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30&local_id=10085989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 모델 설계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 모델 설계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주미경(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365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주요 변화 동향에 따라 제기되는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 설계 연구이다. 1차년도 연구는 미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단계로 모델 구성 요소 탐색을 위한 문헌 분석과 교육 현장 요구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출한 예비모델은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학습 환경 요소를 포함한다.
    교육목표: 지적 역량, 인성 역량, 실천여량
    교육 내용: 수학 교과 핵심 개념과 21세기 핵심 주제
    교수-학습 방법: 타교과와의 학제간 접근, 협력학습, 문제기반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학생의 능동적 참여와 협력, 의사소통, 지식 생산을 강화하는 활동, 공학적 도구의 활용
    평가 방법: 과정 중심 평가
    학습환경: 탐구공동체로서 수학교실

    2차년도 연구는 예비모델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실행하여 예비모델의 효과성과 현장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학습효과성은 개발 프로그램이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적 역량, 인성 역량, 실천 역량을 함양하는데 기여한 바를 평가하였다. 현장 적합성은 교사의 실행 과정에서 대한 성찰과 평가 의견을 바탕으로 운영 상 장애 요인을 탐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모델은 미래 핵심역량 함양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모델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역량 기반 교육에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 체계와 평가 제도, 교사교육 체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design research to develop a program model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enhancing key competencies of futurist society.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of the first year focused on the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bout school reform and need analysis of mathematicsl educational specialists.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is research identifies key component of the model: educational goals, contents,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research of the second year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model validity and effectiveness.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model and the program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s' key competencies. The collaborating teacher's reflection revealed the obstacles and limination of the current school system such as curriculum, assessment, and teacher education. This research provided the implication for the restruturing school system for key competence-based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주요 변화 동향에 따라 제기되는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 설계 연구이다. 1차년도 연구는 미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단계로 모델 구성 요소 탐색을 위한 문헌 분석과 교육 현장 요구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출한 예비모델은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학습 환경 요소를 포함한다.
    교육목표: 지적 역량, 인성 역량, 실천여량
    교육 내용: 수학 교과 핵심 개념과 21세기 핵심 주제
    교수-학습 방법: 타교과와의 학제간 접근, 협력학습, 문제기반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학생의 능동적 참여와 협력, 의사소통, 지식 생산을 강화하는 활동, 공학적 도구의 활용
    평가 방법: 과정 중심 평가
    학습환경: 탐구공동체로서 수학교실

    2차년도 연구는 예비모델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실행하여 예비모델의 효과성과 현장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학습효과성은 개발 프로그램이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적 역량, 인성 역량, 실천 역량을 함양하는데 기여한 바를 평가하였다. 현장 적합성은 교사의 실행 과정에서 대한 성찰과 평가 의견을 바탕으로 운영 상 장애 요인을 탐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모델은 미래 핵심역량 함양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모델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역량 기반 교육에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 체계와 평가 제도, 교사교육 체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과 프로그램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을 학교 현장에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다. 특히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다양한 활동자료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수학과제 탐구> 교과 지도에 적용 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과 프로그램은 탈맥락적이고 추상적인 수학 지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수학교육에서 벗어나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복잡계 문제 해결 역량, 다양한 관점과 방법 사이의 융합과 소통, 수학의 사회적 책무에 관한 인식을 고양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수학교육 실천 모델과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개발 모델과 자료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역량 기반 교육의 비전과 방법을 구체화하는 교사 연수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 자료를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현장교사와 모델을 공유하고 수업 실행 계획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협력적으로 진행하는 워크샵과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여 역량 기반 교육의 원리와 실행 사례를 공유하며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전문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미래사회, 세계화, 다원화, 지식정보화, 핵심역량, 수학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