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35&local_id=10086703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역량 표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역량 표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진수(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40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기업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가의 창업역량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창업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창업기업 성과에 유의미한 창업역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계적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도출된 창업역량을 기반으로 창업역량 모델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역량모델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to improve the rate of success of startups.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related to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performs the meta-analysis to develop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competency and the performance of startu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기업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가의 창업역량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정부의 벤처창업 활성화 정책 기조에 따라 창업지원사업이 증가하고 있음에 대응하여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즉, 정부지원을 받는 (예비)창업가들의 창업역량을 사전에 검증함으로써 유망 창업자를 선발하고, 선정된 이후에도 보유하고 있는 창업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교육, 멘토링 및 사후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업역량 모델을 제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기존에 발간된 창업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창업기업 성과에 유의미한 창업역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계적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도출된 창업역량을 기반으로 창업역량 모델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역량모델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우선 창업역량모델 도출을 위해 유의미한 창업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업화 단계별 [창업역량-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가 역량(기업가적 역량, 기회포착 역량, 관계 역량, 조직화 역량, 전략적 역량, 기술-기능적 역량)과 창업팀 역량(팀 적격성, 팀 몰입)은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메타분석을 위한 체계적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창업역량 모델을 구성하는 요인을 팀 수준 창업역량(팀몰입, 인지적 포괄성)과 개인 수준 창업역량(기회 역량, 기획, 리더십, 조직화 역량, 전략적 역량, 자원 역량, 사회적 역량)으로 도출하여 전문가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기회 역량과 조직화 역량을 제외한 모든 역량요인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망 창업자 선발 시 창업 적합성, 죽음의 계곡 극복 잠재 가능성, 창업 성공 가능성 등을 예측하기 위한 역량 수준 측정 도구로 활용 될 수 있다. 즉,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해 유망 창업자 선정 지표에 창업역량 표준 모델의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역량모델은 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개인의 역량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제공해 주므로 창업자 역량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 예정인 창업역량 표준 모델은 향후 (예비)창업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시 교육 체계 수립에 활용이 가능하다. 창업자로서 필수적인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이 개발될 수 있으므로, 경영교육 등 타 분야 교육과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창업자 선발 이후 창업자 사후관리 측면에서 부족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를 파악하여 창업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창업교육의 획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 색인어
  • 창업, 창업기업, 창업가, 창업역량, 창업역량모델, 창업기업 성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