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04&local_id=10086528
산업클러스터내에서 사회적자본과 기업혁신성과간의 관계모형 개선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2015S1A5A8015892 |
선정년도 |
2015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7년 10월 24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7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산업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는 산업 간의 연관관계 속에서 상호 유기적인 분업 및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다수의 기업들이 일정지역에 입지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클러스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집단협력관계의 구축과 이를 통해 기술도입의 긍정 ...
산업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는 산업 간의 연관관계 속에서 상호 유기적인 분업 및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다수의 기업들이 일정지역에 입지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클러스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집단협력관계의 구축과 이를 통해 기술도입의 긍정적 효과를 공유하려는 연계활동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지역과 관련하여 한 지역뿐 아니라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함으로서 분석결과가 일관성과 보편성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데, 연구결과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분석결과에서 제시한대로,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산업단지 내 네트워크 활동, 조직개방성 등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과 활용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여 이를 기업경영에 적극 반영해 나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판교 테크노밸리 및 구로 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원주산업단지의 결과를 각각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클러스터별 특성에 따라 구별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대상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경우 결속형 자본보다 교량형 자본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원주산업단지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과 혁신 성과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속형 자본은 혁신 성과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혁신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차별요인을 볼 수 있는데, 구로의 경우 산업과 업종간의 집적도가 높음에도 유기적 네트워크 등이 취약하여 기술 및 정보의 공유가 미흡한 실정인데, 이 점이 판교 테크노밸리의 경우와 비교가 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된다. 넷째, 수도권에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나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경우 교량형 자본을 통한 혁신 성과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술적 측면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석틀의 변수에 따라 구별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의 영향 관계를 들 수 있다.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 및 원주산업단지는 기술적 요인에 유의성이 있지만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경우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주의 경우에는 결속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준 반면에, 판교의 경우에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었고, 구로의 경우에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까지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판교 테크노밸리에서는 대덕특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대덕특구의 경우에는 기술적 요인과 기업의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정(+)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판교의 경우에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요인이 정(+)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영문
-
Social capital was categorized into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direct effect of each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and indirect effect intermediated by technical factor were verified via a statistical ...
Social capital was categorized into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direct effect of each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and indirect effect intermediated by technical factor were verified via a statistical analysis. The effect of technical factor itself on a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was additionally examined.
This paper was conducted as an extension of a prior study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a cluster’s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Daedeok Innopolis. In the future, by conducting further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each regional industrial cluster, the researcher aims to present an efficient operation methodology of social capital to enhance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technical factor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Wonju Industrial cluster, where more people with diverse regional connections are gathered compared to other regions being developed as an innovative corporate cit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Pangyo Techno Valley and Guro Digital Industrial Complex.
This paper compared four clusters including the prior study areas. By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local areas,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luster,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internal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 members based on regional economy, we aim to present an efficient research methodology to enhance corporate innovative performance in industrial clust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교량형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각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과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기술적 ...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교량형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각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과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기술적 요인이 그 자체로써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도 살펴 보았다.
본 논문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클러스터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연구되었으며, 향후 각 지역별 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하여 사회적 자본의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업클러스터 내에서 기업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자본의 효율적 운영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클러스터는 우선, 혁신기업도시가 조성되면서 여러 지역의 다양한 연고를 가진 사람들이 타 지역에 비해서 많이 모여서 생활하고 있는 원주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과 기술적 요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어서 수도권에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지역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포함하여 4개 산업클러스터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하였다. 수도권과 지방의 비교, 클러스터 구성인자들의 차이에 따른 차별성, 지역경제 여건상 구성원간의 내부 구조상의 차이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클러스터에서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판교 테크노밸리 및 구로 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원주산업단지의 결과를 각각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클러스터별 특성에 따라 구별해 본 결과는 다음과 ...
본 연구는 판교 테크노밸리 및 구로 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원주산업단지의 결과를 각각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클러스터별 특성에 따라 구별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대상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경우 결속형 자본보다 교량형 자본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원주산업단지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과 혁신 성과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속형 자본은 혁신 성과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기술적 요인의 매개를 통하여 혁신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차별요인을 볼 수 있는데, 구로의 경우 산업과 업종간의 집적도가 높음에도 유기적 네트워크 등이 취약하여 기술 및 정보의 공유가 미흡한 실정인데, 이 점이 판교 테크노밸리의 경우와 비교가 되는 사안이라고 생각된다. 넷째, 수도권에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나 구로 디지털산업단지의 경우 교량형 자본을 통한 혁신 성과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술적 측면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석틀의 변수에 따라 구별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의 영향 관계를 들 수 있다. 판교 테크노밸리와 구로 디지털산업단지 및 원주산업단지는 기술적 요인에 유의성이 있지만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경우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주의 경우에는 결속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준 반면에, 판교의 경우에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었고, 구로의 경우에는 교량형 자본이 기술적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기술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혁신성과에까지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판교 테크노밸리에서는 대덕특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대덕특구의 경우에는 기술적 요인과 기업의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정(+)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판교의 경우에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요인이 정(+)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색인어
-
주제어 : 교량형 사회적 자본, 결속형 사회적 자본, 산업클러스터, 기업혁신성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