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32&local_id=10086010
빅데이터와 품질경영 방법론을 결합한 의료서비스 모델의 품질 개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빅데이터와 품질경영 방법론을 결합한 의료서비스 모델의 품질 개선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혜정(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39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의료서비스 분야는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자에 대한 서비스 질 저하로 인해 환자의 예후 및 의료기관의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의료분야에서도 경영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적의 의료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품질경영 방법론에 기초한 만성질환 관리 모형은 수요자 측면에서 국민의 의료접근성 및 서비스 만족도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공급자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체계를 통하여 보건의료체계의 경영 선진화를 달성하고, 궁극적으로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이해관계자가 상생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의료서비스 신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인구의 증가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개인적 및 사회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만성질환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경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수요자 친화적인 근거중심의 통합적 의료서비스 네트워크 모형을 제안함
    ○ 구체적으로, 빅데이터와 품질경영 방법론을 결합한 의료서비스 모델의 품질 개선 연구는 공급자적 접근, 수요자적 접근, 그리고 공급자-수요자 연계 접근의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함

    [1]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의 기능요소 도출
    - 만성질환(특히 뇌졸중) 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체계 국내외 사례 수집 및 연구문헌 고찰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체계의 국가단위 거시적 분석
    - 뇌졸중 registry를 이용한 의료기관 조직단위의 미시적 분석
    - 결과적으로 급성기-재활-만성기를 포괄하는 각종 의료서비스 제공 주체를 통합하는 거시적 기능요소 도출과 함께, 환자 단위의 수술, 처치, 투약 등 구체적인 의료서비스를 통합하는 미시적 기능요소를 도출함

    [2] 만성질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요구속성에 부응하는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모형 제안
    - 만성질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및 미충족 수요 관련 문헌 분석
    - 국가적 조사(Survey) 자료를 이용한 의료이용 행태 및 미충족 의료수요 분석
    - 수요자 요구속성과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및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및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중요도 평가를 위한 품질의 집(HoQ) 구축함
    - 결과적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의 5개 기능요소(급성기치료, 요양/재활병원, 가정간호, 외래방문, 지역사회서비스)와 소비자 요구속성 9개 요인(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형평성, 접근성, 지불가능성, 이용용이성)을 연계하여 경영학적 방법론인 품질의 집 모형을 구축함
  • 영문
  • ○ Unless accurate analysis and forecasts are made in health care services,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rognosis of the pati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hospital due to the low service quality to patients. 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apply the business methodology in healthcare fields to provide optimal medical processes.
    ○ Based on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ology,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model not only enhances patients' access to medical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 but also achieves advancement of management of healthcare system through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 provisions from the provider side. The model also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the creation of new market for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 system in which stakeholders of the healthcare service coexist.
    ○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consumer-oriented, evidence-based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network model employing business methodology in order to appropriately cope with the chronic diseases that are burdened individually and socially by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level.
    ○ Specifically, the study of the medical service model that combines the Big Data and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ology is conducted in terms of the provider, the consumer, and the provider-consumer linked approaches.

    [1] Deriving functional elements of health care provision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 Healthc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managing of chronic diseases (especially stroke)
    - National macroeconomic analysis of medical service provision using healthcare claim data
    - Microscopic analysis of organizational units of medical institutions using stroke registry
    - As a result, we derived macro functional elements that integrate various medical service providers including acute phase - rehabilitation - chronic phase, as well as micro functional elements that integrate specific medical services such as surgery, treatment and medication in patient units

    [2] Proposal of customer-oriented healthcare service model in response to consumer demand for chronic illness medical services
    - Literature analysis of consumer demand and unmet needs for chronic diseases services
    - Analysis of health care behavior and unmet needs using national survey data
    - Assessment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umer's demand attributes and the health service function elements and the evalu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health service function elements and the House of Quality (HoQ)
    - As a result, the five functional components of health care provision (acute care, nursing/ rehabilitation hospital, home care, outpatient visits, community services) and nine factors of consumer demand (safety, effectiveness patient-centeredness, efficiency, timeliness, Equity, Accessibility, Affordability, Ease of Use) to establish a model of quality as a business methodolog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의료서비스 분야는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자에 대한 서비스 질 저하로 인해 환자의 예후 및 의료기관의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의료분야에서도 경영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적의 의료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품질경영 방법론에 기초한 만성질환 관리 모형은 수요자 측면에서 국민의 의료접근성 및 서비스 만족도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공급자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체계를 통하여 보건의료체계의 경영 선진화를 달성하고, 궁극적으로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이해관계자가 상생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의료서비스 신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인구의 증가 및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개인적 및 사회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만성질환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경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수요자 친화적인 근거중심의 통합적 의료서비스 네트워크 모형을 제안함
    ○ 구체적으로, 빅데이터와 품질경영 방법론을 결합한 의료서비스 모델의 품질 개선 연구는 공급자적 접근, 수요자적 접근, 그리고 공급자-수요자 연계 접근의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함. 각 연도별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음

    [1차년도]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의 기능요소 도출
    - 만성질환(특히 뇌졸중) 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체계 국내외 사례 수집 및 연구문헌 고찰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체계의 국가단위 거시적 분석: 국가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한 의료기관 방문 패턴 및 의료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 의료기관별 및 서비스유형별 진료비 분석과 함께 진단명, 수술, 처치, 투약정보를 이용한 Critical pathway 개발
    - 뇌졸중 registry를 이용한 의료기관 조직단위의 미시적 분석: 뇌졸중의 유형별 임상적 특성, 진단 및 치료항목의 분석, 진료비(보험 및 본인부담) 분석, 진료패턴과 치료효과의 연계 분석
    - 2차년도 심층 자료분석을 위한 예비분석 수행: 보건의료분야 국가적 서베이인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의료패널 등에는 만성질환 보유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파악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 분석 시도
    - 결과적으로 급성기-재활-만성기를 포괄하는 각종 의료서비스 제공 주체를 통합하는 거시적 기능요소 도출과 함께, 환자 단위의 수술, 처치, 투약 등 구체적인 의료서비스를 통합하는 미시적 기능요소를 도출함

    [2차년도] 만성질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요구속성에 부응하는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모형 제안
    - 만성질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및 미충족 수요 관련 문헌 분석
    - 국가적 조사(Survey) 자료를 이용한 의료이용 행태 및 미충족 의료수요 분석
    - 수요자 요구속성과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및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및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중요도 평가를 위한 품질의 집(HoQ) 구축함으로써 만성질환 의료서비스 수요자의 요구속성 가중치에 부응하는 개선된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모형 제안
    - 결과적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의 5개 기능요소(급성기치료, 요양/재활병원, 가정간호, 외래방문, 지역사회서비스)와 소비자 요구속성 9개 요인(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형평성, 접근성, 지불가능성, 이용용이성)을 연계하여 경영학적 방법론인 품질의 집 모형을 구축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의 기능요소 도출: 급성기-재활-만성기를 포괄하는 각종 의료서비스 제공 주체를 통합하는 거시적 기능요소 도출과 함께, 환자 단위의 수술, 처치, 투약 등 구체적인 의료서비스를 통합하는 미시적 기능요소를 도출함
    - 본 연구에서 품질의 집 모형 구축에서는 급성기치료, 요양/재활병원, 가정간호, 외래방문, 지역사회서비스의 5개 요소가 포함된 거시적 기능요소를 이용함
    ○ 만성질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요구속성 도출: 수요자 입장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요구속성을 도출함
    - 구체적으로 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형평성, 접근성, 지불가능성, 이용용이성의 9개 요인으로 정리함
    ○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중요도 평가를 위한 품질의 집(HoQ) 구축 및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모형 제안: 수요자 요구속성과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및 의료서비스 기능요소의 상호관계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사례로서 가중치를 산출하여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모형(안)을 제안함
    - 의료제공자 입장으로 접근하여 의료서비스 제공의 5개 기능요소와 소비자 요구 9개 요구속성을 연계하여 경영학적 방법론인 품질의 집 모형을 구축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1) 의료서비스 개발 방법론으로서의 품질기능전개 방법론 적용 가능성 제시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의 이해관계자인 제공자, 수요자, 의료체계 등 산업계의 요구사항들과 다양한 견해를 품질기능전개(QFD)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수렴하였고, 그 결과를 서비스 모델 개발에 반영하고자 하였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QFD 방법 및 HoQ 모형은 제품산업 분야에서 정립된 모형이지만, 서비스 산업에 적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따라서 품질경영 방법론은 더 나아가서 다양한 의료서비스 산업 분야에도 확장하여 적용 가능함을 제시함으로써, QFD 연구모형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임

    (2) 의료경영 학문의 발전에 기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해관계자 주도의 시장지향적 의료서비스 모델 개발은 각 수요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되므로, 의료경영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특히 교육에서의 사례 활용 및 연구의 측면 활용됨으로써 의료산업의 경영관련 지식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임
    - 사례 활용: 질환의 급성-만성기 전환에 따른 재원-재택의 관리 전환에 대한 서비스 모델에 경영학적인 접근의 성공사례를 제공하여 활용
    - 연구 및 지식: 뇌졸중 환자의 체계적 관리의 국내 학문적 담론을 형성하고, 만성질환의 건강증진의 개념을 더욱 발전시킴으로써 후속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3) 의료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의료산업의 발전에 기여
    ◦효과성(활용도): 연구 계획의 목적 달성을 통해서 뇌졸중 환자의 서비스 모델 기반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본 연구결과가 국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
    -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의 건강 및 삶의 질 개선
    -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유망 서비스 모델 개발
    ◦지속성(누적 효과): 일회성의 연구에 그치지 않고 향후 관련 연구와 접근의 적절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자들이 계속하여 모니터링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지표, 분석 틀과 방법을 제공함
    - 새로운 보건의료시스템 및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효율적인 의료체계 구축에 기여
    - 패러다임(질병 예방 및 예측, 맞춤형 건강관리 등) 변화에 따른 미충족 수요를 발굴, 부가가치 창출 및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

    2)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활용방안
    (1) 의료경영 석박사 과정 교육에 활용
    ◦아직 체계가 미흡한 우리나라의 의료경영 학문의 발전 및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교육기반을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의료경영학의 산업적 응용학문으로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학문과 심화 학문간의 균형 있는 교육과정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본 연구진으로 참여한 대학원생들은 향후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 작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2) 품질경영 측면에서의 의료경영학 전공의 사례 추가로 교육자료 작성
    ◦의료경영학은 의료와 경영이 융합된 학문으로 적절한 사례 발굴이 미흡함.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교육자료로 작성하여 향후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음
    ◦본 연구결과는 타 방법론과의 융합, 연계, 그리고 사례 확장을 통하여 향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확산시킴으로서 지속적인 교수-학습 내용 개발 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임
  • 색인어
  • 의료경영, 품질경영, 이차자료 분석,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모델 개발, 만성질환관리, 뇌졸중 관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