가적 전략이 되고 있다.
  • 영문
  • The story of L. Ulitskaya "Sonechka" is constructed as a continuous dialogue with classical Russian literature - at the level of the plot, images, names of heroes, and also - at the level of references, allusions, citations, with which the text of the story is saturated. The writer uses a variety of ways to build a dialogue with the classics.
    Precedent names, and above all - the name of the heroine itself, the semantics of which are complicated by numerous symbolic associations with "literary Sofya" - the heroines of Fonvizin, Tolstoy, Dostoevsky. But for any such "parallel of names, the image of the heroine of Ulitskaya receives some of the qualities with which the heroine prototype is endowed, but at the same time, the image of Ulitskaya at any time does not become equal or even simply similar to the original image. Ulitskaya leads the dialogue, which consists in rethinking, not repetition of the images.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genres, in particular - the genre of a family novel-chronicle. Ulitskaya in many respects uses the traditional scheme of constructing such a novel, but transforms it - again in connection with the fact that both the historical time and the conditions of life change. And in these new condition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family is already different, sometimes in a completely paradoxical way. But such is life, her heroine, although she looks back at literary models, but nevertheless, does not live by i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고전과 치유의 대화’의 관점에서 작가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작품세계를 연구하고 있다.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독자의 공감을 일으키는 기제로 ‘고전’과 ‘치유’를 제시하고, 이 두 기제가 작가의 작품 속에서 어떤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두 기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작품 속에서 창출되는 효과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2년으로 구성되는 본 연구의 1년차 주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고전의 대화 – 변형과 재창조”이며, 2년차 주제는 “마음을 만지는 문학 :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힐링 문학 세계”이다. 1년차 연구에서는 첫째, 고전문학의 주요 테마인 ‘가족-집’이 울리쯔까야의 작품 속에서 어떻게 변형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고전문학에 등장한 주인공의 ‘이름’이 작가의 작품 속에서 어떻게 재창조되고 있는지 이름의 시학을 고찰하며, 셋째, 신화적 차원에서 작품의 주인공이 어떠한 형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고찰한다.
    2년차 연구 “마음을 만지는 문학 :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힐링 문학 세계”에서는 고전과의 대화 속에서 새롭게 재창조된 울리쯔까야의 작품 세계 속에서 작가가 구현하고자 하는 이상은 무엇인지 밝혀낸다. 첫째, 문학 예술을 통한 치유의 관점에서 울리쯔까야 문학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둘째, 작가의 작품 속에 나타난 치유 기제들 – 토킹 큐어, 회화 치유, 음악 치유, 색채 치유 - 을 도식화 한다. 셋째, 각 치유 기제들이 작품의 주인공들의 내면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분석한다.
    주요 분석 대상으로는 산문 <소네츠카(Сонечка)>, 단편집 <우리 짜르의 사람들(Люди нашего царя)>, 단편집 <가난한 자, 악한 자, 사랑받는 자 (Бедные, злые, любимые)>이 되고, 필요시 작가의 다른 작품들 또한 분석대상으로 포함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고전과 치유의 대화’의 관점에서 작가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작품세계를 연구한다.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독자의 공감을 일으키는 기제로 ‘고전’과 ‘치유’를 제시하고, 이 두 기제가 작가의 작품 속에서 어떤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두 기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작품 속에서 창출되는 효과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는 무궁무진하다.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을 비교분석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 성과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는 울리쯔까야의 작품들 외 다른 작품들, 그리고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 속에 나타나는 치유의 테마를 분석해 내는 연구들은 문학의 위기의 시대에 러시아 문학의 새로운 기회를 창조해 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 성과들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 뿐만 아니라 문학 치료의 중요한 실제적 도구들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관심 있는 학부생 및 석박사과정생들의 잠재된 연구 가능성을 개발하여 학문후속세대의 성장을 위한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울리쯔까야. <소네츠카>, 고전문학, 대화, 치유, 독서치료, 상호텍스트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